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Purpose
2. Approach
- convolutional code 의 이론적 이해
- convolution code의 성능 한계
- 부호화 알고리즘
- 복호화 알고리즘
3. Result with Discussion ( including plots )
4.summary
2. Approach
- convolutional code 의 이론적 이해
- convolution code의 성능 한계
- 부호화 알고리즘
- 복호화 알고리즘
3. Result with Discussion ( including plots )
4.summary
본문내용
ystem 보다 열등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3.7dB 이상에서는 viterbi decoder가 오류정정 능력을 발휘하면서 system의 성능 향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본 시뮬레이션에서는 soft decision의 경우만 보았지만, hard decision을 했을 때와의 성능을 직관적으로 비교해 본다면, soft decision의 성능이 더 낫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hard decision의 경우 복호기를 통과하기 전에 1or -1 이 결정되어 버려서 0에 가까운 양의값을 무조건 1로 0에 가까운 음의값을 무조건-1로 처리하게 되어서 복호기 통과이전에 이미 거리에 대한 오류확률을 어느 정도 안고 들어가게 된다. 하지만 soft decision은 수신된 신호를 그대로 복호기에 통과시킴으로써 (최소거리판정법으로 오류정정을 하는 viterbi decoder에서) 거리에 대한 오류확률이 hard decision보다 줄어들게 되어 더 나은 성능을 가져오게 되며, 일반적으로 soft decision이 hard decision 보다 약 2dB 만큼 좋은 성능을 갖고있다고 알려져 있다.
convolution code의 실제 이용 상황을 보면, convolution code는 위성통신에 많이 이용되는데, 위성 통신 채널에서 순방향 오류 정정 기술을 도입하면 특정 오류 성능을 위해 필요한 SNR을 5~6dBwjd도 쉽게 줄일 수 있고 이러한 부호화이득에 의해 필요한 위성 실효 복사 전력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위성의 무게와 경비도 줄일 수 있으므로 리드-솔로만 부호와 함께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본 시뮬레이션에서는 soft decision의 경우만 보았지만, hard decision을 했을 때와의 성능을 직관적으로 비교해 본다면, soft decision의 성능이 더 낫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hard decision의 경우 복호기를 통과하기 전에 1or -1 이 결정되어 버려서 0에 가까운 양의값을 무조건 1로 0에 가까운 음의값을 무조건-1로 처리하게 되어서 복호기 통과이전에 이미 거리에 대한 오류확률을 어느 정도 안고 들어가게 된다. 하지만 soft decision은 수신된 신호를 그대로 복호기에 통과시킴으로써 (최소거리판정법으로 오류정정을 하는 viterbi decoder에서) 거리에 대한 오류확률이 hard decision보다 줄어들게 되어 더 나은 성능을 가져오게 되며, 일반적으로 soft decision이 hard decision 보다 약 2dB 만큼 좋은 성능을 갖고있다고 알려져 있다.
convolution code의 실제 이용 상황을 보면, convolution code는 위성통신에 많이 이용되는데, 위성 통신 채널에서 순방향 오류 정정 기술을 도입하면 특정 오류 성능을 위해 필요한 SNR을 5~6dBwjd도 쉽게 줄일 수 있고 이러한 부호화이득에 의해 필요한 위성 실효 복사 전력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위성의 무게와 경비도 줄일 수 있으므로 리드-솔로만 부호와 함께 많이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