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성격특성론
(1) 올포트의 성격특성론
(2) 켓텔의 성격요인의 분석
(3) 아이젠크의 성격특성모형
(4) 특성이론들의 공통적인 특징
a. 특성들의 일반성과 안정성
b. 기본적 특성들에 대한 탐색
c. 행동신호로부터 특성을 추론하기
d. 수량화
2. 정신분석
3. 성격특성론과 정신분석의 차이점
4. 나의 생각
<참고문헌>
(1) 올포트의 성격특성론
(2) 켓텔의 성격요인의 분석
(3) 아이젠크의 성격특성모형
(4) 특성이론들의 공통적인 특징
a. 특성들의 일반성과 안정성
b. 기본적 특성들에 대한 탐색
c. 행동신호로부터 특성을 추론하기
d. 수량화
2. 정신분석
3. 성격특성론과 정신분석의 차이점
4. 나의 생각
<참고문헌>
본문내용
배울 때 프로이드의 대단함도 몰랐고, 특히 꿈을 가지고 무의식 세계를 본다 하였을 때 왜 이런 사람이 심리학에서 대단한 인물인지 실감이 나지 않았다. 하지만, 올해 설날 연후 때 KBS1에서 프로이드의 무의식 세계에 대한 프로그램을 보내준 적이 있다. 그 프로그램을 본 이후로 나는 프로이드의 대단함을 느꼈다.
하나의 일화를 말하자면, 올포트는 이스탄불의 한 대학에서 1년간 영어와 사회학을 가르치고, 귀국 길에 프로이트를 방문했다. 프로이트가 침묵을 지키자, 그는 불편해진 나머지 오는 길에 전차에서 본 일을 이야기하였다. 네 살쯤 된 사내아이가 더러운 것을 못 참는 듯 엄마에게 이것저것이 더럽다고 하며 “엄마 저 더러운 사람 내 옆에 못 앉게 해”라고 말했다는 것이었다. 빳빳하게 풀 먹인 옷을 입고 있는 아이 어머니는 아들을 휘두르는 사람인 것으로 보였다. 올포드가 이야기를 끝내자 프로이드는 그를 온화하게 바라보며 “그런데 그 아이가 당신이었습니까?”라고 물어보자 그는 당황해서 화제를 바꾸었다. 올포드는 후에 자서전에서 프로이트가 “신경증적 방어들에 익숙해 있고 나의 외현적 동기를 보지 못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썼다. 흥미 있게도, 올포드는 실제로 매우 소심하고 시간을 잘 지키며 깔끔하고 정돈을 잘하는, 프로이드가 말하는 항문적 또는 강박적 성격 유형의 사람이었다고 한다.
나는 어떤 시기에 고착되어 있는 사람인지 아직도 잘 모르겠다. 하지만, 분명히 나는 나만의 성격 특성이 있고, 이 성격이 부모님의 유전적인 영향을 받기도 하고, 사회적으로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물론 프로이트가 말하는 정신분석적으로 나타나는 성격이 있을 것이다. 지금 내가 심리상담치료학과의 학생이 된 것은 무의식적인 것이 아니라 외적 동기가 있어 선택한 것이다.
성격특성론과 정신분석 이론을 잘 병합하여 성격 형성에 대해 더 연구하게 된다면 성격심리학은 더 훌륭한 학문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리고 그 학문 연구는 타인이 아닌 나 자신이 하고 싶다. 이 생각은 물론 무의식적으로 잠재된 나의 동기이면서 심리상담치료학과에 와서 심리학을 공부하며 느낀 의식적 동기이다.
참고문헌
박아청(1997) 성격심리학. 서울, 교육과학사
홍숙기(2004) 성격심리(하). 서울, 박영사
김정일(1999) 아하, 프로이트1. 서울, 푸른숲
이반 워드(2002) 정신분석. 서울, 김영사
Walter Mischel(2002) 성격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하나의 일화를 말하자면, 올포트는 이스탄불의 한 대학에서 1년간 영어와 사회학을 가르치고, 귀국 길에 프로이트를 방문했다. 프로이트가 침묵을 지키자, 그는 불편해진 나머지 오는 길에 전차에서 본 일을 이야기하였다. 네 살쯤 된 사내아이가 더러운 것을 못 참는 듯 엄마에게 이것저것이 더럽다고 하며 “엄마 저 더러운 사람 내 옆에 못 앉게 해”라고 말했다는 것이었다. 빳빳하게 풀 먹인 옷을 입고 있는 아이 어머니는 아들을 휘두르는 사람인 것으로 보였다. 올포드가 이야기를 끝내자 프로이드는 그를 온화하게 바라보며 “그런데 그 아이가 당신이었습니까?”라고 물어보자 그는 당황해서 화제를 바꾸었다. 올포드는 후에 자서전에서 프로이트가 “신경증적 방어들에 익숙해 있고 나의 외현적 동기를 보지 못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썼다. 흥미 있게도, 올포드는 실제로 매우 소심하고 시간을 잘 지키며 깔끔하고 정돈을 잘하는, 프로이드가 말하는 항문적 또는 강박적 성격 유형의 사람이었다고 한다.
나는 어떤 시기에 고착되어 있는 사람인지 아직도 잘 모르겠다. 하지만, 분명히 나는 나만의 성격 특성이 있고, 이 성격이 부모님의 유전적인 영향을 받기도 하고, 사회적으로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물론 프로이트가 말하는 정신분석적으로 나타나는 성격이 있을 것이다. 지금 내가 심리상담치료학과의 학생이 된 것은 무의식적인 것이 아니라 외적 동기가 있어 선택한 것이다.
성격특성론과 정신분석 이론을 잘 병합하여 성격 형성에 대해 더 연구하게 된다면 성격심리학은 더 훌륭한 학문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리고 그 학문 연구는 타인이 아닌 나 자신이 하고 싶다. 이 생각은 물론 무의식적으로 잠재된 나의 동기이면서 심리상담치료학과에 와서 심리학을 공부하며 느낀 의식적 동기이다.
참고문헌
박아청(1997) 성격심리학. 서울, 교육과학사
홍숙기(2004) 성격심리(하). 서울, 박영사
김정일(1999) 아하, 프로이트1. 서울, 푸른숲
이반 워드(2002) 정신분석. 서울, 김영사
Walter Mischel(2002) 성격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추천자료
성격심리학.
성격과성격심리학이론정리발표자료
[성격심리학] 성격이론 분석 및 사례적용 레포트 자료 [A+추천 레포트]
알프레드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 - 개인심리학 & 성격심리학 & 출생심리학
[상담이론 및 실제]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을 비교, ...
현대상담이론인 정신분석적접근법과 관계지향적인접근법과 인지적 행동적인접근법에 대하여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을 설명하고 자신과 주변인의 삶을 이해하는데 적용되었던 내...
[놀이치료] 정신분석적 놀이치료, 아동중심 놀이치료, 인지행동 놀이치료, 치료기법, 치료과...
[인간과심리 1공통] (1)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에 대해 설명, ...
다음의 제시한 영화 중 하나를 보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인 관점에서 논하거나 캐릭터를 비...
[심리학의 범위] 기초심리학(생리심리학, 인지심리학, 발달심리학, 성격심리학, 사회심리학),...
성격심리학
[성격심리학] 성격심리학의 의의(목적과 목표), 성격심리학과 일반심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