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커플링 캐패시터 실험
2) 바이패스 캐패시터 실험
3)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 실험
4) 궤환 시스템에서의 일정한 GB 실험
2) 바이패스 캐패시터 실험
3)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 실험
4) 궤환 시스템에서의 일정한 GB 실험
본문내용
<등가회로>
전달함수 , pole 과 zero는 각각 , 이므로 , 이다. 따라서 전달함수 가 된다.
2. 바이패스 캐패시터의 역할에 대하여 토의하시오.
- 높은 이득을 갖는 증폭기는 출력 특성 곡선에서 부하곡선의 기울기가 높아져 동작점 상태가 작은 공정의 변화 또는 온도의 변화에 매우 민감한 영향을 받게 된다. 동작점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하곡선의 기울기를 낮추어야 하지만 반대로 이득은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AC에서는 높은 이득을 유지하면서 DC에서는 낮은 이득을 갖도록 하여 동작점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바이패스 캐패시터를 사용한다.
3)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 실험
4) 궤환 시스템에서의 일정한 GB 실험
1. 표 6-3의 결과를 이용하여 주파수 응답 그래프를 그리시오.
2. 궤환에 따라 closed loop의 GB를 구하고 이에 대하여 논의하시오.
- 이로부터 closed loop 주파수 응답은
closed loop 의 대역폭 closed loop의 DC이득은 ,
이다.
따라서 closed loop의 GBc는 GBo와 같음을 알 수 있다.
전달함수 , pole 과 zero는 각각 , 이므로 , 이다. 따라서 전달함수 가 된다.
2. 바이패스 캐패시터의 역할에 대하여 토의하시오.
- 높은 이득을 갖는 증폭기는 출력 특성 곡선에서 부하곡선의 기울기가 높아져 동작점 상태가 작은 공정의 변화 또는 온도의 변화에 매우 민감한 영향을 받게 된다. 동작점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하곡선의 기울기를 낮추어야 하지만 반대로 이득은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AC에서는 높은 이득을 유지하면서 DC에서는 낮은 이득을 갖도록 하여 동작점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바이패스 캐패시터를 사용한다.
3)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 실험
4) 궤환 시스템에서의 일정한 GB 실험
1. 표 6-3의 결과를 이용하여 주파수 응답 그래프를 그리시오.
2. 궤환에 따라 closed loop의 GB를 구하고 이에 대하여 논의하시오.
- 이로부터 closed loop 주파수 응답은
closed loop 의 대역폭 closed loop의 DC이득은 ,
이다.
따라서 closed loop의 GBc는 GBo와 같음을 알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