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미래표현에 대한 일반적 고찰
2.1 시간(time)과 시제(tense)의 차이
2.2 영어의 시제
2.3 상(aspect)의 개념
Ⅲ. 미래시의 표현방법
3.1 will과 shall의 서법성과 미래표현
3.2 단순미래와 be going to에 의한 미래표현
3.3 그 밖의 미래표현 방법
Ⅳ. 결론
참고문헌
Ⅱ.미래표현에 대한 일반적 고찰
2.1 시간(time)과 시제(tense)의 차이
2.2 영어의 시제
2.3 상(aspect)의 개념
Ⅲ. 미래시의 표현방법
3.1 will과 shall의 서법성과 미래표현
3.2 단순미래와 be going to에 의한 미래표현
3.3 그 밖의 미래표현 방법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sent-minded that he would go for days without eating.
(18) a. He thought he should never be able to get there in time.
b. The village should be visible from here.
3.3.2 현재시제에 의한 미래표현
미래는 will, shall, be going to외에도 현재시제나 현재진행형(2.3.2)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현재시제에 의한 미래 표현법은 조건이나 시간의 접속사로 인도되는 종속절 안에서 주로 쓰이지만 독립절이나 단문에서도 쓰인다. 독립절에서 단순현재형이 미래시제로 쓰일 때 ‘사실로서의 미래’를 의미하며, 상당한 확실성 현재 또는 과거의 사건에 대하여 갖는 것과 같은 정도의 확실성
이 있거나, 미래를 표시하는 부사구가 동반되어야 한다.(19a, b)
미래를 나타내는 현재시제형의 사용은 대부분 종속절에서 이루어진다. 즉, 조건이나 시간의 부사절 내에서 쓰이는데, 종속절에 쓰인 현재시제는 미래사건이나 행동을 주어진 사실로 표현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20a, b)
(19) a. Next Christmas falls on a Thursday.
b. The train leaves at 7:30 this evening.
(20) a. I will tell you if it hurts.
b. John will announce the guests as they arrive.
3.3.3 미래시의 대등표현
지금까지 살펴본 미래시의 표현방법 외에 영어에서 미래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be about to가 있다. 이것은 아주 가까운 미래에 일어날 사건을 묘사할 때 쓰이나(21a), 상당한 시간이 지난 뒤의 미래를 나타내는 구문에서는 쓸 수 없다.(21b)
(21) a. His bags are packed, and he is wearing his hat. He is about to leave for the airport.
b.*John is about to go to school next day.
Ⅳ. 결론
지금까지 조동사 will과 shall에 의한 미래표현 방법과 그 외의 방법으로 미래를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 조동사에 포함된, 화자의 복잡하고 미묘한 감정이나 심적 태도를 표현하는 서법성(modality)은 다양한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만큼 의미의 혼란을 가져오기도 한다. 그러나 미래를 표현하는 동사들이 갖는 원래의 의미인 욕망, 희망, 의도, 결심, 강제, 필연성, 가능성 등의 의미들은 미래를 예측하는 근거가 되며 이러한 어휘들이 미래시제의 표시로 발전한다.
미래를 나타내는 표현은 모두 실제로 발생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것이 실현될 가능성은 상당히 불투명하다. 더구나 각각의 용법들에는 ‘실현 가능성’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will과 shall은 서법조동사로서 ‘예측’, ‘의지’, ‘의무’에 대해 주로 화자의 주관적 심리상태를 표현하면서도 순수한 미래를 예측하기도 한다. be going to는 서법의 의미를 일부 가지고는 있지만 ‘미리 계획한 사건’을 나타낸다는 측면에서 will이나 shall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미리 계획한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이 그렇지 않은 것보다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현재진행형과 단순현재형 사이에도 ‘실현될 가능성’에 차이가 있다. 현재는 사실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이것들이 나타내는 사건이 will과 be going to를 통해 나타내는 미래의 일보다 실현 가능성이 더 높다. 현재진행형은 ‘계획된 사건’, ‘분명한 의도’라는 측면에서 be going to와 의미가 비슷하지만 강도가 더 높으며, be about to는 가장 가까이 일어날 미래사건을 표현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시제와 상의 결합형태인 미래진행형이나 미래완료형은 will과 shall이 갖고 있는 서법의 의미가 희석되어 순수한 미래를 나타내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들 용법은 ‘단순미래’를 표현하기에 will과 shall 보다 더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서법조동사의 용법을 살펴봄으로써 화자의 의지에 대한 객관화를 통해 문장의 정확한 의미를 알아보려 하였으나 인간의 복잡한 심리가 가장 많이 투영된 미래표현에서 그것을 객관화함은 쉽지 않은 일이며 서법에 대한 분류와 의미파악을 통해 그 유형을 알아내고 서법성의 범주화를 추구하여 문장의 맥락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어 화자와 청자간의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것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참고문헌
강문구. 2005. 「조동사 will, shall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소연. 2003. 「미래시 표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기동. 1992. 『영어동사의 문법』 서울: 신아사
이동국. 2005. 「북미 영어에서의 조동사 will의 연구」한국방송통신대 논문집 39 pp55-79
이두섭. 1994. 「영어조동사 SHALL, WILL의 서법성」 인문과학 제2집; 홍익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p 103-127
임종성. 2000. 『영어의 원리』 서울: (주)더블유. 이. 엠
정유진. 2006. 「영어의 시제와 상의 우리말 번역」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성식. 1983. 『영문법 연구』 서울: 신아사
하지은. 2005. 「서법조동사 통사-의미 분석을 통한 효율적 영어학습지도 방안」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은미. 2002. 「영어의 미래시제 연구-will과 be going to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Jespersen. O. 1933. Essentials of English Grammar. London: George Allen &Unwin, Ltd.
Palmer. F. R. 1987. The English Verb. London: Longman.
Quirk, R., S. Greenbaum, G. Leech, J.Svartvik. 1985.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London:Longman.
(18) a. He thought he should never be able to get there in time.
b. The village should be visible from here.
3.3.2 현재시제에 의한 미래표현
미래는 will, shall, be going to외에도 현재시제나 현재진행형(2.3.2)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현재시제에 의한 미래 표현법은 조건이나 시간의 접속사로 인도되는 종속절 안에서 주로 쓰이지만 독립절이나 단문에서도 쓰인다. 독립절에서 단순현재형이 미래시제로 쓰일 때 ‘사실로서의 미래’를 의미하며, 상당한 확실성 현재 또는 과거의 사건에 대하여 갖는 것과 같은 정도의 확실성
이 있거나, 미래를 표시하는 부사구가 동반되어야 한다.(19a, b)
미래를 나타내는 현재시제형의 사용은 대부분 종속절에서 이루어진다. 즉, 조건이나 시간의 부사절 내에서 쓰이는데, 종속절에 쓰인 현재시제는 미래사건이나 행동을 주어진 사실로 표현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20a, b)
(19) a. Next Christmas falls on a Thursday.
b. The train leaves at 7:30 this evening.
(20) a. I will tell you if it hurts.
b. John will announce the guests as they arrive.
3.3.3 미래시의 대등표현
지금까지 살펴본 미래시의 표현방법 외에 영어에서 미래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be about to가 있다. 이것은 아주 가까운 미래에 일어날 사건을 묘사할 때 쓰이나(21a), 상당한 시간이 지난 뒤의 미래를 나타내는 구문에서는 쓸 수 없다.(21b)
(21) a. His bags are packed, and he is wearing his hat. He is about to leave for the airport.
b.*John is about to go to school next day.
Ⅳ. 결론
지금까지 조동사 will과 shall에 의한 미래표현 방법과 그 외의 방법으로 미래를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 조동사에 포함된, 화자의 복잡하고 미묘한 감정이나 심적 태도를 표현하는 서법성(modality)은 다양한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만큼 의미의 혼란을 가져오기도 한다. 그러나 미래를 표현하는 동사들이 갖는 원래의 의미인 욕망, 희망, 의도, 결심, 강제, 필연성, 가능성 등의 의미들은 미래를 예측하는 근거가 되며 이러한 어휘들이 미래시제의 표시로 발전한다.
미래를 나타내는 표현은 모두 실제로 발생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것이 실현될 가능성은 상당히 불투명하다. 더구나 각각의 용법들에는 ‘실현 가능성’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will과 shall은 서법조동사로서 ‘예측’, ‘의지’, ‘의무’에 대해 주로 화자의 주관적 심리상태를 표현하면서도 순수한 미래를 예측하기도 한다. be going to는 서법의 의미를 일부 가지고는 있지만 ‘미리 계획한 사건’을 나타낸다는 측면에서 will이나 shall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미리 계획한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이 그렇지 않은 것보다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현재진행형과 단순현재형 사이에도 ‘실현될 가능성’에 차이가 있다. 현재는 사실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이것들이 나타내는 사건이 will과 be going to를 통해 나타내는 미래의 일보다 실현 가능성이 더 높다. 현재진행형은 ‘계획된 사건’, ‘분명한 의도’라는 측면에서 be going to와 의미가 비슷하지만 강도가 더 높으며, be about to는 가장 가까이 일어날 미래사건을 표현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시제와 상의 결합형태인 미래진행형이나 미래완료형은 will과 shall이 갖고 있는 서법의 의미가 희석되어 순수한 미래를 나타내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들 용법은 ‘단순미래’를 표현하기에 will과 shall 보다 더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서법조동사의 용법을 살펴봄으로써 화자의 의지에 대한 객관화를 통해 문장의 정확한 의미를 알아보려 하였으나 인간의 복잡한 심리가 가장 많이 투영된 미래표현에서 그것을 객관화함은 쉽지 않은 일이며 서법에 대한 분류와 의미파악을 통해 그 유형을 알아내고 서법성의 범주화를 추구하여 문장의 맥락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어 화자와 청자간의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것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참고문헌
강문구. 2005. 「조동사 will, shall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소연. 2003. 「미래시 표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기동. 1992. 『영어동사의 문법』 서울: 신아사
이동국. 2005. 「북미 영어에서의 조동사 will의 연구」한국방송통신대 논문집 39 pp55-79
이두섭. 1994. 「영어조동사 SHALL, WILL의 서법성」 인문과학 제2집; 홍익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p 103-127
임종성. 2000. 『영어의 원리』 서울: (주)더블유. 이. 엠
정유진. 2006. 「영어의 시제와 상의 우리말 번역」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성식. 1983. 『영문법 연구』 서울: 신아사
하지은. 2005. 「서법조동사 통사-의미 분석을 통한 효율적 영어학습지도 방안」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은미. 2002. 「영어의 미래시제 연구-will과 be going to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Jespersen. O. 1933. Essentials of English Grammar. London: George Allen &Unwin, Ltd.
Palmer. F. R. 1987. The English Verb. London: Longman.
Quirk, R., S. Greenbaum, G. Leech, J.Svartvik. 1985.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London:Longma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