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장애인 복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정의와 현황

2. 장애인 관련법률

3. 장애인 복지대책

본문내용

스와 보호서비스를 제공한다. 주간보호센터에서는 사회심리적 서비스를 제공한다.
⑤ 정신보건법 : 소규모 지역병원을 중심으로 한 치료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때 주간보호센터에서 오락, 재활프로그램, 작업장 등을 제공하여 전문적 자문과 상담서비스를 통해 사회복귀를 위한 준비를 돕고 있다. 정신의료간호사와 정신장애인 전문간호사를 배치하여 정신 장애인들의 욕구를 정기적으로 조사, 파악하여 종합적 계획을 수립한다.
♧ 시설보호서비스
① 보호숙사제도 : 국가부조법에 의거,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 노인, 요보호자등에 대하여 적합한 숙소를 마련해야 할 책임을 진다.
② 교통서비스 : 자가운전 시 뱃지를 표시하여 주차편의를 제공하며, 하반신마비자난 보행불능자에게는 3륜 자동차를 현물로 지급하며, 중증장애인에게는 전동차의자를 교부, 교통비를 국가에서 보조한다.
4) 주거 및 기타 대책
♧ 주거서비스
① 주거서비스 : 만성질환자 및 장애인법에 따라서 주택을 제공하고 주택개조 시 개조비용을 보조하며, 장애인용 특수주택을 건설, 분양한다.
② 단기거택센터 : 시설에서 퇴원한 장애인에게 일시적인 거주지를 제공한다.
③ 호스텔 : 사회복귀를 위한 준비기간동안 장애인을 단기 수용하기 위한 제도.
④ 중간시설 : 중간정도 지원이 가능한 장애인이 사는 곳.
♧ 장애인의 여가 및 문화생활서비스
① 여행 : 사회서비스부와 민간봉사단체가 협력하여 무료 또는 저가로 여행서비스를 제공하며, 장애인용 종합이용시설을 지방자치단체가 설치, 운영한다.
② 스포츠활동 : 재활센터나 장애인클럽 등에서 스포츠활동을 지원하며 스포츠실시기관에서 재정지원을 한다.
  • 가격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1.30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1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