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icacid 엽산,폴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次例
1.엽산의 정의
- 엽산의 구조

2. 엽산의 체내 기능
1)엽산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 임신과 엽산
- 우리나라 가임 여성의 엽산 섭취량
2)암 전기 단계의 병변 감소
3)심장병 위험률감소

3. 효과적인 엽산 섭취법
-한국인 권장량
-안정성
- 결핍증

4. 엽산에 관한 기사

본문내용

도 풍부하게 들어 있다. 또한 아침식사용 시리얼이나 빵, 파스타 등에도 엽산이 들어 있다. 이외에 우리가 평소 먹는 다양한 음식에 엽산이 미량 들어 있으므로, 평소 비타민 B가 많이 함유된 음식을 골고루 먹는다면 엽산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다. 엽산은 열을 5분 이상 가열하면 50% 이상 성분이 파괴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엽산이 함유된 음식을 조리할 때는 열을 지나치게 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가급적 생으로 먹을 수 있는 것은 그냥 먹거나 살짝 데쳐 먹는 것이 좋다
3) 음식 섭취가 힘들다면 영양제로 섭취한다
입덧이 심해 음식을 잘 못 먹거나 매일같이 음식으로 엽산을 섭취하는 일이 번거롭고 힘들다면 엽산이 포함된 보충제나 철분제, 종합 비타민제로 복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임신부들이 임신 후 태아 건강 때문에 약 복용을 꺼리는데, 현재 시판하고 있는 임신부용 비타민제는 용량대로 복용하면 부작용이 없으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엽산이 포함된 영양제는 가까운 약국에서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다.
-한국인 권장량
성인 남녀(16세 이상):0.25mg,임산부:0.5mg,수유부:0.35mg 최근 엽산을 매일 0.4mg을 취할 때,신생아 신경관 결함이 예방될 분만 아니라 심장 질환의 발생도 저하되는 것으로 증명됨에 다라,모든 성인의 엽산 권장량을 0.4mg으로 증가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 안정성
일반적으로 엽산의 경구 복용은 해롭지 않다.매일 15mg을 투여해도 부작용이 없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5년 동안 매일 10mg의 엽산을 투여해도 부작용은 없었다.
그러나 엽산의 과량 투여로 간질 치료제의 효과에 길항하여 간질 환자의 박작 횟수가 증가된다는 주장이 있으며,아연의 흡수가 방해된다는 보고도 있다.
한편,과량의 엽산은 비타민B12의 결핍 상태를 가리울수 있으므로 빈혈 환자에게는 엽산을 함부로 사용해서는 안된다.비타민B12 결핍을 방치하여 신경계 손상이 올 수도 있다.
- 결핍증
입안이 쓰리고 설사가 심해지고,건망증이나 신경예민과 같은 중추신경계 증상을 보인다.
엽산 결핍은 빈혈,특히 거대적아구성 빈혈을 일으키고,특히 임산부의 엽산 결핍은 사산,조산,저체중아 출산 등 임신 결과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만성적인 엽산 결핍으로 피로와 활력 및 정력을 잃게 되며 입과 혀에 염증이 생길수도 있다. 최근에는 엽산의 결핍으로 태아의 신경관 결함의 빈도가 높아지며,여성의 자궁 경부 형성 장해의 발생과도 관련이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
나아가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을 일으켜 심장병 위험도를 높힌다
결핍증에 걸리기 시운사람은 노인,임신,수유부,경구 피임제 복용자,다이어트중인 사람,위축성 위염을 앓고 있어 엽산의 체내 흡수가 불량한 사람.간질,암 등의 치료를 위해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
4. 엽산에 관한 기사
술많이 마시면 동맥경화 되레 촉진"-엽산 파괴 원인물질 대사 장애
장기간의 만성적 음주는 동맥경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영남대 식품영양학과 서정숙교수는 한국과학재단 지원으로 지난 96년 3월부터 2년 동안 공동 수행한 연구과제(만성적인 알코올섭취가 영양소의 체내흡수 및 상태에 미치는 영향)보고서에서 이같은 사실을 밝혔다.
이는 지금까지 상식화 돼 온 [알코올 섭취가 혈액순환을 도와 동맥경화 등 관상혈관게 질환 에방 효과를 가져온다]는 임상적 소견에 반하는 연구결과여서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보고서는 실험용 동물에게 알코올을 하루 열량의 30%(2홉들이 소주 1-1병반)이상씩 장기 투여한 결과 체내 동맥경화 원인물질인 [호모시스테인]농도가 크게 높아졌다고 밝혔다.
또 하루 알코올을 열량의 20%(2홉들이 소주 0.8병)이상 섭취할 경우 간조직내 비타민A가,10%이상에서는 비타민E가 파괴돼 원상회복이 늦어지면서 만성퇴행성질환,암 등 각종 질병과 노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함께 서교수는 알코올이 체내의 각종 영양소를 파괴,빈혈을 초래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매일신문 9.29.12.
'호모시스테인 과다 유산'-엽산으로 완치-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단백질의 일종인 '호모시스테인' 과다증으로 자주 유산하는 여성이국내 최초로 발견됐다.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남윤성교수는 "혈중 호모시스테인이 21.2μmol/l 로 일반인(7-8μmol/l)보다 3배 가량 높은 습관성유산 환자의 유전자를 검사한 결과 6월말 '호모시스테인 과다증'임이 판명됐다"며, "엽산으로 치료한 결과 정상으로 돌아왔다'고 밝혔다.
남교수는 "엽산이 부족하면 유산과 기형아 출산 위험이 커진다"며, "적어도 임신 1개월전부터 임신 3개월까지는 엽산이 많이 들어있는 녹황색채소,계란노른자, 통밀로 만든 빵, 오렌지쥬스 등을 먹으라"고 권했다.-동아일보.1999.7.21.C7
엽산 남성 불임에도 효과-정상적인 정자 생성 도와
결핍될 경우 태아 신경관이상의 발생 위험이 듭증하는 것으로 알려진 엽산이 남성의 불임증에도 효과가 잇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상적으로 정자가 생성되는데 중요한 MTHER이라는 효소의 돌연변이가 엽산이 결핍되면 일어나기 수비다는 것.
연팀의 총 255명의 가임 남성과 200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엽산이 부족할 경우 돌연변이 확률이 2배(18.8%대 9.5%) 가깝게 높았다고 발표했다. 외부에서 엽산을 인위적으로 보충하여 혈중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MTHER효소의 돌연변이율도 분명하게 떨어졌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한편 엽산과 MTHER효ㅗ의 돌연변이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비타민 B1의 농도도 연관시켜 조사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엽산의 투여가 비타민B12부족으로 인한 악성 빈혈 증상을 감춰주기 때문이라고 덧붙엿다.-약사공론 2001.5.10.1
5. 참고문헌
아이세상 블로그 http://blog.naver.com/idakstn77?Redirect=Log&logNo
네이버 백과사전
윤옥희 요리학원 http://user.chollian.net/~yca1425/
http://www.taekyoplaza.com/
(출처 : '임산부가 겪는 문제점과 해결책' - 네이버 지식iN)

키워드

엽산,   폴산,   folicacid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2.18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13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