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료수집
1) 간 호 력
2) 신체사정
3) 기 타
4) 활력징후
5) Intake/Output
6) 발달 단계
7) 검사소견
8) 투약 정보
2. 자료조직
3.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4. 간호계획 & 수행
※ Reference
1) 간 호 력
2) 신체사정
3) 기 타
4) 활력징후
5) Intake/Output
6) 발달 단계
7) 검사소견
8) 투약 정보
2. 자료조직
3.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4. 간호계획 & 수행
※ Reference
본문내용
순위
(1) 구강점막상태 변화로 인한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관련요인: S1, S2, S3, S8, O1, O2, O4, O9)
(2) 질병과정과 관련된 피부손상
(관련요인 : S4, S5, S6, S9, O3, O7, O8)
(3) 진단적 검사와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관련요인 : S7, S10, O5, O6, O10, O11)
4. 간호계획 & 수행
간호진단
#1. 구강점막상태 변화로 인한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관련요인: S1, S2, S3, S8, O1, O2, O4, O9)
목표
환아는 입원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정상체중을 유지하며 영양을 골고루 섭취한다.
계획된 간호활동
이론적 근거
진단적
섭취량/ 배설량을 매일 측정한다.
동일 조건에서 매일 아침마다 체중을 측정한다.
점막의 불편감은 적절한 영양 상태 유지에 저해 요인이 될 수 있다.
치료적
수용성 윤활유를 입술에 발라주고 입안을 희석한 과산화수소 스펀지로 깨끗하게 해준다.
정맥 주사를 통한 수액 공급을 충분히 유지한다.
교육적
영양관리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평 가
환아는 입안의 불편감이 없어지자 밥을 곧 잘 받아먹거나, 과일(귤, 바나나)을 통해 영양을 보충했다. 입원 시 체중과 큰 변화 없이 계속 체중 유지하였다.
간호진단
#2. 질병과정과 관련된 피부손상
(관련요인 : S4, S5, S6, S9, O3, O7, O8)
목표
질병과정과 관련된 피부손상을 이해하고 피부손상이 없다.
계획된 간호활동
이론적 근거
진단적
피부손상 정도(손상 크기, 깊이, 발적이나 감염의 징후)를 사정한다.
2차 감염을 예방한다.
피부가 건조하면 가려움증이 심해지고 비누를 사용하면 피부표면이 건조된다.
구강내 세균 감염을 막고 윤활제로 입술이 갈라지는 것을 막는다.
치료적
부종이 있는 부위는 마찰과 지속적인 압력을 받지 않도록 한다.
피부가 건조하게 되는 것을 막고 비누 사용을 제한한다.
기분전환 활동을 제공하고 휴식을 충분히 취하도록 격려한다.
구강간호를 시행하고 입술에 바셀린을 발라준다.
교육적
긁지 않고 가피를 뜯지 않도록 교육한다.
평 가
전체적으로 피부의 건조함이 사라지고 정상적인 피부를 회복함.
정상적인 질병의 과정임을 알고 치료에 있어 좀 더 협조적인 자세를 취함.
간호진단
#3. 진단적 검사와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관련요인 : S7, S10, O5, O6, O10, O11)
목표
불안수준이 감소되었음을 말한다.
계획된 간호활동
이론적 근거
진단적
불안정도를 사정한다.
불안을 감소시키고 협조를 얻는다.
환아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치료적
두려움을 표현 하도록 격력하고 질문 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준다.
가능하면 보호자와 환아가 함께 있을 수 있도록 한다.
교육적
처치 및 치료 전에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평 가
처음에는 의료진을 피했지만 이틀 지나자 말도 잘하고 곧 잘 뛰어 다님.(불안이 감소된 것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었다.)
부모님이나 아이에게 검사에 대해 설명해주자 안심하는 것처럼 보임.
※ Reference
1. 이은옥,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 1992.
2. 김희숙 외 3인, 아동간호 임상지침서, 신광출판사, 2001.
3. 조결자, 손쉽고 편리한 아동간호진단, 현문사, 2000.
4. 김매자 외 4인, 간호과정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5. 서울대학교 병원, 아동의 간호 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6. 조결자 외, 가족 중심의 아동 간호학Ⅰ, 현문사, 2005.
7. 송미순 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2002.
(1) 구강점막상태 변화로 인한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관련요인: S1, S2, S3, S8, O1, O2, O4, O9)
(2) 질병과정과 관련된 피부손상
(관련요인 : S4, S5, S6, S9, O3, O7, O8)
(3) 진단적 검사와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관련요인 : S7, S10, O5, O6, O10, O11)
4. 간호계획 & 수행
간호진단
#1. 구강점막상태 변화로 인한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관련요인: S1, S2, S3, S8, O1, O2, O4, O9)
목표
환아는 입원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정상체중을 유지하며 영양을 골고루 섭취한다.
계획된 간호활동
이론적 근거
진단적
섭취량/ 배설량을 매일 측정한다.
동일 조건에서 매일 아침마다 체중을 측정한다.
점막의 불편감은 적절한 영양 상태 유지에 저해 요인이 될 수 있다.
치료적
수용성 윤활유를 입술에 발라주고 입안을 희석한 과산화수소 스펀지로 깨끗하게 해준다.
정맥 주사를 통한 수액 공급을 충분히 유지한다.
교육적
영양관리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평 가
환아는 입안의 불편감이 없어지자 밥을 곧 잘 받아먹거나, 과일(귤, 바나나)을 통해 영양을 보충했다. 입원 시 체중과 큰 변화 없이 계속 체중 유지하였다.
간호진단
#2. 질병과정과 관련된 피부손상
(관련요인 : S4, S5, S6, S9, O3, O7, O8)
목표
질병과정과 관련된 피부손상을 이해하고 피부손상이 없다.
계획된 간호활동
이론적 근거
진단적
피부손상 정도(손상 크기, 깊이, 발적이나 감염의 징후)를 사정한다.
2차 감염을 예방한다.
피부가 건조하면 가려움증이 심해지고 비누를 사용하면 피부표면이 건조된다.
구강내 세균 감염을 막고 윤활제로 입술이 갈라지는 것을 막는다.
치료적
부종이 있는 부위는 마찰과 지속적인 압력을 받지 않도록 한다.
피부가 건조하게 되는 것을 막고 비누 사용을 제한한다.
기분전환 활동을 제공하고 휴식을 충분히 취하도록 격려한다.
구강간호를 시행하고 입술에 바셀린을 발라준다.
교육적
긁지 않고 가피를 뜯지 않도록 교육한다.
평 가
전체적으로 피부의 건조함이 사라지고 정상적인 피부를 회복함.
정상적인 질병의 과정임을 알고 치료에 있어 좀 더 협조적인 자세를 취함.
간호진단
#3. 진단적 검사와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관련요인 : S7, S10, O5, O6, O10, O11)
목표
불안수준이 감소되었음을 말한다.
계획된 간호활동
이론적 근거
진단적
불안정도를 사정한다.
불안을 감소시키고 협조를 얻는다.
환아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치료적
두려움을 표현 하도록 격력하고 질문 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준다.
가능하면 보호자와 환아가 함께 있을 수 있도록 한다.
교육적
처치 및 치료 전에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평 가
처음에는 의료진을 피했지만 이틀 지나자 말도 잘하고 곧 잘 뛰어 다님.(불안이 감소된 것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었다.)
부모님이나 아이에게 검사에 대해 설명해주자 안심하는 것처럼 보임.
※ Reference
1. 이은옥,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 1992.
2. 김희숙 외 3인, 아동간호 임상지침서, 신광출판사, 2001.
3. 조결자, 손쉽고 편리한 아동간호진단, 현문사, 2000.
4. 김매자 외 4인, 간호과정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5. 서울대학교 병원, 아동의 간호 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6. 조결자 외, 가족 중심의 아동 간호학Ⅰ, 현문사, 2005.
7. 송미순 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2002.
추천자료
신생아 건강사정 ,간호-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 - 주요 질병 정리
아동간호학 AGE case study (급성위장염)
[뇌성마비][뇌성마비아][뇌성마비아동][뇌성마비 치료][뇌성마비 간호][뇌성마비아 장애 극복...
[아동간호학] 케이스(case study) - 문헌고찰, 간호과정(폐렴)
입원한 환아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놀이, 입원아동의 통제감상실에 대한 아동의 발달단계별...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 폐렴(Pneumonia),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
[고위험 모아간호학 공통] 1. 죽음을 앞둔 아동과 의사소통 할 때 유념해야 할 점들을 아동의...
호흡기 기능장애 아동간호 : 아동기 호흡기 감염의 특징 상기도 문제 A+
1. 죽음을 앞둔 아동과 의사소통,2. 고위험 신생아를 분류하는 기준,3. 중환아실에 입원한 아...
간호, case study, 아동 간호, 머리 외상(TA)
아동간호실습CASE - Pneumonia [A+자료입니다!!]
아동간호학 실습 크룹 (croup) 케이스스터디 자료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