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피메테우스(뒤늦게 생각하는 자)를 찾아갔다. 제우스의 선물을 조심하라는 형 프로메테우스의 경고를 듣긴 했지만, 너무나 아름다운 판도라의 모습에 반한 에피메테우스는 그만 판도라를 아내로 맞이하게 되었다.
판도라는 하늘에서 내려올 때, 신들로부터 상자 하나를 선물로 받았다. 그 상자에는 인류의 모든 재앙이 들어 있었는데 유일한 선은 '희망' 뿐이었다. 절대 그 상자를 열어봐서는 안 된다는 경고를 듣긴 했지만, 호기심에 못이긴 판도라는 그 상자를 열어보았고 그 안에서 온갖 불행과 재앙이 퍼져 나와 인간세상으로 퍼져나갔다. 깜짝 놀라 뚜껑을 얼른 닫았지만 이미 그 안에는 다른 것들은 모두 빠져나가고 희망만이 남게 되었다. 그때부터 인간은 온갖 불행과 어려움 속에 절망하지만 그래도 희망을 간직하고 살게 되었다고 한다.
신화 속의 '판도라의 상자'는 신의 분노를 전달하는 매개물이다. 그리고 신이 분노한 원인은 바로 프로메테우스가 '불'을 훔치고, 또 인간이 그것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신화가 이처럼 인간이 불을 사용한 대가를 '판도라의 상자'와 같은 '재앙'으로 설정한 것은 기술문명을 발달시키는 것이 결과적으로 인간에게 해악을 가져다 줄 수 있음을 상징한다.
판도라는 하늘에서 내려올 때, 신들로부터 상자 하나를 선물로 받았다. 그 상자에는 인류의 모든 재앙이 들어 있었는데 유일한 선은 '희망' 뿐이었다. 절대 그 상자를 열어봐서는 안 된다는 경고를 듣긴 했지만, 호기심에 못이긴 판도라는 그 상자를 열어보았고 그 안에서 온갖 불행과 재앙이 퍼져 나와 인간세상으로 퍼져나갔다. 깜짝 놀라 뚜껑을 얼른 닫았지만 이미 그 안에는 다른 것들은 모두 빠져나가고 희망만이 남게 되었다. 그때부터 인간은 온갖 불행과 어려움 속에 절망하지만 그래도 희망을 간직하고 살게 되었다고 한다.
신화 속의 '판도라의 상자'는 신의 분노를 전달하는 매개물이다. 그리고 신이 분노한 원인은 바로 프로메테우스가 '불'을 훔치고, 또 인간이 그것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신화가 이처럼 인간이 불을 사용한 대가를 '판도라의 상자'와 같은 '재앙'으로 설정한 것은 기술문명을 발달시키는 것이 결과적으로 인간에게 해악을 가져다 줄 수 있음을 상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