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0년대 패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940년대 패션
1.사회 문화적 배경
(1)국외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
여성의식의 변화
과학의 발전
음악과 스포츠
(2)국내

2.세계의 패션 경향
(1)여성복
밀리터리 룩의 유행과 의류산업의 제한
디자이너룩
뉴 룩
소녀들의 패션
비키니의 출현
(2)남성복
(3)아동복
(4)액세서리 및 기타
스타킹과 구두
모자와 헤어스타일

3.우리 나라의 패션 경향
복식문화의 공백기
의복의 기능성 중시
(1)여성복
재킷, 블라우스, 코트
행주치마
학생의 복식
혼례복
속 옷
(2)남성복
국민복
양복

본문내용

들은 종아리 뒷부분에 스타킹의 솔기선처럼 보이는 선을 그어서 스타킹을 신은 것처럼 보이도록 하기도 했다.
모자와 헤어스타일
전 시대와 차이가 거의 없었다. 가장 일반적인 머리장식은 터번과 스카프이다.
3.우리 나라의 패션 경향
복식문화의 공백기
전 시대에 이어 1940년대는 복식문화의 공백기라고 규정지을 수있다. 이 시기의 양장은 세계적인 패션의 흐름에도 나타나듯이 밀리터리 룩을 기본으로 한 투피스와 빅 코트가 그대로 보인다.
의복의 기능성 중시
전쟁의 영향으로 인하여 의복의 기능성이 중시되고 실용적인 '몸빼' 형의 바지를 많이 착용하였다. 의류제품들이 구제품에 의존하였으며 미군을 상대로 하는 접대부들이 패션리더의 역할을 하였다. 어깨에는 패드를 넣어 과장을 하였는데 이러한 볼드 룩(bold look)은 밀리터리 룩으로의 유행을 예고하였다. 교복의 경우 한복대신 양복을 입게 되었다.
(1)여성복
허리에 벨트가 있고 양옆에 포켓이 있는 '간단복'이라는 원피스를 입도록 강요하였다. 군복 스타일이 유행하였으나 광복 후 여성적인 스타일이 등장하였다. 이때에도 양장을 착용한 여성은 극소수로 보여진다.
재킷, 블라우스, 코트
이 시기의 재킷은 전형적인 밀리터리 룩 스타일이고, 블라우스는 장식이 무시된 기능적인 스타일로 특이한 것은 여름용으로 소매가 없는 슬리브리스 스타일이 등장한 점이다. 코트는 대부분 직선적인 스타일이며 길이는 무릎까지이다.
행주치마
일할 때 치마 위에 입던 행주치마는 장식용으로 변화되어 긴치마에 에이프런을 두르기도 하였다.
학생의 복식
몸빼에 교복 윗도리를 입게 되었고 당시 머리 스타일은 단발머리였으나 학생들은 금지하고 있는 퍼머넌트를 선호하였다. 1942년에는 전국 남녀 중등학생 교복의 동일화가 강요되었다.
혼례복
주로 흰색 치마저고리를 입었다.
속 옷
사루마다라는 블루머를 입고 어깨 끈을 단 속치마를 입었다.
(2)남성복
거의 획일적으로 국민복 차림을 하였다.
국민복
스탠드 칼라에, 양 가슴에 뚜껑이 있는 입술이 큰 포켓을 다는 것이 보통이며, 앞단추는 5~6개를 달았다. 학생교복과 동일해 졌다.
양복
학생의 복식
남학생의 교복은 여학생의 교복 양장화보다 10년쯤 빠르게 양복화가 진행되었다. 이때부터 80년대까지 전국 학생복의 디자인은 통일되어 스탠드 칼라의 상의에, 여름철에는 흰색 상의를 입었고 겨울철에는 오버코트나 망토, 더플 코트를 걸쳤다.
아동복은 국민복의 축소형이 대부분이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2.15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11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