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폭정은 더욱 심해졌다. 1980년 광주항쟁은 미술인에게도 새로운 각성을 촉구했다. 그렇지 않아도 미술의 귀족화에 매진하던 모노크롬 시대에 새로운 소통구조의 수립이 요구되기 시작했다. 80년대의 새로운 미술운동은 탄압을 자행한 정부에 의해 민중미술이라는 관제용어로 공식화되었다. 민주화 투쟁의 시기에 민중에 의한, 민중을 위한 미술의 열기는 급속도로 호응을 얻으면서 화단을 양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모더니즘과 민중미술 대열로 미술계는 양분되어 반목의 늪이 깊어져만 갔다.
◀ 권순철 <얼굴> 캔버스에 유채 195×130cm 1994 권순철의 인물 화는 서민, 특히 노인의 얼굴을 주된 소재로 해왔다. 거칠게 그 려진 그의 얼굴들은 작가의 개성적 조형양식에 따라 한 시대의 가회적 긴장을 예술로 승화시킨 작품들이다.
「한국 미술의 대표적인 미적 특징은 자연과 일체가 되어 생명을 불어넣은 그림이라고 말 할 수 있는 것 같다. 선이 유연하면서 단순하고 상징성을 가지면서 솔직함이 묻어난다. 반면 서양의 미술은 왠지 모르게 균형과 절제미가 있는 것 같다. 한국이 자연 중심이라면 서양은 인간주의를 지니는 것 같다. 고대 조각에는 한국 특유의 인간미가 있으며 꾸밈없는 밝은 얼굴 표정은 한국인의 민족성을 그대로 표상하고 있다.
한국 미술하면 빠질 수 없는 것이 동양화이다. 알고 있는 옛 화가들만 해도 김홍도의 풍속화, 정선의 산수화, 신윤복의 풍속화 등이 있다. 내가 느끼는 이들의 작품은 대체로 단아함과 기교적이지 않은 순수함인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더 친근감 있게 다가 갈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 싶다.」
◀ 권순철 <얼굴> 캔버스에 유채 195×130cm 1994 권순철의 인물 화는 서민, 특히 노인의 얼굴을 주된 소재로 해왔다. 거칠게 그 려진 그의 얼굴들은 작가의 개성적 조형양식에 따라 한 시대의 가회적 긴장을 예술로 승화시킨 작품들이다.
「한국 미술의 대표적인 미적 특징은 자연과 일체가 되어 생명을 불어넣은 그림이라고 말 할 수 있는 것 같다. 선이 유연하면서 단순하고 상징성을 가지면서 솔직함이 묻어난다. 반면 서양의 미술은 왠지 모르게 균형과 절제미가 있는 것 같다. 한국이 자연 중심이라면 서양은 인간주의를 지니는 것 같다. 고대 조각에는 한국 특유의 인간미가 있으며 꾸밈없는 밝은 얼굴 표정은 한국인의 민족성을 그대로 표상하고 있다.
한국 미술하면 빠질 수 없는 것이 동양화이다. 알고 있는 옛 화가들만 해도 김홍도의 풍속화, 정선의 산수화, 신윤복의 풍속화 등이 있다. 내가 느끼는 이들의 작품은 대체로 단아함과 기교적이지 않은 순수함인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더 친근감 있게 다가 갈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 싶다.」
추천자료
한국사의 시대구분의 문제
고유가 시대와 한국경제가 이만불 시대로 가는길
한국고전문학사의 시대구분
[포스트모더니즘][과학기술][포스트모더니즘 한국적 현실 접합]포스트모더니즘 정의, 포스트...
한국민족의형성과문화 시대구분부터 고구려대외항쟁까지
[일제시기, 식민지시대]일제시기(식민지시대, 일제강점기, 일제시대)의 법제정비, 일제시기(...
(농학과 생물과학1B형) “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브루스터 닌 저/ 안진환 역, 출판...
화장(化粧/Make Up)의 기원, 서양 화장, 한국 화장(상고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한국의 농업발달-신석기시대 농경의 시작,청동기시대 본격적인 농경생활,철기 삼국시대 생산...
박정희 시대 한국의 외교 및 국방전략 평가 {박정희 시대 한국의 안보 환경 , 박정희 정권의 ...
(한국복식문화 공통) 상대시대와 통일신라, 조선시대에 쓰인 남자의 두식과 관모에 대하여 ...
[한국복식문화 공통자료]상대시대와 통일신라, 조선시대에 쓰인 남자의 두식과 관모에 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