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자동차의 재료 구성
1.2 자동차 재료의 구성비
2. 재료의 종류 및 특성
2.1철강 재료
2.2.1고장력 강판
1)고장력 강판의 종류
2.2.2. 표면처리강판
1) 종류 및 단면 구조
2) 특성 및 용도2.2 알루미늄
2.2 알루미늄
2.2.1 가공용 알루미늄 합금
2.2.2. 주물용 알루미늄 합금
2.2.3.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
2.3 플라스틱
2.3.1. 서론
2.3.2.플라스틱의 영향
2.3.3. 플라스틱의 추세
2.3.4.주요 플라스틱의 적용분야 및 장단점
2.4 고무소재
2.4.1. 고무소재의 종류
2.4.2고무의 종류 및 사용예
2.5.유리소재
2.5.1 유리 소재의 종류
1.1 자동차의 재료 구성
1.2 자동차 재료의 구성비
2. 재료의 종류 및 특성
2.1철강 재료
2.2.1고장력 강판
1)고장력 강판의 종류
2.2.2. 표면처리강판
1) 종류 및 단면 구조
2) 특성 및 용도2.2 알루미늄
2.2 알루미늄
2.2.1 가공용 알루미늄 합금
2.2.2. 주물용 알루미늄 합금
2.2.3.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
2.3 플라스틱
2.3.1. 서론
2.3.2.플라스틱의 영향
2.3.3. 플라스틱의 추세
2.3.4.주요 플라스틱의 적용분야 및 장단점
2.4 고무소재
2.4.1. 고무소재의 종류
2.4.2고무의 종류 및 사용예
2.5.유리소재
2.5.1 유리 소재의 종류
본문내용
자동차의 재료
목차
1. 서론
1.1 자동차의 재료 구성
1.2 자동차 재료의 구성비
2. 재료의 종류 및 특성
2.1철강 재료
2.2.1고장력 강판
1)고장력 강판의 종류
2.2.2. 표면처리강판
1) 종류 및 단면 구조
2) 특성 및 용도2.2 알루미늄
2.2 알루미늄
2.2.1 가공용 알루미늄 합금
2.2.2. 주물용 알루미늄 합금
2.2.3.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
2.3 플라스틱
2.3.1. 서론
2.3.2.플라스틱의 영향
2.3.3. 플라스틱의 추세
2.3.4.주요 플라스틱의 적용분야 및 장단점
2.4 고무소재
2.4.1. 고무소재의 종류
2.4.2고무의 종류 및 사용예
2.5.유리소재
2.5.1 유리 소재의 종류
1)전면유리 (Front Windshield Glass)
2)옆창유리 (Side Door Glass)
3)옆창유리 (Side Door Glass)
4)열선뒷유리 (Heated Rear Window Glass)
5)안테나 창유리 (Printed Antenna Glass)
6)태양광 조절유리 (Solar Control Glass : SEKURISOL)
7)발수유리 (Water Repellent Coating Glass)
1. 서론
1.1 자동차의 재료 구성
자동차의 구성을 잠깐 살펴보면 차체부분과 의장부분 구동부분과 샤시부분 전기 전자부분으로 나눌 수가 있다.
차체부분은 차량의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인데 전반적인 소재는 철판(steel)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근 알루미늄, 플라스틱, FRP등 다양한 소재를 일부 부품에 한정 사용하고 있다. 의장부분은 전반적으로 플라스틱(PP, PE, ABS, NYLON등)과 천, 인조가죽, 고무, 등의 외장 내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뼈대를 이루는 일부는 STEEL로 이루어져 있다. 또 완충용으로 스펀지, 스티로폼, 아스팔트 등을 사용한다.
구동부분은 Steel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는 경합금(알루미늄 합금, 아연합금)등으로 이루어져 있기도 하다. 그 외 동력 연결부의 벨트류 완충용 부시 페킹등의 고무도 있다. 샤시부분도 주로 스틸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전기전장은 기판의 플라스틱계 전선의 구리류를 쓰고, 외피는 고무로 이루어져 있다.
그다음 흡차음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폼류(고무) 그라스울, 레진펠트, PET 펠트 등이 사용되고 있다. 고무는 완충용 뎀프 또는 부시, 동력전달 벨트류. 전선 피복, 그리고 흠음제정도와 각종 호스등에 쓰인다. 나머지 부분에는 프라스틱 계열의 재료가 많이 사용된다.
1.2 자동차 재료의 구성비
단위 (%)
철강
알루미늄
플라스틱
고무
기타
유리
62.5
12.1
10.4
4.4
7.5
2.8
2. 재료의 종류 및 특성
2.1철강 재료
2.2.1고장력 강판
강화기구
제조특성
용도
석출강화
일반용
저탄소강에 석출강화원소(Ti,Nb)를 첨가시켜 강판내 탄,질화물을 미세석출함으로 입계성장을 억제하여 결정립 미세화,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여 높은강도 확보
보강재용
-Bumper, Rail
-Door, Member
고용강화
경가공
중저, 저탄소강에 고용강화 효과가 크며, 가공성 저하가 적은 친환경 고용체인 (P)를 다량 첨가하여 강도 확보
가공용 내판재
(Member,Dash
LWR 등)
심가공
극저탄소강에 탄 질화물인 Ti를 첨가 가공성을 확보, 치환형 고용체 P,Mn,Si를 첨가하여 강도확보
내,외판재 및
심가공 부품
(Door,Hood
Cowl UPR등)
소부경화
심가공용 고장력 강 성분 Bass로 탄, 질화물인 Ti를 소량 첨가, 고용(C) 확산, 고착되어 강도 증가
외판재
(Door,Hood
Cowl UPR등)
Dual Phase
저탄소강을 급냉을 통해 Ferrite와 Martensite의 2상 조직으로 Ferrite의 연성과 Martensite의 고강도가 합쳐져 고연성, 및 고강도 확보
보강재용
- Bumper
- Member
Trip
Martensite 변태시작온도 하향화 원소인 C,Si 원소첨가 하여 2상역 thens 및 Bainite 항온 변태 처리로 잔류 Austenite 확보, 충격흡수능 및 성형성 우수
보강재용
- Bumper
- Member
1)고장력 강판의 종류
DP강
페라이트 매트릭스 내에 고립된 마르텐사 이트로 구성
마르텐사이트 상의 분율에 의해 강도 결정
연속항복거동
인장강도 대비 낮은 항복강도
페라이트형상→가공성 증대. 마르텐사이트 →강도 증가
TRIP강
미세조직 : 페라이트 + 잔류오스테나이트(5%이상) + 마르텐사이트
변형시 잔류오스테나이트→ 마르텐사이트 연성증가
연속항복거동
인장강도 대비 낮은 항복강도 및 연신률
높은 C/Si 함량 → 도금성및 용접성 열위
CP강
미세조직 : 미세페라이트 +마르텐사이트/ 베이나이트 + 미세 석출물
Dp +TRIP + 석출강화(TI,NB,V)
인장강도 800MPa 이상
인장강도 대비 높은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 대비 높은 연신율
고성형성, 고에너지 흡수성
Mart 강
열연 고장력강
hot- rolling 후
목차
1. 서론
1.1 자동차의 재료 구성
1.2 자동차 재료의 구성비
2. 재료의 종류 및 특성
2.1철강 재료
2.2.1고장력 강판
1)고장력 강판의 종류
2.2.2. 표면처리강판
1) 종류 및 단면 구조
2) 특성 및 용도2.2 알루미늄
2.2 알루미늄
2.2.1 가공용 알루미늄 합금
2.2.2. 주물용 알루미늄 합금
2.2.3.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
2.3 플라스틱
2.3.1. 서론
2.3.2.플라스틱의 영향
2.3.3. 플라스틱의 추세
2.3.4.주요 플라스틱의 적용분야 및 장단점
2.4 고무소재
2.4.1. 고무소재의 종류
2.4.2고무의 종류 및 사용예
2.5.유리소재
2.5.1 유리 소재의 종류
1)전면유리 (Front Windshield Glass)
2)옆창유리 (Side Door Glass)
3)옆창유리 (Side Door Glass)
4)열선뒷유리 (Heated Rear Window Glass)
5)안테나 창유리 (Printed Antenna Glass)
6)태양광 조절유리 (Solar Control Glass : SEKURISOL)
7)발수유리 (Water Repellent Coating Glass)
1. 서론
1.1 자동차의 재료 구성
자동차의 구성을 잠깐 살펴보면 차체부분과 의장부분 구동부분과 샤시부분 전기 전자부분으로 나눌 수가 있다.
차체부분은 차량의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인데 전반적인 소재는 철판(steel)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근 알루미늄, 플라스틱, FRP등 다양한 소재를 일부 부품에 한정 사용하고 있다. 의장부분은 전반적으로 플라스틱(PP, PE, ABS, NYLON등)과 천, 인조가죽, 고무, 등의 외장 내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뼈대를 이루는 일부는 STEEL로 이루어져 있다. 또 완충용으로 스펀지, 스티로폼, 아스팔트 등을 사용한다.
구동부분은 Steel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는 경합금(알루미늄 합금, 아연합금)등으로 이루어져 있기도 하다. 그 외 동력 연결부의 벨트류 완충용 부시 페킹등의 고무도 있다. 샤시부분도 주로 스틸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전기전장은 기판의 플라스틱계 전선의 구리류를 쓰고, 외피는 고무로 이루어져 있다.
그다음 흡차음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폼류(고무) 그라스울, 레진펠트, PET 펠트 등이 사용되고 있다. 고무는 완충용 뎀프 또는 부시, 동력전달 벨트류. 전선 피복, 그리고 흠음제정도와 각종 호스등에 쓰인다. 나머지 부분에는 프라스틱 계열의 재료가 많이 사용된다.
1.2 자동차 재료의 구성비
단위 (%)
철강
알루미늄
플라스틱
고무
기타
유리
62.5
12.1
10.4
4.4
7.5
2.8
2. 재료의 종류 및 특성
2.1철강 재료
2.2.1고장력 강판
강화기구
제조특성
용도
석출강화
일반용
저탄소강에 석출강화원소(Ti,Nb)를 첨가시켜 강판내 탄,질화물을 미세석출함으로 입계성장을 억제하여 결정립 미세화,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여 높은강도 확보
보강재용
-Bumper, Rail
-Door, Member
고용강화
경가공
중저, 저탄소강에 고용강화 효과가 크며, 가공성 저하가 적은 친환경 고용체인 (P)를 다량 첨가하여 강도 확보
가공용 내판재
(Member,Dash
LWR 등)
심가공
극저탄소강에 탄 질화물인 Ti를 첨가 가공성을 확보, 치환형 고용체 P,Mn,Si를 첨가하여 강도확보
내,외판재 및
심가공 부품
(Door,Hood
Cowl UPR등)
소부경화
심가공용 고장력 강 성분 Bass로 탄, 질화물인 Ti를 소량 첨가, 고용(C) 확산, 고착되어 강도 증가
외판재
(Door,Hood
Cowl UPR등)
Dual Phase
저탄소강을 급냉을 통해 Ferrite와 Martensite의 2상 조직으로 Ferrite의 연성과 Martensite의 고강도가 합쳐져 고연성, 및 고강도 확보
보강재용
- Bumper
- Member
Trip
Martensite 변태시작온도 하향화 원소인 C,Si 원소첨가 하여 2상역 thens 및 Bainite 항온 변태 처리로 잔류 Austenite 확보, 충격흡수능 및 성형성 우수
보강재용
- Bumper
- Member
1)고장력 강판의 종류
DP강
페라이트 매트릭스 내에 고립된 마르텐사 이트로 구성
마르텐사이트 상의 분율에 의해 강도 결정
연속항복거동
인장강도 대비 낮은 항복강도
페라이트형상→가공성 증대. 마르텐사이트 →강도 증가
TRIP강
미세조직 : 페라이트 + 잔류오스테나이트(5%이상) + 마르텐사이트
변형시 잔류오스테나이트→ 마르텐사이트 연성증가
연속항복거동
인장강도 대비 낮은 항복강도 및 연신률
높은 C/Si 함량 → 도금성및 용접성 열위
CP강
미세조직 : 미세페라이트 +마르텐사이트/ 베이나이트 + 미세 석출물
Dp +TRIP + 석출강화(TI,NB,V)
인장강도 800MPa 이상
인장강도 대비 높은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 대비 높은 연신율
고성형성, 고에너지 흡수성
Mart 강
열연 고장력강
hot- rolling 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