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들어가며
☉ 박노해 시인의 시와 감상...
☉ 장르변환
☉ 박노해 시인의 시와 감상...
☉ 장르변환
본문내용
그래서 그 뜻을 찾으려면 여러번 생각을 해야 하는데 박노해의 시는 그렇지 않다. 물론 그러한 시들이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러한 시들은 이러한 노동자의 생활이라든지, 민중을 외치기에는 뭔가 2% 아쉬운 부분이 많다. 식민지 시대에 나라를 잃은 슬픔을 적은 시들을 보면 박노해의 시처럼 남성적이고 거친 시들이 많다. 아마도 그것은 혁명을 노래하고, 자유를 울부짖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고통을 겪은 자만이 그 고통을 알듯이, 고통 속에서의 울부짖음은 가장 그 고통을 생생하게 느끼게 해주는 듯하다.
민중시를 적던 시인들이 자신들의 출신 성분을 저주할 정도였다면, 노동, 민중의 시는 결코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부분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된다. 겪어보지 않고서는 순간순간 그 상황에서 어떠한 생각을 하는지, 무슨 생각으로 상황을 겪고 있는지 지켜보기만 해서는 모르는 것이다. 시청자가 텔레비전 프로의 단면만 볼 수 있듯이, 겪어보지 않고 그것의 단면만을 보고 이해한다며 하는 것은 배우가 연기를 하고 있는 것뿐인 것이다. 배우가 드라마 속 주인공을 연기만 할 뿐 실제로 그 주인공이 아니듯이 그런 것이 아닌가 싶다.
그러한 점에서 박노해의 시는 많은 이들에게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었을 것이고, 현실을 고발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독립운동가들의 끝없는 투쟁이 광복을 이루었고, 노동자들의 끝없는 외침이 그들의 인권을 신장 시키는 것이다. 세상은 진보하고 때로는 퇴보한다. 그 중간에서 세상을 진보시키는 것도 사람이고, 퇴보시키는 것 역시 사람인 것이다. 지금 수 많은 노동자들이 그들의 권리를 찾을 수 있는 것 역시 박노해 혹은 다른 수 많은 노동자 시인과 그 외의 노동 인권을 외치던 사람들이 만들어낸 역사적 원동력이라 생각된다.
장르변환
- 생활에서 볼 수 있는 것을 써서 시를 써보았다.
박노해 시인이 노동자의 노래를 했다면, 여성의 노래 정도라고 칭할 수도 있겠다.
전쟁이 끝났다.
26년째 이어져오는
끝이 보이지 않아 더 괴롭고 서러운
전쟁의 하루가 끝났다.
하루 종일 태양보다 더 뜨거운
기름 솥에 앞에 앉아
지지고 볶고, 지지고 볶고,
그렇게 전쟁을 한다.
어여쁘던 손에 꼭 맞던 반지는
26년 해온 전쟁 통에
이산가족 마냥
예전의 잃어버린 손가락을
찾아 헤매이고
내 거칠은 손은 누런 금반지 하나 끼우지 못한 체
한겨울 차가운 전쟁 속으로
들어간다.
달도지지 않은 어설픈 새벽부터
시작된 것이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아직도 돌아간다.
이 전쟁의 끝은 언제란 말인가?
하루가 지나
조상님 오는 밤이 되면
그제야 끝나는
하나의 전쟁.
한상 차려놓고
물러 앉아 보니
내 아버지 수저는 없다
내 아버지 드실 것은 없다.
전쟁 같은 하루를
치러내도
남는 건 가슴 속
서러움.
왜 이렇게 힘든 건지
왜 이렇게 아픈 건지
왜 이렇게 서러운지
향냄새 그득한 방에서 나와
기름 찌든 부엌에 앉아
홀로 기린다.
내 딸에겐 없기를
이 서러운 전쟁이 없기를...
그렇게 기리며
또 하루의 전쟁을
보낸다.
민중시를 적던 시인들이 자신들의 출신 성분을 저주할 정도였다면, 노동, 민중의 시는 결코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부분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된다. 겪어보지 않고서는 순간순간 그 상황에서 어떠한 생각을 하는지, 무슨 생각으로 상황을 겪고 있는지 지켜보기만 해서는 모르는 것이다. 시청자가 텔레비전 프로의 단면만 볼 수 있듯이, 겪어보지 않고 그것의 단면만을 보고 이해한다며 하는 것은 배우가 연기를 하고 있는 것뿐인 것이다. 배우가 드라마 속 주인공을 연기만 할 뿐 실제로 그 주인공이 아니듯이 그런 것이 아닌가 싶다.
그러한 점에서 박노해의 시는 많은 이들에게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었을 것이고, 현실을 고발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독립운동가들의 끝없는 투쟁이 광복을 이루었고, 노동자들의 끝없는 외침이 그들의 인권을 신장 시키는 것이다. 세상은 진보하고 때로는 퇴보한다. 그 중간에서 세상을 진보시키는 것도 사람이고, 퇴보시키는 것 역시 사람인 것이다. 지금 수 많은 노동자들이 그들의 권리를 찾을 수 있는 것 역시 박노해 혹은 다른 수 많은 노동자 시인과 그 외의 노동 인권을 외치던 사람들이 만들어낸 역사적 원동력이라 생각된다.
장르변환
- 생활에서 볼 수 있는 것을 써서 시를 써보았다.
박노해 시인이 노동자의 노래를 했다면, 여성의 노래 정도라고 칭할 수도 있겠다.
전쟁이 끝났다.
26년째 이어져오는
끝이 보이지 않아 더 괴롭고 서러운
전쟁의 하루가 끝났다.
하루 종일 태양보다 더 뜨거운
기름 솥에 앞에 앉아
지지고 볶고, 지지고 볶고,
그렇게 전쟁을 한다.
어여쁘던 손에 꼭 맞던 반지는
26년 해온 전쟁 통에
이산가족 마냥
예전의 잃어버린 손가락을
찾아 헤매이고
내 거칠은 손은 누런 금반지 하나 끼우지 못한 체
한겨울 차가운 전쟁 속으로
들어간다.
달도지지 않은 어설픈 새벽부터
시작된 것이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아직도 돌아간다.
이 전쟁의 끝은 언제란 말인가?
하루가 지나
조상님 오는 밤이 되면
그제야 끝나는
하나의 전쟁.
한상 차려놓고
물러 앉아 보니
내 아버지 수저는 없다
내 아버지 드실 것은 없다.
전쟁 같은 하루를
치러내도
남는 건 가슴 속
서러움.
왜 이렇게 힘든 건지
왜 이렇게 아픈 건지
왜 이렇게 서러운지
향냄새 그득한 방에서 나와
기름 찌든 부엌에 앉아
홀로 기린다.
내 딸에겐 없기를
이 서러운 전쟁이 없기를...
그렇게 기리며
또 하루의 전쟁을
보낸다.
추천자료
2012년 1학기 한국현대문학의 이해와 감상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한국현대문학의 이해와 감상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한국현대문학의이해와감상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한국현대문학의이해와감상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하계계절시험 근현대문학사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근현대문학사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근현대문학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한국현대문학의이해와감상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근현대문학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근현대문학사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