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 정의
Ⅱ. 문헌 고찰
1. 유방자가검진
2. 유방암과 자가검진
Ⅲ.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3. 측정도구
1) 일반적 특성 조사지
2) 유방자가검진 조사지
4. 자료 분석 방법
5. 연구의 제한점
Ⅳ. 연구 결과
1. 일반적 특성
2. 유방자가검진 실천여부에 대한 조사
3. 유방자가검진의 구체적 실천비율
4. 총점수로 본 실천율
Ⅴ. 논 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 정의
Ⅱ. 문헌 고찰
1. 유방자가검진
2. 유방암과 자가검진
Ⅲ.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3. 측정도구
1) 일반적 특성 조사지
2) 유방자가검진 조사지
4. 자료 분석 방법
5. 연구의 제한점
Ⅳ. 연구 결과
1. 일반적 특성
2. 유방자가검진 실천여부에 대한 조사
3. 유방자가검진의 구체적 실천비율
4. 총점수로 본 실천율
Ⅴ. 논 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의
유방암은 세계적으로 발생빈도가 높은 여성 암이며, 우리나라에서도 발생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므로(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1), 유방암을 초기에 발견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여성 건강관리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다.
유방자가검진이 유방암을 선별해 낼 수 있는 결정적인 검사가 아니지만 암 발생을 암시해주는 유방조직의 변화를 인식하고 확인하는 행동을 수행하게 하는데 효과적이다(Kim, 1996). 또한 가장 쉽고 안전하고 경제적이면서 여성 스스로 자신의 건강에 대한 책임의식을 증가시키는 습관적인 행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Huguley & Brown,1981: Foster & Constsnza, 1984: Choi & Suh, 1998) 유방자가검진 실천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 모색이 시급하다고 본다.
본 연구결과에서 보듯이 시행하는 대상자가 80%로 높았지만 여전히 20%는 시행하지 않았고 시행하는 80%도 부분적이다. 여전히 유방자가검진율을 높이기 위한 간호교육의 기회는 확대되어야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Ⅵ.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한국 중년여성들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실천정도를 파악하여 향후 유방자가검진 실천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종로구 방송대 재학 중인 중년여성으로 설문지를 본조사의 목적과 작성방법을 설명해 주어 대상자가 직접 기입 하게하여 회수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6년 4월에서 5월 사이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양승애(1997)가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조사항목은 일반적인 특성 9문항과 유방자가검진 실천여부 2문항과 실천방법 12문항의 총 1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해 통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방자가검진 실천여부는 80%가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 유방자가검진 실천정도는 평균 5.27(12점 만점)로 중간정도로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표준편차는 4.177로 조사되었다.
3) 12가지 항목중 가장 높은 비율은 1번으로 ‘양쪽 유방의 크기와 모양을 살펴본다.’(70%) 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항목 2번 ‘유방표면이 움푹 들어가거나 튀어나온 곳이 있는지 살펴본다.’(66%) 로 나왔다. 가장 낮은 항목은 9번과 10번으로 즉 ‘누워서 유방을 만져볼 때에는 검사하는 쪽의 어깨 밑에 베개를 고이고 한다.’ ‘유방을 만져 볼 때 한 부분에서 각기 누르는 정도를 달리하여 세 번 동그라미를 그리면서 만져본다.’가 각기 16.7%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역여성의 교육요구도를 조사한다.
2. 유방자가검진 교육을 받은 사람과 받지 않은 사람간의 실천정도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3. 유방암 발생빈도가 급증하고 있는 우리나라 상황에서 유방자가검진 실시률을 높이고 각 항목의 실천정도도 높이도록 하는 유방자가검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4. 유방자가검진을 이행하는 것이 유방암 조기발견에 효과가 있으며, 조기발 견하여 치료하면 나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시키고, 유방암에 대한 사회적 개인적 관심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현재 우리나라 25-49세 여성들이 유방암 사망률(36.1%)은 전 세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국민일보, 2005. 3. 29).
이에 유방암 및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사회적 국가적 문화 적차원에서의 대책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김상헌; 이정희; 김광기; 신애숙(2005). 유방자가검진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과사회과학. 제17집(2005. 6), 57-77
조홍숙. (2004). 중년여성의 유방암 위험 정도와 유방자가검진 지식 및 수행 여부와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연옥. (2003). 유방자가검진교육후 지식과 태도, 실천의 변화, 성인간호학 회지 15(1) 5-13
김영임. (2003). 유방자가검진에 관한 관련요인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 14권 제 3호(2003. 9) 496-506
안혜정. (2002). 유방자가검진의 행위모델과 교육의 효과에 대한 분석.
성인간호학회지 14(1) 73-82
장희정 外著. (2002) 한국 중년여성들의 유방자가검진(BSE)에 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정도. 지역사회 간호학회지 제13권 제4호 (2002. 12) 719-731
임정자. (2001). 일 농촌지역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유방암 예방행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숙명. (2000). 여성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건강 신념과 자기효능 감간의 관계연구:서울 일부지역의 여성을 대상으로.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집
김향란. (1998). 유방 자가검진 재교육 시작시기에 따른 유방자가검진에 대 한 지식, 기술 및 태도 비교: 일 도시 N지역중년을 대상으 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집
양승애. (1997). 중년기 여서의 건강 신념과 유방자가검진 실행정와의 관계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집
유방자가검진의 구체적인 실천내용
시행하지 않는다
시행한다
1. 양쪽 유방의 크기와 모양을 살펴본다.
2. 유방표면이 움푹 들어가거나 튀어나온 곳이 있는지 살펴본다.
3. 양쪽 유방의 피부변화를 살펴본다.
4. 앞으로 구부려서 유방의 모양과 유두가 같은 방향인지를 살펴본다.
5. 양팔을 위로 올리고 유방의 크기나 모양이 다른지를 살펴본다.
6. 양손을 허리에 대고 유방의 모양을 살펴본다.
7. 몽우리가 있는지 세손가락을 모아서 손가락끝마디의 편평한 부위를 만져본다.
8. 양쪽 젖꼭지를 짜내서 분비물이 나오는지를 살펴본다.
9. 누워서 유방을 만져볼 때에는 검사하는 쪽의 어깨 밑에 베개를 고이고 한다.
10. 유방을 만져볼 때 한 부분에서 각기 누르는 정도를 달리하여 세 번 동그라 미를 그리면서 만져본다.
11. 유방전체를 검진할 때 위에서 아래로 수직방향으로 순서대로 만져본다.
12. 누워서 팔을 올리고 겨드랑이를 만져본다.
유방암은 세계적으로 발생빈도가 높은 여성 암이며, 우리나라에서도 발생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므로(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1), 유방암을 초기에 발견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여성 건강관리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다.
유방자가검진이 유방암을 선별해 낼 수 있는 결정적인 검사가 아니지만 암 발생을 암시해주는 유방조직의 변화를 인식하고 확인하는 행동을 수행하게 하는데 효과적이다(Kim, 1996). 또한 가장 쉽고 안전하고 경제적이면서 여성 스스로 자신의 건강에 대한 책임의식을 증가시키는 습관적인 행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Huguley & Brown,1981: Foster & Constsnza, 1984: Choi & Suh, 1998) 유방자가검진 실천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 모색이 시급하다고 본다.
본 연구결과에서 보듯이 시행하는 대상자가 80%로 높았지만 여전히 20%는 시행하지 않았고 시행하는 80%도 부분적이다. 여전히 유방자가검진율을 높이기 위한 간호교육의 기회는 확대되어야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Ⅵ.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한국 중년여성들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실천정도를 파악하여 향후 유방자가검진 실천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종로구 방송대 재학 중인 중년여성으로 설문지를 본조사의 목적과 작성방법을 설명해 주어 대상자가 직접 기입 하게하여 회수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6년 4월에서 5월 사이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양승애(1997)가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조사항목은 일반적인 특성 9문항과 유방자가검진 실천여부 2문항과 실천방법 12문항의 총 1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해 통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방자가검진 실천여부는 80%가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 유방자가검진 실천정도는 평균 5.27(12점 만점)로 중간정도로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표준편차는 4.177로 조사되었다.
3) 12가지 항목중 가장 높은 비율은 1번으로 ‘양쪽 유방의 크기와 모양을 살펴본다.’(70%) 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항목 2번 ‘유방표면이 움푹 들어가거나 튀어나온 곳이 있는지 살펴본다.’(66%) 로 나왔다. 가장 낮은 항목은 9번과 10번으로 즉 ‘누워서 유방을 만져볼 때에는 검사하는 쪽의 어깨 밑에 베개를 고이고 한다.’ ‘유방을 만져 볼 때 한 부분에서 각기 누르는 정도를 달리하여 세 번 동그라미를 그리면서 만져본다.’가 각기 16.7%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역여성의 교육요구도를 조사한다.
2. 유방자가검진 교육을 받은 사람과 받지 않은 사람간의 실천정도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3. 유방암 발생빈도가 급증하고 있는 우리나라 상황에서 유방자가검진 실시률을 높이고 각 항목의 실천정도도 높이도록 하는 유방자가검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4. 유방자가검진을 이행하는 것이 유방암 조기발견에 효과가 있으며, 조기발 견하여 치료하면 나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시키고, 유방암에 대한 사회적 개인적 관심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현재 우리나라 25-49세 여성들이 유방암 사망률(36.1%)은 전 세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국민일보, 2005. 3. 29).
이에 유방암 및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사회적 국가적 문화 적차원에서의 대책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김상헌; 이정희; 김광기; 신애숙(2005). 유방자가검진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과사회과학. 제17집(2005. 6), 57-77
조홍숙. (2004). 중년여성의 유방암 위험 정도와 유방자가검진 지식 및 수행 여부와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연옥. (2003). 유방자가검진교육후 지식과 태도, 실천의 변화, 성인간호학 회지 15(1) 5-13
김영임. (2003). 유방자가검진에 관한 관련요인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 14권 제 3호(2003. 9) 496-506
안혜정. (2002). 유방자가검진의 행위모델과 교육의 효과에 대한 분석.
성인간호학회지 14(1) 73-82
장희정 外著. (2002) 한국 중년여성들의 유방자가검진(BSE)에 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정도. 지역사회 간호학회지 제13권 제4호 (2002. 12) 719-731
임정자. (2001). 일 농촌지역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유방암 예방행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숙명. (2000). 여성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건강 신념과 자기효능 감간의 관계연구:서울 일부지역의 여성을 대상으로.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집
김향란. (1998). 유방 자가검진 재교육 시작시기에 따른 유방자가검진에 대 한 지식, 기술 및 태도 비교: 일 도시 N지역중년을 대상으 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집
양승애. (1997). 중년기 여서의 건강 신념과 유방자가검진 실행정와의 관계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집
유방자가검진의 구체적인 실천내용
시행하지 않는다
시행한다
1. 양쪽 유방의 크기와 모양을 살펴본다.
2. 유방표면이 움푹 들어가거나 튀어나온 곳이 있는지 살펴본다.
3. 양쪽 유방의 피부변화를 살펴본다.
4. 앞으로 구부려서 유방의 모양과 유두가 같은 방향인지를 살펴본다.
5. 양팔을 위로 올리고 유방의 크기나 모양이 다른지를 살펴본다.
6. 양손을 허리에 대고 유방의 모양을 살펴본다.
7. 몽우리가 있는지 세손가락을 모아서 손가락끝마디의 편평한 부위를 만져본다.
8. 양쪽 젖꼭지를 짜내서 분비물이 나오는지를 살펴본다.
9. 누워서 유방을 만져볼 때에는 검사하는 쪽의 어깨 밑에 베개를 고이고 한다.
10. 유방을 만져볼 때 한 부분에서 각기 누르는 정도를 달리하여 세 번 동그라 미를 그리면서 만져본다.
11. 유방전체를 검진할 때 위에서 아래로 수직방향으로 순서대로 만져본다.
12. 누워서 팔을 올리고 겨드랑이를 만져본다.
추천자료
암세포 암 유전자
자궁내막암 케이스 스터디
암에대한 의효사회복지적 개입(호스피스)과 사례 개입
암 관리사업과 지역사회 호스피스 사업
암과 에이즈 환자의 가정간호
암에대하여
[금연][금연 원인][금연 단계][금연 효과][금연 약물요법][암][체중][금연 장점][금연 성공방...
[질병][질환][건강검진]질병(질환)과 유전자, 질병(질환)과 병원체, 질병(질환)과 미생물, 질...
암의 정의와 원인,병태생리-발암과정,세포의 악성 형질전환,화학적 발암물질,바이러스 발암물...
★추천레포트★[알코올 중독 해결책과 기관방문] 알코올 중독의 개념과 특성, 진단 및 알코올 ...
암과 식생활 - 식사(식생활)가 암에 미치는 영향, 암예방을 위한 식생활, 영양소 및 식품이 ...
암의 치료와 간호, 수술, 방사선 요법 A+( 1. 암치료의 목적 2. 수술요법 3. 방사선요법 4. ...
급성췌장염 케이스 스터디 A+ 예시문 (Acute pancreatitis, 급성 췌장염 간호과정, 급성췌장...
암의 개념(정의), 암 발생요인, 암과 영양소의 관계, 암세포 발생과정, 암 치료를 위한 식이요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