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및 지적재산권 출원건수증가율 (10%/년)
■ 추진 단계별 세부전략
1단계(‘05-’07)
R&D체제 정착기
관리행정체계 통합을 통한 R&D효율적 집행
기술고도화를 위한 사업구조개편
R&D 기획평가관리 프로세스 재정비
평가원의 관리역량강화
2단계(‘08-’10)
기술혁신기반 고도화
연구 인프라 및 혁신기반 확보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구축
기술이전 및 거래시장 확립
3단계(‘10- )
기술고도화 실현
차세대 성장 기술개발 및 실용화
건설교통 기술무역 역조 해소 및 해외시장주도
건설교통 산업분야 기술경쟁체제 정착
5 2007년도 건교부 업무계획 및 정책
○ 2007년도 건교부 7대 핵심과제는 다음과 같음
- 선진 주거복지를 구현하고 집값 안정
- 전국이 골고루 잘 사는 균형국토 실현
- 동북아 물류를 선도하는 교통물류 강국을 건설
- 국제 경제력 강화를 위한 SOC 기반을 구축
- 쾌적하고 안전한 생활환경을 조성
- 누구에게나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서비스를 제공
- 건설산업을 선진화하고 기술경쟁력을 강화
○ 집값 안정 및 선진 주거 복지사회 구현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계획을 추진
-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공급 강화
- 양질의 주택을 “싸게, 많이, 빨리” 공급
- 미래 주거환경에 맞게 주택품질의 향상 추진
- 국토균형발전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 행정, 혁신, 기업도시 착공으로 균형발전 성과 가시화
- 체계적인 지역개발로 낙후지역 등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 수도권은 계획적 관리를 위한 기반 구축
○ 전국을 골고루 잘 사는 균형국토의 실현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계획을 추진
- 행정혁신기업도시 착공으로 균형발전 성과 가시화
- 체계적인 지역개발로 낙후지역 등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 수도권은 계획적 관리를 위한 기반구축
○ 도로, 철도의 확충으로 편리한 반일생활권 실현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계획을 추진
- 고속도로, 국도확충, 철도 전철화 등 국가 간선교통망 지속 확충
- 경쟁력 강화, 국토 균형발전을 위한 간선교통망 구축
- 완공위주 집중 투자 및 도시부 투자 확대, 대도시권 교통혼잡도로 개선사업
○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체계적 수자원 관리와 홍수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계획을 추진
-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지속가능한 물관리
- 사람과 자연에 맑은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
- 홍수에 강한 국토기반 조성
- 자연과 인간이 어울려 사는 하천환경 복원
○ 도시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 유무선 정보통신망,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등 첨단 IT기술을 도로, 교량, 상하수도등 도시기반시설에 융합하여 도시의 제반기능을 혁신시킬수 있는 미래형 첨단도시로서, 교통환경안전민원 등 도시민의 실생활과 관련된 각종 서비스가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제공되어 도시민의 편의를 획기적으로 개선
- 미래도시전략: U-city의 미래사회상과 공간구조의 변화, 효율적인 U-city 구현을 위한 중장기 전략, U-city 공간계획 및 설계기준 개발
- U-city 인프라 구현기술 개발: U-city 인프라 구축을 위한 건설정보통신 융합기술 개발, 유시티운영센터 관련 기술개발
- Test Bed 구축: Test Bed에 정보통신기술, 기반시설 지능화 기술 등을 총체적으로 실험검증하여 U-city 기술의 해외수출기반 마련
○ 살고싶은 도시만들기
- 스스로 공동의제를 발굴하는 삶터가꾸기 실현(주민)
- 도시별 특화발전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지자체)
- 시범사업 추진과 기반만들기를 통해 조기정착을 유도(정부)
○ 건설기술경쟁력 강화
- 건설기술인력 종합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기반조성
- 설계기술의 경쟁력 강화
- 건설사업비의 적정산정체계 정립
- 건설교통 R&D 효율성 제고로 미래 성장동력 확충
■ 추진 단계별 세부전략
1단계(‘05-’07)
R&D체제 정착기
관리행정체계 통합을 통한 R&D효율적 집행
기술고도화를 위한 사업구조개편
R&D 기획평가관리 프로세스 재정비
평가원의 관리역량강화
2단계(‘08-’10)
기술혁신기반 고도화
연구 인프라 및 혁신기반 확보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구축
기술이전 및 거래시장 확립
3단계(‘10- )
기술고도화 실현
차세대 성장 기술개발 및 실용화
건설교통 기술무역 역조 해소 및 해외시장주도
건설교통 산업분야 기술경쟁체제 정착
5 2007년도 건교부 업무계획 및 정책
○ 2007년도 건교부 7대 핵심과제는 다음과 같음
- 선진 주거복지를 구현하고 집값 안정
- 전국이 골고루 잘 사는 균형국토 실현
- 동북아 물류를 선도하는 교통물류 강국을 건설
- 국제 경제력 강화를 위한 SOC 기반을 구축
- 쾌적하고 안전한 생활환경을 조성
- 누구에게나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서비스를 제공
- 건설산업을 선진화하고 기술경쟁력을 강화
○ 집값 안정 및 선진 주거 복지사회 구현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계획을 추진
-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공급 강화
- 양질의 주택을 “싸게, 많이, 빨리” 공급
- 미래 주거환경에 맞게 주택품질의 향상 추진
- 국토균형발전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 행정, 혁신, 기업도시 착공으로 균형발전 성과 가시화
- 체계적인 지역개발로 낙후지역 등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 수도권은 계획적 관리를 위한 기반 구축
○ 전국을 골고루 잘 사는 균형국토의 실현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계획을 추진
- 행정혁신기업도시 착공으로 균형발전 성과 가시화
- 체계적인 지역개발로 낙후지역 등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 수도권은 계획적 관리를 위한 기반구축
○ 도로, 철도의 확충으로 편리한 반일생활권 실현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계획을 추진
- 고속도로, 국도확충, 철도 전철화 등 국가 간선교통망 지속 확충
- 경쟁력 강화, 국토 균형발전을 위한 간선교통망 구축
- 완공위주 집중 투자 및 도시부 투자 확대, 대도시권 교통혼잡도로 개선사업
○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체계적 수자원 관리와 홍수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계획을 추진
-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지속가능한 물관리
- 사람과 자연에 맑은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
- 홍수에 강한 국토기반 조성
- 자연과 인간이 어울려 사는 하천환경 복원
○ 도시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 유무선 정보통신망,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등 첨단 IT기술을 도로, 교량, 상하수도등 도시기반시설에 융합하여 도시의 제반기능을 혁신시킬수 있는 미래형 첨단도시로서, 교통환경안전민원 등 도시민의 실생활과 관련된 각종 서비스가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제공되어 도시민의 편의를 획기적으로 개선
- 미래도시전략: U-city의 미래사회상과 공간구조의 변화, 효율적인 U-city 구현을 위한 중장기 전략, U-city 공간계획 및 설계기준 개발
- U-city 인프라 구현기술 개발: U-city 인프라 구축을 위한 건설정보통신 융합기술 개발, 유시티운영센터 관련 기술개발
- Test Bed 구축: Test Bed에 정보통신기술, 기반시설 지능화 기술 등을 총체적으로 실험검증하여 U-city 기술의 해외수출기반 마련
○ 살고싶은 도시만들기
- 스스로 공동의제를 발굴하는 삶터가꾸기 실현(주민)
- 도시별 특화발전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지자체)
- 시범사업 추진과 기반만들기를 통해 조기정착을 유도(정부)
○ 건설기술경쟁력 강화
- 건설기술인력 종합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기반조성
- 설계기술의 경쟁력 강화
- 건설사업비의 적정산정체계 정립
- 건설교통 R&D 효율성 제고로 미래 성장동력 확충
키워드
추천자료
국토의 계획및 이용에 관한 법률
[일제강점기][일제시대][식민지]일제강점기(일제시대) 한국경제의 모순과 문제, 일제강점기(...
[청년실업][청년실업문제][청년실업사례][청년실업해소][청년실업정책]청년실업의 원인과 청...
종합 스포츠 센터 사업계획서 ( 헬스클럽 )
북한의 계획이념 및 주거실태와 주택정책, 도시문제
부산항(부산항만)의 현황, 부산항(부산항만) 신항사업, 부산항(부산항만) 건설계획, 부산항(...
98,대도시권관리,신도시,시가지개발,프랑스사례,프랑스 파리와 일드프랑스,일드프랑스,프랑스...
우리나라 환경 행정 정책 필요성, 개념, 특징, 원인, 발전방향, 배경, 사례, 행정, 체계, 역...
로스만(Rothman)의 지역사회실천 모델에 해당하는 실제 예(3가지 모델 전부)를 찾아서 정리하...
[창업계획서] 종합 먹거리 전문점 프랜차이즈 창업 사업계획서 PPT자료
[일본의 산업발전전략] 일본의 신산업창출정책, 신산업육성계획
[지역발전론] 참여정부의 지역R&D 균형발전 정책평가(비전 및 목표, 중점사업, 관련계획 ...
[지역발전론] 참여정부의 지역산림 균형발전 정책평가(비전 및 목표, 중점사업, 관련계획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