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B에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DMB의 개념

2. DMB의 기술적 특징

3. 서비스 특징

4. 단계별 확산과정

5. 확산과정의 특징 및 문제

본문내용

라 지상파 DMB를 수용하는 비율이 더욱 높아짐을 알 수 있습니다.
5. 확산과정의 특징 및 문제
DMB가 확산 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점은 운전 중 시청에 관한 것입니다. 현재 DMB의 시청 장소 중에서 자동차 안이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주행 중 시청 금지 법안이 마련 중에 있습니다. DMB 단속 법안은 시청을 금지하는 것이지 장착을 금지하는 법안이 아니기 때문에 운전자가 안 봤다고 우기거가 재빨리 꺼버리면 현실적으로 단속이 불가능합니다. 결국 법을 안 지켜도 된다는 인식이 생길 우려가 있습니다.
주행 중 DMB사용이 위험하긴 위험합니다. 하지만 휴대폰은 상용화되고 나서 15년만인 2001년에서야 규제조항이 만들어졌습니다. DMB사용의 위험성에 대한 국민홍보를 먼저 해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IT강국으로 DMB와 관련된 사항 역시 다른 나라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앞서 나가는 것도 좋지만 우리나라가 너무 용감하게 입법을 해버리면 해외에서 잘못 벤치마킹할 수 있으니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해외에서의 규제 사례들을 보면 규제 도입단계에서 규제의 타당성이나 실효성, 사생활 침해 우려 등에 부딪혀서 잘 안 이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DMB 시청을 규제하려면 이게 얼마나 위험한지, 이것만 규제하고 다른 건 안하면 형평성에 문제는 없는지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람들은 차량에 DMB 단말기를 장착해놓았지만 운전 중 실제로 DMB를 보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합니다. 귀만 열어놓을 뿐 위험할 정도로 시청하지는 않는 다고 합니다.
이론적으로는 운전 중 DMB를 보는 게 당연히 위험하겠지만 사람들의 실제 행동패턴이 어떠한가는 연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막연한 규제는 DMB 확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올 연말에는 중국 업체들이 저가 DMB단말기를 갖고 들어와 한국시장을 초토화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응전략을 만들지 않으면 대기업들 빼고는 중소기업들은 다 죽을 것입니다. 우선 DMB시청과 교통사고 발생율간의 실질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실효성 있는 법안을 만들어 DMB확산에 영향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참고 문헌>
1. etri 네트워크 경제연구팀 발표 자료
2. 아이뉴스24
3. 네트워크 전문 사이트 (주)아파트랜 www.APTLAN.com
4. 디지털 타임즈
5. www.itfind.co.kr
6. 한겨레 2005-01-28
7. 한국온라인신문협회(http://www.kona.or.kr)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3.12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48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