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앙아시아 소개
2. 인접국들의 중앙아시아 투자 목적
3. 터키의 접근 강화에 대한 중앙아시아의 반응
4. 한국의 對 중앙아시아 전략
5. 중앙아시아에 대한 한국의 기회 요인
6. 향후 발전 전망 및 결론
2. 인접국들의 중앙아시아 투자 목적
3. 터키의 접근 강화에 대한 중앙아시아의 반응
4. 한국의 對 중앙아시아 전략
5. 중앙아시아에 대한 한국의 기회 요인
6. 향후 발전 전망 및 결론
본문내용
중앙아시아 소개
1. 중앙아시아
※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지리적 요충지
-> 세계적인 물류 거점으로서의 잠재력
풍부한 천연자원
2015년 까지 연평균 6.7%의 높은 경제 성장률 달성 전망
인접국들의 중앙아시아 투자 목적
2. 인접국들의 중앙아시아 투자목적
- 미국
-지정학적 거점확보
(초강대국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조건)
-경제적 이익 추구
(대체유전과 수송로 확보, 새로운 상품 시장 개척)
- 러시아
-군사 동맹 체
-에너지 자원 국 간의 동맹을 통한 국제적 위상 획득
- 터키
-범투르크 민족공동체를 복원하고자 하는 제국적 야심
-경제진출
- 중국
-강대국화 정책의 성공을 위한 서부 국경의 안정
-에너지 자원 확보
-미군의 중앙 아시아 주둔으로 인한 잠재적 안보위협대처
참여정부의 중앙아시아 협력 증진 노력
2004년 카자흐스탄 방문
2005년 우즈베키스탄 방문
2005년 라흐모노프 타지키스탄 대통령 방한
2006년 카리모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방한
2007년 아탐바예프 키르기즈 총리 방한
1. 중앙아시아
※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지리적 요충지
-> 세계적인 물류 거점으로서의 잠재력
풍부한 천연자원
2015년 까지 연평균 6.7%의 높은 경제 성장률 달성 전망
인접국들의 중앙아시아 투자 목적
2. 인접국들의 중앙아시아 투자목적
- 미국
-지정학적 거점확보
(초강대국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조건)
-경제적 이익 추구
(대체유전과 수송로 확보, 새로운 상품 시장 개척)
- 러시아
-군사 동맹 체
-에너지 자원 국 간의 동맹을 통한 국제적 위상 획득
- 터키
-범투르크 민족공동체를 복원하고자 하는 제국적 야심
-경제진출
- 중국
-강대국화 정책의 성공을 위한 서부 국경의 안정
-에너지 자원 확보
-미군의 중앙 아시아 주둔으로 인한 잠재적 안보위협대처
참여정부의 중앙아시아 협력 증진 노력
2004년 카자흐스탄 방문
2005년 우즈베키스탄 방문
2005년 라흐모노프 타지키스탄 대통령 방한
2006년 카리모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방한
2007년 아탐바예프 키르기즈 총리 방한
추천자료
2010년 2학기 국제정책및통상갈등 기말시험 핵심체크
[독일][독일교육][국제교류정책][주5일제수업][직업교육훈련제도][특수학교][교원양성제도]독...
2011년 2학기 국제정책및통상갈등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2학기 국제정책및통상갈등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국가,기업 간의 갈등)
2013년 2학기 국제정책및통상갈등 기말시험 핵심체크
[국제식품정책론] 최근 식량위기와 각국의 대응방안 (식량위기 원인, 양상, 국제적 대응 , 각...
2014년 2학기 국제정책및통상갈등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남북 간의 갈등)
2014년 2학기 국제정책및통상갈등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국제정책및통상갈등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국제경제정책] 한-칠레 FTA - 한국 칠레 FTA 효과, 전망, 영향,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2016년 하계계절시험 국제정책및통상갈등 시험범위 핵심체크
소비자 관련 국제기구의 활동(국제소비자기구, ISO의 소비자관련활동-국제소비자정책위원회)
국제정책)한ㆍ중 FTA의 의의를 서술하시오. 한ㆍ중 FTA에 의한 한국측의 득과 실을 서술하시오.
2018년 하계계절시험 국제정책및통상갈등 시험범위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