본문내용
어나 인간의 행동에 관심을 가지면서 심리학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학문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Skinner는 객관적인 사실에 치우치다보니 인간의 고유한 특성인 사고, 정서 등을 간과했다. 반면에 Bandura는 Skinner의 개념을 인간에게 적용하면서 인지나 사고, 동기 등의 특성들을 고려한 이론을 내세웠다는 차이점이 있다.
추천자료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및 적용
Thorndike, Skinner, Bandura의 이론
인지주의 학습 이론(Piaget & Vogotsky), 행동주의 이론(Thorndike & Skinner & ...
스키너의 심리상자열기를 읽고...
스키너 행동주의 이론과 반두라의 사회학습 이론의 공통점및 차이점 기술하고 본인의 관찰학...
학습이론 - 행동주의적 접근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성격심리학이론 - 융, 스키...
디스타 프로그램(DISTAR Program)에 대한 모든 것 (프로그램의 배경과 현황, 프로그램의 요소...
[행동주의와 사회복지] 행동주의 (behaviorism) - 행동주의의 개념, 행동주의 주요 이론, 행...
[인간행동과사회환경 C] 사회적 학습이론과 행동주의 이론을 비교하고 이론적 공통점과 상이...
스키너의 행동주의이론과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제시하고 기본가정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
인간행동과사회환경)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시오.
아동발달 이론가 [Piaget의 인지 발달이론 Kohlberg Pavlov Skinner Watson Bandura Freud Er...
언어발달 이론 학자의 공헌점과 한계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