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비정상적인 Q파
1. 급성 심근경색시의 심전도 변화
1) 비정상 T파
-정상 : 재분극은 외막에서 시작하여 심내막으로 진행하며 T파는 위로 향한다.
-심내막 허혈 : QT간격이 지연되고 대칭적, 높고 뾰족한 T파 생성
-외막하부 허혈 : QT간격 느려지고 대칭적, 역전된 깊은 T파
즉, 심근경색 후 수초 내에 심전도에는 비정상 T파가 나타나는데 이는 심근허혈을 의미하며 허혈부위에 나타나는데 무산소증으로 인한 심근의 재분극이 지연되기 때문이다.
2) 비정상 ST분절
-ST분절 상승 : 기저선에서 1mm이상 일 때
심각한 심근손상의 진행
손상된 세포의 정면 유도에서 상승
ST분절의 상승원인은 심근세포의 손상으로 이완기 동안 정상적인 안정막 전위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세포들이 전기적으로 안정상태에 있는 이완기 동안 세포내 음이온이 주위 세포외액으로 새어나오면서 손상된 심근세포의 외부는 더욱 음이온으로 되고 세포 내부는 더욱 양이온이 된다. )
-ST분절 하강 : 1mm(0.08초)이상 하강 시, 심근손상 의미
원인> 심근 무산소증에 의해 재분극이 장애를 받기 때문이다.
기타원인으로 심실비대, 각차단, Digitalis 효과 또는 독작용이 있다. (그림- 상행경사 수평 하행경사)
3) 비정상 Q파
- 0.04초보다 넓고 깊이가 R파의 25%이상
- 경색의 깊이는 Q파의 깊이, 경색의 넓이는 Q파의 넓이를 의미한다. 즉, 경색부위가 크면 Q파는 커지고 경색부위가 작으면 Q파의 깊이나 넓이가 작아진다.
??경색 반대편 심실벽 즉, 건강한 쪽 심실벽이 두꺼우면 Q파가 커지고 얇으면 Q파가 작아진다.
2. 심근경색 종류와 심전도 변화
1) 중격 경색 (Septal Infarction)
-LAD의 중격 관통동맥이 폐쇄
-경색부위 : 좌심실 전벽, 심실간 중격 전면 2/3
-leadV1-V2 : ST elevation, 높은 T파, QRS군과 T파의 역전
2) 전면 경색 (Anterior Infarction)
-LAD의 대각동맥 폐쇄
-경색부위 : 좌심실의 전벽
-leads V1 - 6, I and aVL : ST elevation
3) 측면 경색 (Lateral Infarction)
-LAD의 대각동맥 측부, LCX의 전면 측면 변연동맥 폐쇄
-경색부위 : 좌심실 전면벽
-leads V5 - 6, I and aVL : ST elevation, 정상 R파보다 높은 T파
-lead I, aVL : 비정상 Q파, T파 역전
4) 하면 경색 (Inferior Infarction)
-후 좌심실 동맥이나 드물게 LCX 폐쇄
-경색부위 : 좌심실의 하부벽
-lead II, III, aVF : ST elevation, 높은 R파, 높은 T파, T파 역전
5)후면 경색 (Posterior Infarction)
-Distal LCX, LCX의 후측부 변연동맥 폐쇄
-경색부위 : 좌측 후면 방실구 아래 ~ 좌심실 하부벽
-lead V1-V4 : ST depression, tall R wave, tall upright T wave(직립으로 높은 T파)
1. 급성 심근경색시의 심전도 변화
1) 비정상 T파
-정상 : 재분극은 외막에서 시작하여 심내막으로 진행하며 T파는 위로 향한다.
-심내막 허혈 : QT간격이 지연되고 대칭적, 높고 뾰족한 T파 생성
-외막하부 허혈 : QT간격 느려지고 대칭적, 역전된 깊은 T파
즉, 심근경색 후 수초 내에 심전도에는 비정상 T파가 나타나는데 이는 심근허혈을 의미하며 허혈부위에 나타나는데 무산소증으로 인한 심근의 재분극이 지연되기 때문이다.
2) 비정상 ST분절
-ST분절 상승 : 기저선에서 1mm이상 일 때
심각한 심근손상의 진행
손상된 세포의 정면 유도에서 상승
ST분절의 상승원인은 심근세포의 손상으로 이완기 동안 정상적인 안정막 전위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세포들이 전기적으로 안정상태에 있는 이완기 동안 세포내 음이온이 주위 세포외액으로 새어나오면서 손상된 심근세포의 외부는 더욱 음이온으로 되고 세포 내부는 더욱 양이온이 된다. )
-ST분절 하강 : 1mm(0.08초)이상 하강 시, 심근손상 의미
원인> 심근 무산소증에 의해 재분극이 장애를 받기 때문이다.
기타원인으로 심실비대, 각차단, Digitalis 효과 또는 독작용이 있다. (그림- 상행경사 수평 하행경사)
3) 비정상 Q파
- 0.04초보다 넓고 깊이가 R파의 25%이상
- 경색의 깊이는 Q파의 깊이, 경색의 넓이는 Q파의 넓이를 의미한다. 즉, 경색부위가 크면 Q파는 커지고 경색부위가 작으면 Q파의 깊이나 넓이가 작아진다.
??경색 반대편 심실벽 즉, 건강한 쪽 심실벽이 두꺼우면 Q파가 커지고 얇으면 Q파가 작아진다.
2. 심근경색 종류와 심전도 변화
1) 중격 경색 (Septal Infarction)
-LAD의 중격 관통동맥이 폐쇄
-경색부위 : 좌심실 전벽, 심실간 중격 전면 2/3
-leadV1-V2 : ST elevation, 높은 T파, QRS군과 T파의 역전
2) 전면 경색 (Anterior Infarction)
-LAD의 대각동맥 폐쇄
-경색부위 : 좌심실의 전벽
-leads V1 - 6, I and aVL : ST elevation
3) 측면 경색 (Lateral Infarction)
-LAD의 대각동맥 측부, LCX의 전면 측면 변연동맥 폐쇄
-경색부위 : 좌심실 전면벽
-leads V5 - 6, I and aVL : ST elevation, 정상 R파보다 높은 T파
-lead I, aVL : 비정상 Q파, T파 역전
4) 하면 경색 (Inferior Infarction)
-후 좌심실 동맥이나 드물게 LCX 폐쇄
-경색부위 : 좌심실의 하부벽
-lead II, III, aVF : ST elevation, 높은 R파, 높은 T파, T파 역전
5)후면 경색 (Posterior Infarction)
-Distal LCX, LCX의 후측부 변연동맥 폐쇄
-경색부위 : 좌측 후면 방실구 아래 ~ 좌심실 하부벽
-lead V1-V4 : ST depression, tall R wave, tall upright T wave(직립으로 높은 T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