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풀에 대한 연구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Why 병풀?

2. 병풀의 특성

3. 병풀(Centella asiatica)의 효능

4. 병풀의 역사적 사용과 연구 중에 있는 병풀의 가능성
<병풀에 대한 연구결과 요약>

5. 병풀의 주성분과 실제 제품 사례

6. 병풀 잎에서 triterpene glycosides의 시기별 함량 변화

7.보고서를 마치며

본문내용

o assure the safest and most noticeable results in the shortest possible time span.
이 외에도 각종 centella asiatica powder 와 화장품, 비누, 연고 등 셀 수 없이 많은 제품들이 있다.
6. 병풀 잎에서 triterpene glycosides의 시기별 함량 변화
병풀에 있어 주요성분의 중요성만큼 병풀을 언제 채취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에 대한 연구도 중요하다. 다음은 우리나라에서 병풀의 채취시기별, 조직부위별로 주성분인 triterpene glycosides 의 함량 변화 및 축적에 대한 연구결과이다.
① 시기별 생장변화
5월부터 8월까지 병풀의 생산량이 점차 증가하였고, 9월에는 병풀의 생산량이 점차 감소하였다. 특히, 7월에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는데 이는 6월 중순부터 시작된 장마 기간동안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어 포복경으로 영양생식을 하는 식물체에게 물리적으로 뿌리를 쉽게 내릴 수 있었으며, 그들의 영역을 확장하여 포복경으로부터 새로운 신초가 생성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②시기별 잎과 엽병에 부위별 함량변화
병풀에서 triterpene glycosides 함량 변화는 5월부터 매달 계속 증가하다가 장마가 시작되는 7월에 급격히 감소하다가 9월에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는 장마로 인하여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어 식물체 생장이 최적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이차대사산물인 triterpene glycosides는 반대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병풀 생장시 이차대사보다 일차대사가 더 활발하였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일조량이 가장 많은 9월에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광합성을 하는 잎에서 triterpene glycosides가 합성되어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반면에 엽병에서 triterpene glycosides함량 변화는 잎과 유사하나 8월에 가장 낮았으며 5월에 가장 많이 축적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엽병에서 함량 변화는 큰 차이는 없었다.
5월부터 10월까지 병풀의 지상부에 triterpene glycosides 인 madecassoside 와 asiaticoside의 시기별 함량변화를 조사한 결과, 잎에서는 9월에 약 108.1mg/g으로 가장 높은 수준의 함량을 보였다. 엽병에서는 19.02mg/g으로 잎에서 보이는 수준보다는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병풀의 triterpene glycosides는 잎에 주로 축적되며, 가장 적절한 병풀의 수확시기는 9월로 잠적 확인되었다
7.보고서를 마치며
보고서를 쓰기 위해 자료를 검색하면서 영어논문이 많아 난감 하 긴 했지만 의외로 병풀에 대한 연구자료가 많다는 데에 놀라게 되었다. 처음에 보고서 주제를 생각할 때는 피부미백이나 주름개 선의 기능성 화장품에 대해 조사해야겠다고 생각했었는데 “마데 카솔” 이 한 단어에 빠져서 병풀에 대한 조사를 하게 되었다. 병 풀은 그 효능이 정말 무한에 가까운 약용식물인 것 같다. 피붙이 료효과라는 외상적 치유능력부터 치매와 집중력 향상이라는 정신 영역까지 미치지 않는 영역이 거의 없었다. 자료를 조사하면서 아쉬웠던 점은 내가 아직 약용 식물을 비롯하여 약품 분야에 지식이 너무 얕아서 어려운 논문들을 이해할 수가 없었다는 것이다. 그래도 인터넷에서 알아듣기 힘든 단어들을 찾아봐가며 조금이라도 약용식물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느낄 수 있었다. 중간고사 공부를 할 때는 잎의 모양을 가리키는 원형이니 잠두형(reniform)이니, 꽃이 산형화서니 하는 용어를 왜 외워야 하나 싶고 더욱이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달달 외웠던 “식물 대사표”가 도움이 될까 싶었다. 그런데 이렇게 보고서를 쓰면서 triterpene glicoside, 이차 대사 산물 등등 아는 단어가 나올 때마다 이래서 그때 그 표를 외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보고서를 쓰는 내내 궁금했던 건 병풀이 잔주름 개선효과와 모공 축소효과가 있으니 과연 마데카솔을 얼굴에 발라도 그런 효과를 거둘 수 있는가 하는 것이었다. 또 병풀에 관한 연구 중 우리나라 주상섭 교수팀의 치매치료후보 물질에 대한 연구내용을 더 알고 싶었는데 논문검색 등 자료를 찾으려고 노력했지만 찾을 수 없었다. 게다가 2000년 발표 후 7년이 지난 지금 아무런 언론 보도가 없어 혹시 연구가 중단된 것은 아닌지 걱정도 되었다. 이번 보고서를 통해서 병풀은 내가 가장 잘 아는 식물이 되었다. 이제는 마데카솔을 한번 쓸 때도 더 남다른 생각이 들 것 같다.
  • 가격6,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2.12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05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