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치를 계산하는 것이다. 완전한 정보가 있을 경우의 기대가치와 없을 경우의 기대가치의 차이가 완전한 정보의 가치라고 할 수 있다.
완전하지 못한 정보를 도출하는 실험 또는 연구의 기대가치는 완전한 정보에 미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완전한 정보의 가치를 초과하는 비용의 실험 또는 연구는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그러나 불완전한 연구라도 완전한 정보의 가치 이내의 비용에서 수행할 경우에는 유익하다.
나) 불완전한 정보
실험 또는 연구의 결과는 보통 실제 사건의 결과와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으며 단지 실제 사건의 발생을 불완전하게 예측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의사결정과 관련된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완전히 없애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모델 분석, 여론조사, 전문가의 자문, 과거 자료의 분석, 문헌분석, 예비조사 등의 작업들이 여기에 속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의사결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어떤 사건의 불확실성을 줄이는 데 있으며, 이때 중요한 것은 연구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사건들의 발생확률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른 대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임의변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구를 수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추가비용에 대하여 줄어드는 불확실성을 비교함으로써 그 연구의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연구에 소요되는 비용이 불확실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증가하는 기대가치 보다 작다면 그 연구는 수행할 가치가 있다.
이와 같이 어떤 연구가 불확실한 변수를 완전하게 파악할 수는 없을지라도 가능한 실제 상태의 확률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면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 이때 감소하는 불확실성은 Bayes' Theorem을 통하여 측정할 수 있다. 즉, 의사결정나무의 경우마디 사건의 발생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주어진(견적된) 확률(Probability estimated)을 토대로 의사결정에 필요한 확률(Probability needed)을 산정할 수 있다. 그림 7은 Bayes' Theorem을 토대로 주어진 확률에서 필요한 확률을 구하는 공식을 경우나무(Chance tree)에 나타낸 것이다.
3) 효용성
의사결정나무의 경우마디에서 대안 선택의 기준이 되는 기대가치는 보통 금전가치(Monetary value)로 측정되며, 이것을 기대금전가치(Expected Monetary Value: EMV)라고 한다. 이때 의사결정자는 당연히 큰 EMV를 선호하게 된다. 그러나 금전가치는 항상 의사결정자에게 정확한 가치측정의 기준이 된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어떤 특정 금전가치를 항상 그 두배의 금전가치의 반으로 인정하는 의사결정자는 거의 없다. 즉, 특정 금전가치에 대한 상대적인 가치는 직선적으로 비례하지 않으며 의사결정자에 따라 차이가 있다.
따라서 기대가치가 가장 높은 대안을 선택할 경우 의사결정자나 그 집단의 정확한 가치체계가 반영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실제의 가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효용성(Utility)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러한 효용성을 고려하면 대안 선택의 기준이 되는 기대가치는 효용가치로 측정될 수 있는데, 이것을 기대효용가치(Expected Utility Value: EUV)라고 한다. 여기서 EUV는 0에서 100까지 범위를 갖는다. 그림 8의 도표는 의사결정자의 성격에 따라 리스크를 좋아하는 경우(Risk preferable: Gambler)와 싫어하는 경우(Risk averse) 및 리스크와 무관한 경우(Risk indifferent)의 효용가치와 금전가치를 나타내고 있다.
6. 결 언
일반적으로 건설 프로젝트는 그 특성상 불확실성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불확실성은 리스크를 수반하게 된다. 프로젝트는 기회를 활용하여 수익을 달성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지만 리스크의 발생으로 인하여 손실을 초래할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리스크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리스크 관리는 프로젝트 관리의 중요한 분야로서 여러 관리요소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프로젝트의 비용, 시간, 품질, 안전 등과 같은 목표 달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리스크 관리는 크게 리스크 규명(Risk Identification)과 리스크 완화(Risk Mitigation)의 과정을 통하여 수행된다. 리스크 규명은 리스크의 근원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리스크의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다. 리스크 완화는 계약적 장치를 통하여 관련주체에게 리스크를 할당하거나 분담하는 활동으로 리스크 사정(Risk Assessment)과 대응(Response) 절차로 이루어진다. 특히,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는 유사한 리스크의 반복적 발생을 방지하고 잠재적 근원을 제거할 수 있도록 사후조치(Reactive) 보다는 사전대비(Proactive)의 관점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존의 리스크 사례에 대한 자료축적(Documentation)이 선행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설명한 원칙적인 내용들은 프로젝트의 규모와 관계없이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에 적용할 수 있지만 프로젝트 관리자는 주어진 프로젝트의 특성과 제약조건 및 환경여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리스크 관리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위에서 소개한 의사결정 분석은 리스크 관리 과정에서 대안평가 및 선택에 활용할 수 있으나 발생 가능한 사건에 대한 확률 할당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별도로 강구해야 할 것이다.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에서 확률 및 통계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리스크 규모 산정, 기대가치 계산 등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리스크 관리의 컴퓨터 적용분야는 리스크 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검색, 의사결정 분석, “What-if" 분석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효과적인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는 실제 경험에 의거한 관리자의 판단에 의존하므로 최근에는 이러한 영역을 담당하기 위한 인공지능, 전문가 시스템 및 인간-컴퓨터 협동시스템 등이 개발되고 있다. 리스크 관리를 위한 새로운 시스템들의 의도는 유사한 리스크의 재발을 방지하여 더 낳은 해결책을 제시하고 프로젝트 관리자의 리스크 관리 능력을 증진시킴으로써 프로젝트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완전하지 못한 정보를 도출하는 실험 또는 연구의 기대가치는 완전한 정보에 미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완전한 정보의 가치를 초과하는 비용의 실험 또는 연구는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그러나 불완전한 연구라도 완전한 정보의 가치 이내의 비용에서 수행할 경우에는 유익하다.
나) 불완전한 정보
실험 또는 연구의 결과는 보통 실제 사건의 결과와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으며 단지 실제 사건의 발생을 불완전하게 예측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의사결정과 관련된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완전히 없애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모델 분석, 여론조사, 전문가의 자문, 과거 자료의 분석, 문헌분석, 예비조사 등의 작업들이 여기에 속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의사결정에 의하여 발생하는 어떤 사건의 불확실성을 줄이는 데 있으며, 이때 중요한 것은 연구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사건들의 발생확률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른 대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임의변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구를 수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추가비용에 대하여 줄어드는 불확실성을 비교함으로써 그 연구의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연구에 소요되는 비용이 불확실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증가하는 기대가치 보다 작다면 그 연구는 수행할 가치가 있다.
이와 같이 어떤 연구가 불확실한 변수를 완전하게 파악할 수는 없을지라도 가능한 실제 상태의 확률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면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 이때 감소하는 불확실성은 Bayes' Theorem을 통하여 측정할 수 있다. 즉, 의사결정나무의 경우마디 사건의 발생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주어진(견적된) 확률(Probability estimated)을 토대로 의사결정에 필요한 확률(Probability needed)을 산정할 수 있다. 그림 7은 Bayes' Theorem을 토대로 주어진 확률에서 필요한 확률을 구하는 공식을 경우나무(Chance tree)에 나타낸 것이다.
3) 효용성
의사결정나무의 경우마디에서 대안 선택의 기준이 되는 기대가치는 보통 금전가치(Monetary value)로 측정되며, 이것을 기대금전가치(Expected Monetary Value: EMV)라고 한다. 이때 의사결정자는 당연히 큰 EMV를 선호하게 된다. 그러나 금전가치는 항상 의사결정자에게 정확한 가치측정의 기준이 된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어떤 특정 금전가치를 항상 그 두배의 금전가치의 반으로 인정하는 의사결정자는 거의 없다. 즉, 특정 금전가치에 대한 상대적인 가치는 직선적으로 비례하지 않으며 의사결정자에 따라 차이가 있다.
따라서 기대가치가 가장 높은 대안을 선택할 경우 의사결정자나 그 집단의 정확한 가치체계가 반영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실제의 가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효용성(Utility)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러한 효용성을 고려하면 대안 선택의 기준이 되는 기대가치는 효용가치로 측정될 수 있는데, 이것을 기대효용가치(Expected Utility Value: EUV)라고 한다. 여기서 EUV는 0에서 100까지 범위를 갖는다. 그림 8의 도표는 의사결정자의 성격에 따라 리스크를 좋아하는 경우(Risk preferable: Gambler)와 싫어하는 경우(Risk averse) 및 리스크와 무관한 경우(Risk indifferent)의 효용가치와 금전가치를 나타내고 있다.
6. 결 언
일반적으로 건설 프로젝트는 그 특성상 불확실성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불확실성은 리스크를 수반하게 된다. 프로젝트는 기회를 활용하여 수익을 달성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지만 리스크의 발생으로 인하여 손실을 초래할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리스크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리스크 관리는 프로젝트 관리의 중요한 분야로서 여러 관리요소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프로젝트의 비용, 시간, 품질, 안전 등과 같은 목표 달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리스크 관리는 크게 리스크 규명(Risk Identification)과 리스크 완화(Risk Mitigation)의 과정을 통하여 수행된다. 리스크 규명은 리스크의 근원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리스크의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다. 리스크 완화는 계약적 장치를 통하여 관련주체에게 리스크를 할당하거나 분담하는 활동으로 리스크 사정(Risk Assessment)과 대응(Response) 절차로 이루어진다. 특히,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는 유사한 리스크의 반복적 발생을 방지하고 잠재적 근원을 제거할 수 있도록 사후조치(Reactive) 보다는 사전대비(Proactive)의 관점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존의 리스크 사례에 대한 자료축적(Documentation)이 선행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설명한 원칙적인 내용들은 프로젝트의 규모와 관계없이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에 적용할 수 있지만 프로젝트 관리자는 주어진 프로젝트의 특성과 제약조건 및 환경여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리스크 관리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위에서 소개한 의사결정 분석은 리스크 관리 과정에서 대안평가 및 선택에 활용할 수 있으나 발생 가능한 사건에 대한 확률 할당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별도로 강구해야 할 것이다.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에서 확률 및 통계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리스크 규모 산정, 기대가치 계산 등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리스크 관리의 컴퓨터 적용분야는 리스크 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검색, 의사결정 분석, “What-if" 분석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효과적인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는 실제 경험에 의거한 관리자의 판단에 의존하므로 최근에는 이러한 영역을 담당하기 위한 인공지능, 전문가 시스템 및 인간-컴퓨터 협동시스템 등이 개발되고 있다. 리스크 관리를 위한 새로운 시스템들의 의도는 유사한 리스크의 재발을 방지하여 더 낳은 해결책을 제시하고 프로젝트 관리자의 리스크 관리 능력을 증진시킴으로써 프로젝트의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추천자료
U-Korea 신(新)성장 엔진 IT-839 프로젝트
경영정보론_크리티컬 체인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보상(compensation) 인사관리팀프로젝트]보상(compensation)에 대한 sk기업의 이론과 적용
[건축공학][공정관리 설계 프로젝트]U-프런티어, PMS 기법
한반도 운하 프로젝트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와 발전방안 모색
이명박의 한반도 대운하 프로젝트
[개발사례]파주시개발프로젝트 ppt (발전계획)
수변공간 비교 연구 - 유럽의 사례와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
수변공간 비교 연구 - 유럽의 사례와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 [4대강유역사업]
[재료역학 프로젝트] 사장교의 설계
[해외시장진출론] 인디아 대륙 프로젝트 -한미파슨스-
거대과학과 맨하튼 프로젝트,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과 후쿠시마 원전사고, 기후변화와 지구온...
100% 암반수 스파클 리네이밍프로젝트 (Sparkle Renaming Project) - 스파클 리네이밍,리네이...
서울시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고찰_서울시 옥외간판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