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목
2.사회복지정책의 주요대상
3. 사회복지정책의 주요 전달체계
- 보건복지부
- 지방자치단체
- 사회보험관련 조직
- 사회복지단체
- 사회복지시설
4.2007년 보건복지부 예산
5.2007년 보건복지부 예산현황
6.연도별 정부 및 보건복지부 예산 추이
7.공공부조 - 기초생활보장제도
8.공공부조 - 긴급복지지원제도
9.공공부조 - 의료급여제도
10.공공부조 - 자활사업제도
11.사회서비스 – 장애인복지 서비스
12.사회서비스 - 노인 복지서비스
13.사회서비스 - 아동복지서비스
2.사회복지정책의 주요대상
3. 사회복지정책의 주요 전달체계
- 보건복지부
- 지방자치단체
- 사회보험관련 조직
- 사회복지단체
- 사회복지시설
4.2007년 보건복지부 예산
5.2007년 보건복지부 예산현황
6.연도별 정부 및 보건복지부 예산 추이
7.공공부조 - 기초생활보장제도
8.공공부조 - 긴급복지지원제도
9.공공부조 - 의료급여제도
10.공공부조 - 자활사업제도
11.사회서비스 – 장애인복지 서비스
12.사회서비스 - 노인 복지서비스
13.사회서비스 - 아동복지서비스
본문내용
기본 방향
①사회투자정책 강화, ②저출산고령사회 본격대응
③사회안전망 내실화 및 복지 사각지대 완화
재정규모
’07년도 세출(지출) 규모는 19조 2,409억원으로 ’06년 대비
13.8%(2조 3,322억원) 증가
예산 : ’06년 대비 14.6%(1조 5,225억원) 증가한 11조 9,369억원
기금 : ’06년 대비 12.5%(8,097억원) 증가한 7조 3,040억원
의의
- 가족이나 스스로의 힘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없는 최저생계비 이하의 저소득층 국민의 기본적 생활을 국가가 보장하고,
- 근로능력이 있는 자에게는 체계적인 자활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자활ㆍ자립을 지원해 주는 제도
선정기준
- 소득인정액 및 부양의무자 기준을 동시에 충족하는 저소득가구
소득인정액(소득+재산의 소득환산액)이 최저생계비 이하
부양할 능력이 있는 부양의무자(1촌의 직계혈족)가 없는 경우
ex) ’07년도 4인가구 최저생계비 : 1,205,535원
수급자 현황
- 153만 명, 832천 가구(’06.12월 기준)
급여내용
- 생계, 주거, 의료, 교육, 자활, 해산 및 장제급여
급여기준 (’07년도, 단위: 천원)
- 현금급여기준:소득이 없는 수급자가 현금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 최저생계비에서 타급여 및 타법령 지원액을 제외하여 산정
* 타급여 및 타법령 지원액 : 급식비, 교육비, 의료비 및 TV수신료 등
개요
생계곤란 등의 위기상황에 처하여 도움이 필요한 자가 위기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신속하게 지원하는 제도
※ ’07년도 예산 : 341억원
긴급지원의 종류 및 금액
- 생계지원: 418천원(1인가구), 1,170천원(4인가구)
- 의료지원: 300만원 범위 내
- 주거지원: 268천원(1~2인가구), 448천원(3~4인가구)
- 사회복지시설 이용지원: 358천원(1인가구), 1,001천원(4인가구)
- 기타: 연료비 60천원, 해산비 500천원, 장제비 500천원, 전기요금 500천원
소득 및 재산 기준
- 소득기준 : 최저생계비의 100분의 130 이하일 것
- 재산기준 : 대도시 9,500만원, 중소도시 7,750만원, 농어촌 7,250만원
①사회투자정책 강화, ②저출산고령사회 본격대응
③사회안전망 내실화 및 복지 사각지대 완화
재정규모
’07년도 세출(지출) 규모는 19조 2,409억원으로 ’06년 대비
13.8%(2조 3,322억원) 증가
예산 : ’06년 대비 14.6%(1조 5,225억원) 증가한 11조 9,369억원
기금 : ’06년 대비 12.5%(8,097억원) 증가한 7조 3,040억원
의의
- 가족이나 스스로의 힘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없는 최저생계비 이하의 저소득층 국민의 기본적 생활을 국가가 보장하고,
- 근로능력이 있는 자에게는 체계적인 자활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자활ㆍ자립을 지원해 주는 제도
선정기준
- 소득인정액 및 부양의무자 기준을 동시에 충족하는 저소득가구
소득인정액(소득+재산의 소득환산액)이 최저생계비 이하
부양할 능력이 있는 부양의무자(1촌의 직계혈족)가 없는 경우
ex) ’07년도 4인가구 최저생계비 : 1,205,535원
수급자 현황
- 153만 명, 832천 가구(’06.12월 기준)
급여내용
- 생계, 주거, 의료, 교육, 자활, 해산 및 장제급여
급여기준 (’07년도, 단위: 천원)
- 현금급여기준:소득이 없는 수급자가 현금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 최저생계비에서 타급여 및 타법령 지원액을 제외하여 산정
* 타급여 및 타법령 지원액 : 급식비, 교육비, 의료비 및 TV수신료 등
개요
생계곤란 등의 위기상황에 처하여 도움이 필요한 자가 위기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신속하게 지원하는 제도
※ ’07년도 예산 : 341억원
긴급지원의 종류 및 금액
- 생계지원: 418천원(1인가구), 1,170천원(4인가구)
- 의료지원: 300만원 범위 내
- 주거지원: 268천원(1~2인가구), 448천원(3~4인가구)
- 사회복지시설 이용지원: 358천원(1인가구), 1,001천원(4인가구)
- 기타: 연료비 60천원, 해산비 500천원, 장제비 500천원, 전기요금 500천원
소득 및 재산 기준
- 소득기준 : 최저생계비의 100분의 130 이하일 것
- 재산기준 : 대도시 9,500만원, 중소도시 7,750만원, 농어촌 7,250만원
추천자료
[사회복지서비스][사회복지전달체계]사회복지서비스와 사회복지전달체계의 현황과 발전방안 ...
[사회복지][사회복지전달체계]사회복지와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배경, 발전과정, 문제점과 현황...
사회복지전달체계개편방안
[사회복지][지역사회복지]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의 현황과 문제점 및 과제 심층 분석(사회복...
복지전달체계의 개편과 사회복지직공무원의 역할변화
공공사회복지와 민간사회복지전달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사회복지행정론 (노인복지전달체계 문제점과 개선방안 & 국민연금 전달체계의 문제점과 ...
사회복지社會福祉전달체계의 의의와 문제점에 대해 논하시오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로서 지역사회의 아동빈곤문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자...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행정필요성, 사회복지행정특성, 사회복지행정역사, 사회복지행정이론,...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로서 지역사회의 아동빈곤 문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