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건축가 'Mario Botta' (1943~ ), 스위스
▣ 'Mario Botta'의 건축 세계
▣ 'Mario Botta' 건축의 특성
▣ Stabio House - Mario Botta 1980-1982
※ 분석
▣ Stabio House의 도면
• 단면도
• Axonometric 그림
• 지하층 평면도
• 1층 평면도
• 2층 평면도
• 3층 평면도
• 옥상층 평면도
• 입면도
▣ 참고문헌
▣ 'Mario Botta'의 건축 세계
▣ 'Mario Botta' 건축의 특성
▣ Stabio House - Mario Botta 1980-1982
※ 분석
▣ Stabio House의 도면
• 단면도
• Axonometric 그림
• 지하층 평면도
• 1층 평면도
• 2층 평면도
• 3층 평면도
• 옥상층 평면도
• 입면도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로는 그가 활동한 티치노 지방의 지역적 정서가 반영되고 대지 주변의 맥락을 고려한 장소성의 추구를 들 수 있다.
다음으로는 기본 입체(Platonic Solids)를 사용한 단순한 형태 처리를 들 수 있다. 입방체나 원기둥을 부가된 형태 없이 주택 전체의 형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허부와 실부를 강하게 대비시켜 처리한 것도 큰 특징이다. 개구부는 정면 중앙에 크게 중층으로 처리된 로지아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 곳 이외에는 거의 개구부를 두지 않고 강하게 대조시켜 인상적인 볼륨을 구성한다.
빛의 처리도 로지아와 관련을 맺는다. 로지아에는 대체로 내부 중층 공간이 면해 있으며, 이 두 공간에 걸쳐 천창을 두고 내부 공간 전체의 조명을 집중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특징들을 규정짓는 여러 요소들 가운데에서도 로지아는 특히 주목되는 대상이다. 강한 정면성의 중심에 자리 잡아 장소의 특성을 나타내는 요소로서, 형태와 공간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그리고 내부 공간의 빛을 처리하는데 있어서도 로지아는 보타의 주택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Stabio House - Mario Botta 1980-1982
Casa rotonda
Single family house at Stabio, Ticino, Switzerland 1980-1982
설계 : 1980년
실현 : 1981~1982
장소 : Stabio. Ticinom Svizzera
시공주 : Liliana Medici, Ovidio Medici
부지 : 약 700 m2
면적 : 약 295 m2
용적 : 1400 m3
크기 : 지름 12.40 m. 높이 8.70 m
건축 규모 : 지상 3층 및 지하 1층
1층 : 기계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 놀이터
2층 : 거실, 식당
3층 : 어린이 방, 주 침실
주요구조 : BKS 타입, 콘크리트, 블록 이중벽 (외벽 : 마무리 없음, 내벽 : 흰색도장)
천정 : 콘크리트 제물치기
지붕 : 단열 및 방수평지봉
창틀 : 스틸, 새시, 흑색
기타 : 거실의 원주는 청색으로 착색. 계단실이 지붕과 닿는 부분에서 벽돌 쌓는 방법이 변화. 외벽 위쪽에서 45°겹치지 않도록 쌓은 벽돌이 관 모양으로 돈다.
이 주택은 팔라디오에서 멜르니코프에 이르는 로툰다 유형학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원형주거는 모든 시대에 걸쳐서 건축가라면 한번쯤 시도하고 또 완성하고 싶은 형식이다. 주택의 원형평면은 새로운 가능성과 동시에 엄청난 표현형식 그리고 기능적인 잠재성을 이끌어 내고 있다.
입면의 부재는 또 다른 진정한 얼굴을 드러내고, 건축과 그 주변 환경과의 직설절인 대응을 만들어낸다. 건축의 뿌리는 바로 그 자체가 태양아래에서 빛나고, 그 안에 내재한 공간의 열림에도 불구하고 주변 땅과 연결되는 포티코와 일치되고 있다. 출입구 앞에 있는 사각형의 평탄한 표피는 볼륨의 딱딱함을 이완시키고, 전혀 예기치 못한 공간의 분할과 형태를 정의내리는 다양한 각도들을 창조하고 있다.
남쪽 중앙부에는 계단실이 위치하여 바깥과 바로 접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전체가 이 곳을 중심으로 분리되고 있다. 중앙축의 top light 집의 볼륨을 가로지르는 slit은 2층의 거실에 자연광을 보내는 동시에 주택의 정면 디자인에 있어 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부분적으로 개구된 1층은 기계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과 놀이터이며, 2층에는 거실과 식당이 있다. 이곳은 완벽한 자유를 지각하는 공간이며, 유리창을 통해 바라다 보이는 전망이나 top light를 통해 볼 수 있는 하늘도 전체주택을 구성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3층에는 어린이 방과 주침실이 있다.
※ 분석
이 주택은 원형의 평면을 취하고 있다. 로지아 로지아 : 이탈리아 건축에서, 한쪽 벽이 없이 트인 방이나 홀을 이르는 말. 지중해 연안 지역에서 발달하였으며,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는 흔히 광장과 연결하여 지었다.
에 있어서도 다소의 변화를 추구 하고 있다. 이 주택에서는 진입부가 반대쪽에 있으면서 통층 공간이 형성되지 않았다. 대지가 평지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굳이 진입을 배면으로 할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 방식을 채택한 것은 바로 로지아 구성의 변화를 위한 것으로 보인다. 2층 로지아의 하부는 서비스 공간이 자리하고 양옆을 조금씩 삭제시키고 있으며 이는 2층 거실과 식당이 공용하는 중앙의 옥외 테라스로 통층되어 있다. 그리고 이 테라스는 크게 볼 때 다른 주택과는 달리 단층으로 처리되었으나 중앙 상부에 아주 작은 규모로 3층과 통층 되어 있다.
이 결과 전면은 역 U자형 공간이 삭제되고 다시 그 정점에서 slit형의 개구부가 이어져 삭제된 구성을 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강조로 인한 로지아의 공간적 역할의 감소는 내부 공간에서 보안되고 있다.
내부에서는 로지아에 면해 2층 거실과 식당 사이의 공간을 위로 통층하여 3층 침실군의 사이로 연장시키고 있다. 전면에서 볼 때 로지아의 폭이 넓은 반면, 이 내부 통층 공간은 폭이 좁고 깊어서 평면상으로는 T형을 취하고 있다. 그리고 이 곳 상부에는 로지아의 전면에서 시작된 청창이 가로지르고 있다.
이와 같은 소규모의 로지아와 오히려 그 크기가 역전된 내부 통층 공간간의 관계 설정은 바로 빛의 처리와 관계가 있다. 이 주택은 로지아가 형태 구성의 강력한 요소로서 작용하면서 부족해진 채광의 역할을 천창을 통해 보완하고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로지아는 그 자신의 공간성격이 매우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 Stabio House의 도면
단면도
Axonometric 그림
지하층 평면도
1층 평면도
2층 평면도
3층 평면도
옥상층 평면도
입면도
▣ 참고문헌
http://www.botta.ch
http://blog.naver.com/arkim2000
Dal Co, Francesco, 김홍기 역. Mario Botta, 기문당.
세계건축가-Mario Botta, 이호진외 역, 건우사.
Mario Botta 주택의 중층 공간 분석, 이종국, 공주대학교 1998
다음으로는 기본 입체(Platonic Solids)를 사용한 단순한 형태 처리를 들 수 있다. 입방체나 원기둥을 부가된 형태 없이 주택 전체의 형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허부와 실부를 강하게 대비시켜 처리한 것도 큰 특징이다. 개구부는 정면 중앙에 크게 중층으로 처리된 로지아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 곳 이외에는 거의 개구부를 두지 않고 강하게 대조시켜 인상적인 볼륨을 구성한다.
빛의 처리도 로지아와 관련을 맺는다. 로지아에는 대체로 내부 중층 공간이 면해 있으며, 이 두 공간에 걸쳐 천창을 두고 내부 공간 전체의 조명을 집중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특징들을 규정짓는 여러 요소들 가운데에서도 로지아는 특히 주목되는 대상이다. 강한 정면성의 중심에 자리 잡아 장소의 특성을 나타내는 요소로서, 형태와 공간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그리고 내부 공간의 빛을 처리하는데 있어서도 로지아는 보타의 주택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Stabio House - Mario Botta 1980-1982
Casa rotonda
Single family house at Stabio, Ticino, Switzerland 1980-1982
설계 : 1980년
실현 : 1981~1982
장소 : Stabio. Ticinom Svizzera
시공주 : Liliana Medici, Ovidio Medici
부지 : 약 700 m2
면적 : 약 295 m2
용적 : 1400 m3
크기 : 지름 12.40 m. 높이 8.70 m
건축 규모 : 지상 3층 및 지하 1층
1층 : 기계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 놀이터
2층 : 거실, 식당
3층 : 어린이 방, 주 침실
주요구조 : BKS 타입, 콘크리트, 블록 이중벽 (외벽 : 마무리 없음, 내벽 : 흰색도장)
천정 : 콘크리트 제물치기
지붕 : 단열 및 방수평지봉
창틀 : 스틸, 새시, 흑색
기타 : 거실의 원주는 청색으로 착색. 계단실이 지붕과 닿는 부분에서 벽돌 쌓는 방법이 변화. 외벽 위쪽에서 45°겹치지 않도록 쌓은 벽돌이 관 모양으로 돈다.
이 주택은 팔라디오에서 멜르니코프에 이르는 로툰다 유형학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원형주거는 모든 시대에 걸쳐서 건축가라면 한번쯤 시도하고 또 완성하고 싶은 형식이다. 주택의 원형평면은 새로운 가능성과 동시에 엄청난 표현형식 그리고 기능적인 잠재성을 이끌어 내고 있다.
입면의 부재는 또 다른 진정한 얼굴을 드러내고, 건축과 그 주변 환경과의 직설절인 대응을 만들어낸다. 건축의 뿌리는 바로 그 자체가 태양아래에서 빛나고, 그 안에 내재한 공간의 열림에도 불구하고 주변 땅과 연결되는 포티코와 일치되고 있다. 출입구 앞에 있는 사각형의 평탄한 표피는 볼륨의 딱딱함을 이완시키고, 전혀 예기치 못한 공간의 분할과 형태를 정의내리는 다양한 각도들을 창조하고 있다.
남쪽 중앙부에는 계단실이 위치하여 바깥과 바로 접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전체가 이 곳을 중심으로 분리되고 있다. 중앙축의 top light 집의 볼륨을 가로지르는 slit은 2층의 거실에 자연광을 보내는 동시에 주택의 정면 디자인에 있어 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부분적으로 개구된 1층은 기계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과 놀이터이며, 2층에는 거실과 식당이 있다. 이곳은 완벽한 자유를 지각하는 공간이며, 유리창을 통해 바라다 보이는 전망이나 top light를 통해 볼 수 있는 하늘도 전체주택을 구성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3층에는 어린이 방과 주침실이 있다.
※ 분석
이 주택은 원형의 평면을 취하고 있다. 로지아 로지아 : 이탈리아 건축에서, 한쪽 벽이 없이 트인 방이나 홀을 이르는 말. 지중해 연안 지역에서 발달하였으며,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는 흔히 광장과 연결하여 지었다.
에 있어서도 다소의 변화를 추구 하고 있다. 이 주택에서는 진입부가 반대쪽에 있으면서 통층 공간이 형성되지 않았다. 대지가 평지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굳이 진입을 배면으로 할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 방식을 채택한 것은 바로 로지아 구성의 변화를 위한 것으로 보인다. 2층 로지아의 하부는 서비스 공간이 자리하고 양옆을 조금씩 삭제시키고 있으며 이는 2층 거실과 식당이 공용하는 중앙의 옥외 테라스로 통층되어 있다. 그리고 이 테라스는 크게 볼 때 다른 주택과는 달리 단층으로 처리되었으나 중앙 상부에 아주 작은 규모로 3층과 통층 되어 있다.
이 결과 전면은 역 U자형 공간이 삭제되고 다시 그 정점에서 slit형의 개구부가 이어져 삭제된 구성을 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강조로 인한 로지아의 공간적 역할의 감소는 내부 공간에서 보안되고 있다.
내부에서는 로지아에 면해 2층 거실과 식당 사이의 공간을 위로 통층하여 3층 침실군의 사이로 연장시키고 있다. 전면에서 볼 때 로지아의 폭이 넓은 반면, 이 내부 통층 공간은 폭이 좁고 깊어서 평면상으로는 T형을 취하고 있다. 그리고 이 곳 상부에는 로지아의 전면에서 시작된 청창이 가로지르고 있다.
이와 같은 소규모의 로지아와 오히려 그 크기가 역전된 내부 통층 공간간의 관계 설정은 바로 빛의 처리와 관계가 있다. 이 주택은 로지아가 형태 구성의 강력한 요소로서 작용하면서 부족해진 채광의 역할을 천창을 통해 보완하고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로지아는 그 자신의 공간성격이 매우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 Stabio House의 도면
단면도
Axonometric 그림
지하층 평면도
1층 평면도
2층 평면도
3층 평면도
옥상층 평면도
입면도
▣ 참고문헌
http://www.botta.ch
http://blog.naver.com/arkim2000
Dal Co, Francesco, 김홍기 역. Mario Botta, 기문당.
세계건축가-Mario Botta, 이호진외 역, 건우사.
Mario Botta 주택의 중층 공간 분석, 이종국, 공주대학교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