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n maker )※
- 종류 ① 수직 고정식 : 수평고정식에 비해 테 고정 누름판을 강력한 압력으로 힘을 가하여 테의 변형이 생 기기 쉽고 귀갑테에 사용 하면 안된다.
② 수평 고정식 : 수직 고정식에 비해 테를 셋팅하는데 시간이 걸림
- 실제 형판의 크기보다 0.2mm 크게 해서 수동 옥습기로 미조정 할 수 있는 여유분 남김
- 렌즈의 상하위치가 뒤 바뀌지 않도록 ( 고무 흡입판 금속판에 빨간 인점이 되어 있는 곳을 위로) 주의함
※ 휠 회전의 선택 ※
① 스텝회전 ( 연속 회전 , step ) : 자르기가 끝난 렌즈에 사용한다.
② 리텐회전 ( 반전, returm ) : 처음 회전시는 일정 회전 방향으로 돌지만, 한 부분이라도 소정의 크기로 연 삭되어지던 렌즈 고정부를 다시 반대로 회전하는 반전을 반복하면서 남은 연삭 부분을 반복하여 신속히 가장 자리가 연삭되게 함, 자르기를 행하지 않은 렌즈에 적합
③ 역회점 ( reverse ) : 휠 수정에 이용
※ 산각 커브 선택 ※
- 보통 커브 눈금 0~9커브, 산각 커브 선정기를 돌려 맞춤
테의 종류에 따르 커브 선택
① 테의 커브는 통상 5 커브를 기준
② 플라스틱테는 (+)렌즈 : 5커브를 기준으로 약간 큰 커브, (-)렌즈: 5커브를 기준으로 약간 작은 커브
③ 메텔테 : 안경테의 커브와 렌즈의 산각 커브를 일치함
자유 커브 선택 : 눈금 조작을 하지 않고 통상 렌즈 두께의 중앙에 산각이 생기게 하는 기구,
구면렌즈 중산각에 이용
※ 렌즈 산각 종류의 선택 ※
- 산각 선정 다이얼을 돌려 만들 수 있는 산각의 종류 → 1차 거친 평산각, 평산각, 중산각, 고산각
① 평산각 : 원포인트 테, 투포인트 테, 나일론테의 가공
② 중산각 : 가장자리 두께가 얇은 렌즈, 자유 커브 선택 시 사용
③ 고산각 : (+)(-)의 가장자리가 두꺼운 렌즈에 사용
④ 렌티큘러(lenticular) 가공 : 백내장 혹은 -10.00D이상의 강한 굴절력의 (-)렌즈에 쓰임,
산각 위치를 맞추는데는 렌즈의 가장 자리 가운데 가장 얇은 위치를 기준으로 함
즉, (-)렌즈는 렌즈 윗부분을 (+)렌즈는 귀방향 상부의 모서리를 기준으로 맞춤
※ 필요렌즈의 최소 직경 ※
FPD - PD + X(최대 직경) + 1mm(산각깊이)
※ 다듬 상자 ( trimming box ) ※
- 외주선과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작업
- 구조 : 미세파편 모음 상자, 다듬 봉, 렌즈 지지부
- 순서는 (-)면을 먼저 다듬고 (+)면을 후에 다듬는다 → 렌즈를 연직선에서 30~40정도로 뒤어서 작업
※ 보판을 위한 형판 기입 사항 ※
- 안경테 메이커명, 상품명과 상품 번호, FPD, eye size와 bridge size
※ 설계 차드 (Box-O- graph) ※
- 기준점 설정, 설계점의 결점, 좌우길이, 조제 및 가공 PD확인, 광학적 중심 높이의 측정
※ 안경테의 계측 ※
① 데이텀 라인 시스템 (datum line system)
- 영국 프랑스에서 지켜온 가장 오래된 규약
- 렌즈 삽입부의 크기 (eye size) : 삽입될 렌즈의 모양의 상부 곡선과 하부 곡선의 돌출부의 수평접선을 긋고 상하 수평 접선간의 높이의 2등분선이 렌즈 좌우 삽입부 부분의 가장자리 선과 만나는 좌우 교점간 거리
- 연결부 크기 (bridge size) : 수평 접선의 2등분선과 렌즈 가장 자리 좌우 교정 중 코방향 교점간의 거리
- 기준점 : 렌즈 삽입부 크기와 좌우 2등분선과 교점의 수직간거리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기하 중심점
- 다리크기 (temple size) : 다리부 경첩나사 조인트부 중앙에서 다리 끝까지의 거리
- 표기 : 54/16, 52×16
② 복싱 시스템 (Boxing system)
- 독일 미국에서 채택, 안경테의 모양에 따라 합리적으로 대응 할 수를 있는 장점
- eye size : 렌즈 가장자리 곡선의 좌 우 상 하의 최고 돌출부에서 접선을 그어 직사각형을 만들어 가로선
- bridge size : 좌우 직사각형의 간격을 취하며 수직간 거리는 직사각형 세로 길이
- 기준점: 직사각형의 기하 중심점
- temple size : 다리부 경첩나사 조인트 중앙에서 다리 끝까지의 거리
- 표기: 56□18
③ 상공련 시스템
- 일본
- 기준점: 기준점을 중심으로 한 안경테 상하 좌우의 렌즈 가장자리 곡선까지 거리가 모두 2등분을 이룬 점
- eye size : 기준점을 지나는 수평선 중 좌우 렌즈 가장자리와 만나는 교점간 거리
- bridge size : 렌즈 가장 자리와 수평 기준선과의 좌우 코방향 교점간의 거리
- temple size : 다리를 일직선으로 펼쳤을 때 직선 길이 ( 다리 끝부분에서 끝부분 까지 )
각 계측 방법에서 차이나는 것은 기준점 간거리( DBC : distance between center , FPD )로
데이텀라인 시스템 > 상공령 시스템 > 복싱 시스템
얼 굴 형
특 징
안 경 테
계 란 형
이상적
거의 모든 안경테 어울림
각 진 형
딱딱함
렌즈 삽입부의 높이크고 다리 위치 낮은 것이 어울림
둥 근 형
비대함
좁은 느낌의 테, 다리 위치가 높은 테가 좋다
세모꼴형
삼 각
옆 길이가 안 폭에 맞는 테로 색깔은 진한 것, 여성은 원형테가 좋다
역세모꼴형
역삼각
메탈테, 콤비테, 나일론테 등으로 밝은 색깔의 것이 좋다
※ 얼굴 모양과 적정 안경테의 선정 ※
※ 컷터 ※
- 다이아 컷터 : 연필 잡는 형식, 잡아 당기는 방향
- 롤러 컷터 : 주먹 쥐는 형식, 미는 방향
※ 편심 렌즈의 유효 직경 ※
65/70 (2.5 mm 편심한 60)는 광학 중심섬 O에서 M까지의 직선 거리가 35mm이므로 2.5mm 편심이 되면 실제는 직경 70mm의 렌즈로 유효
※ (+)(-) 렌즈의 구분 ※
- 렌즈를 들고 렌즈를 통해 전방 4~5m의 격자형 물체를 보면서 렌즈를 서서히 이동시켜 보면
전방의 물체의 렌즈를 통한 상의 움직임이
- (+) 렌즈 → 렌즈의 이동방향이 반대로
- (-) 렌즈 → 렌즈의 이동방향이 같다
렌즈 미터의 타켓트 상의 움직임
- (+) 렌즈 → 렌즈의 이동방향이 같다
- (-) 렌즈 → 렌즈의 이동방향이 반대
- 종류 ① 수직 고정식 : 수평고정식에 비해 테 고정 누름판을 강력한 압력으로 힘을 가하여 테의 변형이 생 기기 쉽고 귀갑테에 사용 하면 안된다.
② 수평 고정식 : 수직 고정식에 비해 테를 셋팅하는데 시간이 걸림
- 실제 형판의 크기보다 0.2mm 크게 해서 수동 옥습기로 미조정 할 수 있는 여유분 남김
- 렌즈의 상하위치가 뒤 바뀌지 않도록 ( 고무 흡입판 금속판에 빨간 인점이 되어 있는 곳을 위로) 주의함
※ 휠 회전의 선택 ※
① 스텝회전 ( 연속 회전 , step ) : 자르기가 끝난 렌즈에 사용한다.
② 리텐회전 ( 반전, returm ) : 처음 회전시는 일정 회전 방향으로 돌지만, 한 부분이라도 소정의 크기로 연 삭되어지던 렌즈 고정부를 다시 반대로 회전하는 반전을 반복하면서 남은 연삭 부분을 반복하여 신속히 가장 자리가 연삭되게 함, 자르기를 행하지 않은 렌즈에 적합
③ 역회점 ( reverse ) : 휠 수정에 이용
※ 산각 커브 선택 ※
- 보통 커브 눈금 0~9커브, 산각 커브 선정기를 돌려 맞춤
테의 종류에 따르 커브 선택
① 테의 커브는 통상 5 커브를 기준
② 플라스틱테는 (+)렌즈 : 5커브를 기준으로 약간 큰 커브, (-)렌즈: 5커브를 기준으로 약간 작은 커브
③ 메텔테 : 안경테의 커브와 렌즈의 산각 커브를 일치함
자유 커브 선택 : 눈금 조작을 하지 않고 통상 렌즈 두께의 중앙에 산각이 생기게 하는 기구,
구면렌즈 중산각에 이용
※ 렌즈 산각 종류의 선택 ※
- 산각 선정 다이얼을 돌려 만들 수 있는 산각의 종류 → 1차 거친 평산각, 평산각, 중산각, 고산각
① 평산각 : 원포인트 테, 투포인트 테, 나일론테의 가공
② 중산각 : 가장자리 두께가 얇은 렌즈, 자유 커브 선택 시 사용
③ 고산각 : (+)(-)의 가장자리가 두꺼운 렌즈에 사용
④ 렌티큘러(lenticular) 가공 : 백내장 혹은 -10.00D이상의 강한 굴절력의 (-)렌즈에 쓰임,
산각 위치를 맞추는데는 렌즈의 가장 자리 가운데 가장 얇은 위치를 기준으로 함
즉, (-)렌즈는 렌즈 윗부분을 (+)렌즈는 귀방향 상부의 모서리를 기준으로 맞춤
※ 필요렌즈의 최소 직경 ※
FPD - PD + X(최대 직경) + 1mm(산각깊이)
※ 다듬 상자 ( trimming box ) ※
- 외주선과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작업
- 구조 : 미세파편 모음 상자, 다듬 봉, 렌즈 지지부
- 순서는 (-)면을 먼저 다듬고 (+)면을 후에 다듬는다 → 렌즈를 연직선에서 30~40정도로 뒤어서 작업
※ 보판을 위한 형판 기입 사항 ※
- 안경테 메이커명, 상품명과 상품 번호, FPD, eye size와 bridge size
※ 설계 차드 (Box-O- graph) ※
- 기준점 설정, 설계점의 결점, 좌우길이, 조제 및 가공 PD확인, 광학적 중심 높이의 측정
※ 안경테의 계측 ※
① 데이텀 라인 시스템 (datum line system)
- 영국 프랑스에서 지켜온 가장 오래된 규약
- 렌즈 삽입부의 크기 (eye size) : 삽입될 렌즈의 모양의 상부 곡선과 하부 곡선의 돌출부의 수평접선을 긋고 상하 수평 접선간의 높이의 2등분선이 렌즈 좌우 삽입부 부분의 가장자리 선과 만나는 좌우 교점간 거리
- 연결부 크기 (bridge size) : 수평 접선의 2등분선과 렌즈 가장 자리 좌우 교정 중 코방향 교점간의 거리
- 기준점 : 렌즈 삽입부 크기와 좌우 2등분선과 교점의 수직간거리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기하 중심점
- 다리크기 (temple size) : 다리부 경첩나사 조인트부 중앙에서 다리 끝까지의 거리
- 표기 : 54/16, 52×16
② 복싱 시스템 (Boxing system)
- 독일 미국에서 채택, 안경테의 모양에 따라 합리적으로 대응 할 수를 있는 장점
- eye size : 렌즈 가장자리 곡선의 좌 우 상 하의 최고 돌출부에서 접선을 그어 직사각형을 만들어 가로선
- bridge size : 좌우 직사각형의 간격을 취하며 수직간 거리는 직사각형 세로 길이
- 기준점: 직사각형의 기하 중심점
- temple size : 다리부 경첩나사 조인트 중앙에서 다리 끝까지의 거리
- 표기: 56□18
③ 상공련 시스템
- 일본
- 기준점: 기준점을 중심으로 한 안경테 상하 좌우의 렌즈 가장자리 곡선까지 거리가 모두 2등분을 이룬 점
- eye size : 기준점을 지나는 수평선 중 좌우 렌즈 가장자리와 만나는 교점간 거리
- bridge size : 렌즈 가장 자리와 수평 기준선과의 좌우 코방향 교점간의 거리
- temple size : 다리를 일직선으로 펼쳤을 때 직선 길이 ( 다리 끝부분에서 끝부분 까지 )
각 계측 방법에서 차이나는 것은 기준점 간거리( DBC : distance between center , FPD )로
데이텀라인 시스템 > 상공령 시스템 > 복싱 시스템
얼 굴 형
특 징
안 경 테
계 란 형
이상적
거의 모든 안경테 어울림
각 진 형
딱딱함
렌즈 삽입부의 높이크고 다리 위치 낮은 것이 어울림
둥 근 형
비대함
좁은 느낌의 테, 다리 위치가 높은 테가 좋다
세모꼴형
삼 각
옆 길이가 안 폭에 맞는 테로 색깔은 진한 것, 여성은 원형테가 좋다
역세모꼴형
역삼각
메탈테, 콤비테, 나일론테 등으로 밝은 색깔의 것이 좋다
※ 얼굴 모양과 적정 안경테의 선정 ※
※ 컷터 ※
- 다이아 컷터 : 연필 잡는 형식, 잡아 당기는 방향
- 롤러 컷터 : 주먹 쥐는 형식, 미는 방향
※ 편심 렌즈의 유효 직경 ※
65/70 (2.5 mm 편심한 60)는 광학 중심섬 O에서 M까지의 직선 거리가 35mm이므로 2.5mm 편심이 되면 실제는 직경 70mm의 렌즈로 유효
※ (+)(-) 렌즈의 구분 ※
- 렌즈를 들고 렌즈를 통해 전방 4~5m의 격자형 물체를 보면서 렌즈를 서서히 이동시켜 보면
전방의 물체의 렌즈를 통한 상의 움직임이
- (+) 렌즈 → 렌즈의 이동방향이 반대로
- (-) 렌즈 → 렌즈의 이동방향이 같다
렌즈 미터의 타켓트 상의 움직임
- (+) 렌즈 → 렌즈의 이동방향이 같다
- (-) 렌즈 → 렌즈의 이동방향이 반대
추천자료
가정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 에 관한 법률
위안화절상 배경 및 각국에 미치는 영향
사형제도의 개요 및 존치와 폐지에 대한 고찰(A+레포트)
국민건강보험제도의 현황 및 문제점 (-의약분업의 정책결정과정과 관련하여...)
자치경찰제의 도입논의 및 법안설명
직업교육의 개선방안 및 외국직업교육사례
국내 건강기능식품 원료현황 및 사용실태
항공스포츠의 종류 및 특성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인구고령화와 노인문제 및 저출산, 고령사회 개념, 현황 분석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보육교사의 배출과정 및 개선점현재 우리나라의 보육교사의 배출과정 [보육학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