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재료 및 실험방법
3. 결론
4. 토론
2. 재료 및 실험방법
3. 결론
4. 토론
본문내용
m bromide (브롬화칼륨)은 눈에 보이지 않았고, 노란색을 띄는 5% potassium ferricyanide (적혈염 3)은 눈에 잘 보였기 때문에 5% potassium ferricyanide (적혈염 3)이 가장 먼저 확산이 된 것으로 생각을 하게 된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볼 때는 1N sodium chloride (염화나트륨)가 가장 먼저 확산이 되고, 다음에는 1N potassium bromide (브롬화칼륨)가, 마지막으로 5% potassium ferricyanide (적혈염 3)이 확산 된 것이다.
두 번째 삼투 실험은 위에서 설명 했듯이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용매가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증류수와 1M sucrose의 분자량과 농도를 찾아본 결과 증류수의 분자량은 20이고 1M sucrose의 분자량은 342이다. 그리고 상대적으로도 1M sucrose가 증류수 보다 고농도에 속해 있다. 그래서 저농도인 증류수는 삼투에 의해 막을 통과하여 1M sucrose에 들어가고 이로 인해서 수위가 높아진 것이다. 이러한 증류수의 삼투에 의해 1M sucrose 수위가 점점 올라오다가 약 35분부터 50분까지 0.8cm의 수위를 유지 하였다. 이것은 곧 비커 안의 증류수 농도와 인공막 안에 있는 1M sucrose의 농도가 평행상태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농도의 평행이 되는데 걸린 시간은 약 35분이 소요 되었다고 보면 되는 것이다.
세 번째 실험인 투석은 투석막에 전분액을 넣고, 증류수가 있는 비커에 넣은 다음 요오드액을 조금씩 떨어 뜨려 노란색 또는 갈색이 되도록 만들고 관찰을 하였는데 약 19분후부터 전분액이 약간 보랏빛을 띄기 시작 했고, 비커 안의 요오드액 증류수도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요오드액 안에 있는 분자의 크기가 전분액의 분자보다 작기 때문에 요오드액의 분자와 이온이 투석막을 통과하여 전분액과 반응함으로서 전분액이 보랏빛을 띄게 되는 것이다. 이건 위에서 설명 했듯이 삼투압과는 다른 투과 방법으로 이루어진 물질 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원형질막의 물질투과 실험을 하면서 누구나 한번쯤을 들어 봤을법한 확산, 삼투, 투석에 대해서 한번 더 생각을 해볼 수 있었던 좋은 시간이었고, 굳이 이러한 실험을 통해서 확산, 삼투, 투석을 관찰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주변이나 일상생활에도 많이 볼 수 있고, 사용되어 지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더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두 번째 삼투 실험은 위에서 설명 했듯이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용매가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증류수와 1M sucrose의 분자량과 농도를 찾아본 결과 증류수의 분자량은 20이고 1M sucrose의 분자량은 342이다. 그리고 상대적으로도 1M sucrose가 증류수 보다 고농도에 속해 있다. 그래서 저농도인 증류수는 삼투에 의해 막을 통과하여 1M sucrose에 들어가고 이로 인해서 수위가 높아진 것이다. 이러한 증류수의 삼투에 의해 1M sucrose 수위가 점점 올라오다가 약 35분부터 50분까지 0.8cm의 수위를 유지 하였다. 이것은 곧 비커 안의 증류수 농도와 인공막 안에 있는 1M sucrose의 농도가 평행상태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농도의 평행이 되는데 걸린 시간은 약 35분이 소요 되었다고 보면 되는 것이다.
세 번째 실험인 투석은 투석막에 전분액을 넣고, 증류수가 있는 비커에 넣은 다음 요오드액을 조금씩 떨어 뜨려 노란색 또는 갈색이 되도록 만들고 관찰을 하였는데 약 19분후부터 전분액이 약간 보랏빛을 띄기 시작 했고, 비커 안의 요오드액 증류수도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요오드액 안에 있는 분자의 크기가 전분액의 분자보다 작기 때문에 요오드액의 분자와 이온이 투석막을 통과하여 전분액과 반응함으로서 전분액이 보랏빛을 띄게 되는 것이다. 이건 위에서 설명 했듯이 삼투압과는 다른 투과 방법으로 이루어진 물질 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원형질막의 물질투과 실험을 하면서 누구나 한번쯤을 들어 봤을법한 확산, 삼투, 투석에 대해서 한번 더 생각을 해볼 수 있었던 좋은 시간이었고, 굳이 이러한 실험을 통해서 확산, 삼투, 투석을 관찰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주변이나 일상생활에도 많이 볼 수 있고, 사용되어 지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더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