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 지능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통신하게 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미들웨어, OS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
- 마지막으로 유비쿼터스 미들웨어 기술은 최종적인 유비쿼터스 시대를 열어가기 위한 마지막 단계로 RFID와 센서 네트워크의 단순한 접목이 아닌 유기적인 연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모든 사물과 환경의 정보가 유비쿼터스 미들웨어 기술을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실질적 정보로 구성 및 저장되는 것을 의미함
6)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은 운영체제, GUI, 미들웨어, 멀티미디어, 개발도구 등 임베디드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플랫폼 전반을 포함함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요소기술은 임베디드 운영체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툴,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나노 운영체제로 분류할 수 있음
- 임베디드 운영체제 기술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산업 및 생활 전반에 걸쳐 사용될 표준형, 초소형, 경성 실시간 임베디드 시스템에 활용될 실시간 기능이 탑재된 멀티태스킹 기본 커널 기술과 전력관리 등의 확장 기술을 포함하며 그래픽 처리를 위한 기본적인 함수와 객체 제공 및 그래픽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축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로 구성되는 컴포넌트로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을 위한 기본 핵심 기술임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툴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개발 시간 단축 및 최적화를 지원하는 각종 도구기술과 이들을 제공하는 개발 환경의 통합화 기술로써 사용자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자동으로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포함함
-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기술은 임베디드 웹 브라우저 기술과 스트리밍 기반의 미디어 재생기 기술을 통합하여 VOD 와 같은 실시간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핵심 기술임
- 나노 운영체제 기술은 센서 네트워크 상의 경량 분산 네트워킹 및 이벤트 처리 기능을 지원하는 기술로서, 초경량, 초소형, 저전력, 실시간성을 만족하는 센서 네트워킹을 위하여 제공되어야 하는 Ad-Hoc 네트워킹 기술, 센서들간의 혹은 센서와 서버간 무선 통신 방식,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라우팅 기술을 스마트 메시징 기술 등을 포함함
7) 웹 서비스 기술
○ 웹 서비스 기술은 플랫폼 독립적으로 시스템 간의 연계, 통합 및 자원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표준화된 XML 기반 웹 기술임
○ 웹 서비스는 연계, 통합 관점뿐만 아니라,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OA)를 실현시키는 현실적인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으며 그간 정보기술의 발전과정에서 많은 관심을 모았던 분산처리기술, 컴포넌트기술,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등이 만나는 접점기술임
○ 웹 서비스 기술의 대표적인 기반 기술로는 XML 기술, 시멘틱 웹 기술, 웹 서비스 응용 기술 등이 있음
- XML 기술은 XML 스키마, XML 질의어 및 처리기술, 바이너리 XML 기술 등을 포함함
- 시멘틱 웹 기술은 웹 규칙 및 추론기술, 온톨로지 저장 및 검색 기술, 시멘틱 웹 서비스 기술 등을 포함
- 웹 서비스 응용 기술은 유비쿼터스 웹 서비스 기술, 웹 서비스 협업 기술, 웹 서비스 상호 운영 기술, 웹 서비스 관리 기술 등을 포함함
(2) 우리의 역량
□ 출원연도별 기술개발동향
○ 아래 [그림 12-7]은 지능형국토정보 기반 관련기술에 대하여 최근 10년 동안의 출원동향을 나타낸 그래프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음
- 위치측정 또는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 센서네트워크관리와 같은 공간정보처리 기술은 2002년 이후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나 이는 아직 공개 또는 등록되지 데이터를 감안한다면 계속하여 증가할 것을 예상됨
- 그러나 응용기술은 이미 2000년 피크이후 계속 감소세이므로 앞으로 특허출원이 꾸준히 지속 될 수 있으나, 그 출원건수는 미비할 것임
- 센서, 미들웨어, 표준화기술 또한 계속 성장세이며, 특히 표준화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은 앞으로 주요 출원인들 사이에 특허출원 경쟁이 활발할 것으로 예상됨
□ 출원국가 및 출원인별 기술개발동향
○ 출원국가별 출원건수 및 점유현황은 다음 그림과 같음
- 지능형국토정보 기반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건수 3378건 가운데 미국이 1571건(47%)으로 가장 많은 출원을 보였고, 일본 883건(26%) > 유럽연합 478건(14%) > 한국 446건(13%)의 순서임
- 미국과 유럽연합, 한국이 공간정보처리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에 집중되어있는 반면 일본은 응용기술에 대한 출원비중이 높음
미국
일본
유럽연합
한국
□ 세부기술별 기술개발동향
○ 중분류 및 소분류 기술별 출원건수 및 점유현황을 나타낸 그림은 아래와 같음
- 지능형국토정보 기반 기술과 관련하여 수집된 특허데이터 3378건 가운데 센서기술은 537건(15.9%), 미들웨어기술 252건(7%), 공간정보처리기술 1586건(47%), 표준화기술 168건(5%), 응용기술 835건(24.7%)이 출원됨
- 미들웨어 기술은 영상, 음성등과 같은 데이터의 스트리밍처리와 같은 스트림처리기술이 242건, 센서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데이터 시스템에 대한 센서데이터베이스 기술이 10건 출원됨
- 공간정보처리기술은 위치를 측정 또는 표현하기 위한 위치측정기술이 968건으로 기술분류 가운데 가장 많았으며, 위성영상 또는 3차원 데이터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의 압축 및 전송기술은 283건, 센서 네트워크의 모델링 또는 시뮬레이션 관련 기술인 센서네트워크관리 기술은 335건이 출원됨
- 표준화기술은 서비스기술과 공간정보응용기술로 분류하였으며, 각 156건, 12건이 출원됨
- 이러한 기술의 응용형태는 재해, 화재, 재난등과 같은 안전관련 기술 315건, 자동차, 철도 등과 같은 교통관련 기술 157건, 수질 또는 공기의 오염등과 같은 환경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87건, 건물 등의 관리 시스템에 대한 시설물관련 기술 276건이 출원됨
- 마지막으로 유비쿼터스 미들웨어 기술은 최종적인 유비쿼터스 시대를 열어가기 위한 마지막 단계로 RFID와 센서 네트워크의 단순한 접목이 아닌 유기적인 연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모든 사물과 환경의 정보가 유비쿼터스 미들웨어 기술을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실질적 정보로 구성 및 저장되는 것을 의미함
6)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은 운영체제, GUI, 미들웨어, 멀티미디어, 개발도구 등 임베디드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플랫폼 전반을 포함함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요소기술은 임베디드 운영체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툴,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나노 운영체제로 분류할 수 있음
- 임베디드 운영체제 기술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산업 및 생활 전반에 걸쳐 사용될 표준형, 초소형, 경성 실시간 임베디드 시스템에 활용될 실시간 기능이 탑재된 멀티태스킹 기본 커널 기술과 전력관리 등의 확장 기술을 포함하며 그래픽 처리를 위한 기본적인 함수와 객체 제공 및 그래픽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축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로 구성되는 컴포넌트로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을 위한 기본 핵심 기술임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툴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개발 시간 단축 및 최적화를 지원하는 각종 도구기술과 이들을 제공하는 개발 환경의 통합화 기술로써 사용자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자동으로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포함함
-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기술은 임베디드 웹 브라우저 기술과 스트리밍 기반의 미디어 재생기 기술을 통합하여 VOD 와 같은 실시간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핵심 기술임
- 나노 운영체제 기술은 센서 네트워크 상의 경량 분산 네트워킹 및 이벤트 처리 기능을 지원하는 기술로서, 초경량, 초소형, 저전력, 실시간성을 만족하는 센서 네트워킹을 위하여 제공되어야 하는 Ad-Hoc 네트워킹 기술, 센서들간의 혹은 센서와 서버간 무선 통신 방식,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라우팅 기술을 스마트 메시징 기술 등을 포함함
7) 웹 서비스 기술
○ 웹 서비스 기술은 플랫폼 독립적으로 시스템 간의 연계, 통합 및 자원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표준화된 XML 기반 웹 기술임
○ 웹 서비스는 연계, 통합 관점뿐만 아니라,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OA)를 실현시키는 현실적인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으며 그간 정보기술의 발전과정에서 많은 관심을 모았던 분산처리기술, 컴포넌트기술,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등이 만나는 접점기술임
○ 웹 서비스 기술의 대표적인 기반 기술로는 XML 기술, 시멘틱 웹 기술, 웹 서비스 응용 기술 등이 있음
- XML 기술은 XML 스키마, XML 질의어 및 처리기술, 바이너리 XML 기술 등을 포함함
- 시멘틱 웹 기술은 웹 규칙 및 추론기술, 온톨로지 저장 및 검색 기술, 시멘틱 웹 서비스 기술 등을 포함
- 웹 서비스 응용 기술은 유비쿼터스 웹 서비스 기술, 웹 서비스 협업 기술, 웹 서비스 상호 운영 기술, 웹 서비스 관리 기술 등을 포함함
(2) 우리의 역량
□ 출원연도별 기술개발동향
○ 아래 [그림 12-7]은 지능형국토정보 기반 관련기술에 대하여 최근 10년 동안의 출원동향을 나타낸 그래프로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음
- 위치측정 또는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 센서네트워크관리와 같은 공간정보처리 기술은 2002년 이후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나 이는 아직 공개 또는 등록되지 데이터를 감안한다면 계속하여 증가할 것을 예상됨
- 그러나 응용기술은 이미 2000년 피크이후 계속 감소세이므로 앞으로 특허출원이 꾸준히 지속 될 수 있으나, 그 출원건수는 미비할 것임
- 센서, 미들웨어, 표준화기술 또한 계속 성장세이며, 특히 표준화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은 앞으로 주요 출원인들 사이에 특허출원 경쟁이 활발할 것으로 예상됨
□ 출원국가 및 출원인별 기술개발동향
○ 출원국가별 출원건수 및 점유현황은 다음 그림과 같음
- 지능형국토정보 기반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건수 3378건 가운데 미국이 1571건(47%)으로 가장 많은 출원을 보였고, 일본 883건(26%) > 유럽연합 478건(14%) > 한국 446건(13%)의 순서임
- 미국과 유럽연합, 한국이 공간정보처리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에 집중되어있는 반면 일본은 응용기술에 대한 출원비중이 높음
미국
일본
유럽연합
한국
□ 세부기술별 기술개발동향
○ 중분류 및 소분류 기술별 출원건수 및 점유현황을 나타낸 그림은 아래와 같음
- 지능형국토정보 기반 기술과 관련하여 수집된 특허데이터 3378건 가운데 센서기술은 537건(15.9%), 미들웨어기술 252건(7%), 공간정보처리기술 1586건(47%), 표준화기술 168건(5%), 응용기술 835건(24.7%)이 출원됨
- 미들웨어 기술은 영상, 음성등과 같은 데이터의 스트리밍처리와 같은 스트림처리기술이 242건, 센서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데이터 시스템에 대한 센서데이터베이스 기술이 10건 출원됨
- 공간정보처리기술은 위치를 측정 또는 표현하기 위한 위치측정기술이 968건으로 기술분류 가운데 가장 많았으며, 위성영상 또는 3차원 데이터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의 압축 및 전송기술은 283건, 센서 네트워크의 모델링 또는 시뮬레이션 관련 기술인 센서네트워크관리 기술은 335건이 출원됨
- 표준화기술은 서비스기술과 공간정보응용기술로 분류하였으며, 각 156건, 12건이 출원됨
- 이러한 기술의 응용형태는 재해, 화재, 재난등과 같은 안전관련 기술 315건, 자동차, 철도 등과 같은 교통관련 기술 157건, 수질 또는 공기의 오염등과 같은 환경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87건, 건물 등의 관리 시스템에 대한 시설물관련 기술 276건이 출원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