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목차
★1주차 강의내용★
★2주차 강의내용★
★3주차 강의내용★
★4주차 강의내용★
★5주차 강의내용★
★6주차 강의내용★
.......★14주차 강의내용★
★2주차 강의내용★
★3주차 강의내용★
★4주차 강의내용★
★5주차 강의내용★
★6주차 강의내용★
.......★14주차 강의내용★
본문내용
상대의 주관절을 자신의 겨드랑이쪽으로 끌어 당긴다.
<- 외전시킨 경우
3주차 동영상 내용.
호신동작에 제일 중요한것이 신속한 판단에 의한 신체접촉을 해 피하는 것이다.
호신술에서 제일 많이 하는 기술 -> 빼는 기술
빼는기술 : 손목을 잡았을 경우(왼손을 왼손이 밖에서 잡는 경우)-오른쪽다리를 빼서 손목을
틀어서..45도로 틀어서 뺀다.
손이 엇갈렷을 경우 - 다리가 뒤로 빠지면서 손을 그대로 틀어주면 된다.
양손으로 잡았을 경우 - 왼발이나 오른발..편한 발을 빠지면서 그대로 손목을 틀어서 순식간에 내리면
바로 관절을 틀어주게 되면 간단하게 빠진다.
양손으로 잡았을 경우 - 뒤로 빠지기가 힘들때 앞으로 편한 발을 나가면서 양손을
자기 몸쪽으로 땡겼다가 쭉 밀면 빠지게 된다.
오른손이 상대방 오른손에 의해 안쪽에서 잡힌 경우 - 사람의 관절은 외회전이 안되고 늘어나지도 않는다.
그래서 잡은 순간 뒤로 살짝 돌면서 팔을 하늘 쪽으로 쭉 빼면 금방 뿌리쳐진다.
왼쪽손목을 오른손에 잡힌 경우 - 바깥쪽으로 돌면서(뒤로 돌면서)손을 확 뿌리치면된다.
3주차
@뿌리치기
그 특성이나 전형적인 환경 그리고 폭력적이고 위협적인 행동이 일어나는 다양한 형태의 역동성에 대한 자신의 주위경계를 증가시키는 것은 어떤 위협을 당하는 상황이 일어났을 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01. 폭행
1.폭행의 장소와 시간
폭력의 절반 이상이 밤에 일어나며, 대부분의 희생자의 집 근처에서 일어난다. 사실상, 아는 사람이나 인척에 의한 폭행은 대부분 집안이나 집과 매우 인접한 곳에서 일어난다. 낯선 사람에 의한 폭력은 대부분 거리에서 일어난다. 또한 누구나 예상하듯이 1988년 정부 보고서에 의하면, 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교외나 시골에 사는 사람들보다 폭력의 위험이 더 크다고 한다.
2.폭행의 피해자
보고된 폭력사건은 실제 발생하는 횟수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다고 추정된다. 가장 위험한 경우가 여자와 아이들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정 폭력이다. 180만에서 570만 쌍의 부부가 매년 폭력을 경험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핑겔러(1979)는 여아의 19%와 남아 9%가 아동 성 학대를 당한다고 밝히고 있다. 가정 폭력을 제외하면, 남성들은 이들보다 더 자주 폭행의 피해자가 되며, 젊은 남성들이 가장 높은 폭력 피해율을 가지고 있다, 나이가 많은 여성들이 가장 낮은 폭력 피해율을 가지고 있음을 지적
했다. 직업별로는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이 다른 직업인들보다 폭력으로 인한 상해율이 2배나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경찰이나 유흥업 종사자, 바텐더, 그리고 택시 기사들은 특히 위험율이 높은 직업이다.
3.폭행의 가해자
o 18세에서 34세 사이 남성
o 반 이상은 피해자가 조금이라도 아는 사이
o 폭력 직전에 술을 마신 상태의 사람
02. 성 폭 행
1.피 해 자
사회, 경제적 지위, 민족, 연령, 체격, 외모, 건강 상태에 관계 없이 모든 여성들은 성폭력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 일반적인 인식에도 불구하고, “자극적”이거나 “유혹적인” 복장이나 행동은 중요한 요인이 아니다. 성폭행 중 4% 미만이 피해자의 “촉진적인 행동[자극적인, 유혹적인 행동이나 복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혀 냈다. 사실 강간은 10%에서 30% 만이 보고되는 가장 보고되지 않는 폭력 범죄중의 하나로, 보고된 강간사건이 약 10%만이 체포되고, 그 중 2%만 유죄판결을 받는다. 이처럼 극도로 낮은 체포 및 유죄판결 비율은 피해자 자신이 고발을 꺼리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설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가 해 자
피해자와 마찬가지로 가해자 또한 다양한 사회 경제 및 인종적인 배경을 갖고 있으며, 나이와 체격도 다양하다. 많은 강간 범죄는 피해자가 가해자에 대하여 일종의 편안함과 믿음을 갖게 되는 일반적인 사교에서 이뤄진다. 대학이서 강간을 당한 여학생의 25% 중에서 90%가 자신이 알고있는 면식범에 의한 것이였고, 강간범죄의 1/3 에서 2/3 는 피해자의 잡 또는 사택에서 발생한다.또한, 강간 사건의 71%가 사전 모의된 것이다. 강간을 하는 유형을 3가지 - 힘의 강간, 분노의 강간, 가학적 변태성 으로 나눠진다. 이 중 95% 이상이 힘과 분노의 강간에 포함되어, 성폭력범들은 “감각적 쾌락이나 성적인 만족보다는 지위, 적대감, 통제력, 우월감”에 점점 더 열중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저 항
성공적인 저항은 일종의 주위 경계와 준비성에 기인한 것이기 때문에, “최고의” 방법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여성들이 강간당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계하고 의심하는 버릇을 길러야 하고, 두렵고 당황스럽다 고 해서 침착함을 잃어서는 안 된다. 그들은 그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당하지 않기 위한 강한 의지를 가져야 하며, 고통이나 부상을 감수하겠다는 결심을 하고서, 확고한 거부를 표현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위급한 상황으로 발전할 수 있는 상황(잠재적인 폭력상황)에서 알맞은(적절한) 상황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똑바른 정신과 뛰어난 관찰력과 지각력이 필요하다.
1.환 경
*현재 둘러 쌓인 환경을 파악하고, 아래 사항들을 인지하라*
주위에 있는 사람들의 수, 가까운 정도, 신원 방호벽으로 이용될 수 있는 큰 물체
보호 물이나 무기로 사용할 수 있는 물체
하루중의 시간대
술병이나 마약소지 같은 약물 복용의 증거
2.위협하는 사람
*가해자를 주의 깊게 관찰하라*
가해자의 신원, 자신과의 거리(근접도) 덩치, 힘, 신체적 조건
태도, 스탠스, 자세, 감정상태
걸음걸이, 몸짓, 복장
무기 소지 여부, 말하고 있는 주제와 방법
3.자신(여러분)
* 자신이 갖고 있는 능력을 정확히 인지한다*
체력, 신체기능, 감정상태
행동조치는 공격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과 경험으로써 주위 경계와 갑작 스런 위협 상황에서의 신속한 상황 판단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다.
1.즉각적 후퇴
*위험한 상황에 놓이기 전에 미리 그 상황을 피해 빨리 안전한 곳으로 장소를 옮기는 방법이다.*
예) 늦은 밤 집으로 돌아오고 있다고 가정하자. 상당히 인적이 드문 동네를 지나는데 누군가 자신을
<- 외전시킨 경우
3주차 동영상 내용.
호신동작에 제일 중요한것이 신속한 판단에 의한 신체접촉을 해 피하는 것이다.
호신술에서 제일 많이 하는 기술 -> 빼는 기술
빼는기술 : 손목을 잡았을 경우(왼손을 왼손이 밖에서 잡는 경우)-오른쪽다리를 빼서 손목을
틀어서..45도로 틀어서 뺀다.
손이 엇갈렷을 경우 - 다리가 뒤로 빠지면서 손을 그대로 틀어주면 된다.
양손으로 잡았을 경우 - 왼발이나 오른발..편한 발을 빠지면서 그대로 손목을 틀어서 순식간에 내리면
바로 관절을 틀어주게 되면 간단하게 빠진다.
양손으로 잡았을 경우 - 뒤로 빠지기가 힘들때 앞으로 편한 발을 나가면서 양손을
자기 몸쪽으로 땡겼다가 쭉 밀면 빠지게 된다.
오른손이 상대방 오른손에 의해 안쪽에서 잡힌 경우 - 사람의 관절은 외회전이 안되고 늘어나지도 않는다.
그래서 잡은 순간 뒤로 살짝 돌면서 팔을 하늘 쪽으로 쭉 빼면 금방 뿌리쳐진다.
왼쪽손목을 오른손에 잡힌 경우 - 바깥쪽으로 돌면서(뒤로 돌면서)손을 확 뿌리치면된다.
3주차
@뿌리치기
그 특성이나 전형적인 환경 그리고 폭력적이고 위협적인 행동이 일어나는 다양한 형태의 역동성에 대한 자신의 주위경계를 증가시키는 것은 어떤 위협을 당하는 상황이 일어났을 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01. 폭행
1.폭행의 장소와 시간
폭력의 절반 이상이 밤에 일어나며, 대부분의 희생자의 집 근처에서 일어난다. 사실상, 아는 사람이나 인척에 의한 폭행은 대부분 집안이나 집과 매우 인접한 곳에서 일어난다. 낯선 사람에 의한 폭력은 대부분 거리에서 일어난다. 또한 누구나 예상하듯이 1988년 정부 보고서에 의하면, 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교외나 시골에 사는 사람들보다 폭력의 위험이 더 크다고 한다.
2.폭행의 피해자
보고된 폭력사건은 실제 발생하는 횟수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다고 추정된다. 가장 위험한 경우가 여자와 아이들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정 폭력이다. 180만에서 570만 쌍의 부부가 매년 폭력을 경험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핑겔러(1979)는 여아의 19%와 남아 9%가 아동 성 학대를 당한다고 밝히고 있다. 가정 폭력을 제외하면, 남성들은 이들보다 더 자주 폭행의 피해자가 되며, 젊은 남성들이 가장 높은 폭력 피해율을 가지고 있다, 나이가 많은 여성들이 가장 낮은 폭력 피해율을 가지고 있음을 지적
했다. 직업별로는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이 다른 직업인들보다 폭력으로 인한 상해율이 2배나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경찰이나 유흥업 종사자, 바텐더, 그리고 택시 기사들은 특히 위험율이 높은 직업이다.
3.폭행의 가해자
o 18세에서 34세 사이 남성
o 반 이상은 피해자가 조금이라도 아는 사이
o 폭력 직전에 술을 마신 상태의 사람
02. 성 폭 행
1.피 해 자
사회, 경제적 지위, 민족, 연령, 체격, 외모, 건강 상태에 관계 없이 모든 여성들은 성폭력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 일반적인 인식에도 불구하고, “자극적”이거나 “유혹적인” 복장이나 행동은 중요한 요인이 아니다. 성폭행 중 4% 미만이 피해자의 “촉진적인 행동[자극적인, 유혹적인 행동이나 복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혀 냈다. 사실 강간은 10%에서 30% 만이 보고되는 가장 보고되지 않는 폭력 범죄중의 하나로, 보고된 강간사건이 약 10%만이 체포되고, 그 중 2%만 유죄판결을 받는다. 이처럼 극도로 낮은 체포 및 유죄판결 비율은 피해자 자신이 고발을 꺼리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설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가 해 자
피해자와 마찬가지로 가해자 또한 다양한 사회 경제 및 인종적인 배경을 갖고 있으며, 나이와 체격도 다양하다. 많은 강간 범죄는 피해자가 가해자에 대하여 일종의 편안함과 믿음을 갖게 되는 일반적인 사교에서 이뤄진다. 대학이서 강간을 당한 여학생의 25% 중에서 90%가 자신이 알고있는 면식범에 의한 것이였고, 강간범죄의 1/3 에서 2/3 는 피해자의 잡 또는 사택에서 발생한다.또한, 강간 사건의 71%가 사전 모의된 것이다. 강간을 하는 유형을 3가지 - 힘의 강간, 분노의 강간, 가학적 변태성 으로 나눠진다. 이 중 95% 이상이 힘과 분노의 강간에 포함되어, 성폭력범들은 “감각적 쾌락이나 성적인 만족보다는 지위, 적대감, 통제력, 우월감”에 점점 더 열중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저 항
성공적인 저항은 일종의 주위 경계와 준비성에 기인한 것이기 때문에, “최고의” 방법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여성들이 강간당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계하고 의심하는 버릇을 길러야 하고, 두렵고 당황스럽다 고 해서 침착함을 잃어서는 안 된다. 그들은 그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당하지 않기 위한 강한 의지를 가져야 하며, 고통이나 부상을 감수하겠다는 결심을 하고서, 확고한 거부를 표현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위급한 상황으로 발전할 수 있는 상황(잠재적인 폭력상황)에서 알맞은(적절한) 상황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똑바른 정신과 뛰어난 관찰력과 지각력이 필요하다.
1.환 경
*현재 둘러 쌓인 환경을 파악하고, 아래 사항들을 인지하라*
주위에 있는 사람들의 수, 가까운 정도, 신원 방호벽으로 이용될 수 있는 큰 물체
보호 물이나 무기로 사용할 수 있는 물체
하루중의 시간대
술병이나 마약소지 같은 약물 복용의 증거
2.위협하는 사람
*가해자를 주의 깊게 관찰하라*
가해자의 신원, 자신과의 거리(근접도) 덩치, 힘, 신체적 조건
태도, 스탠스, 자세, 감정상태
걸음걸이, 몸짓, 복장
무기 소지 여부, 말하고 있는 주제와 방법
3.자신(여러분)
* 자신이 갖고 있는 능력을 정확히 인지한다*
체력, 신체기능, 감정상태
행동조치는 공격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과 경험으로써 주위 경계와 갑작 스런 위협 상황에서의 신속한 상황 판단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다.
1.즉각적 후퇴
*위험한 상황에 놓이기 전에 미리 그 상황을 피해 빨리 안전한 곳으로 장소를 옮기는 방법이다.*
예) 늦은 밤 집으로 돌아오고 있다고 가정하자. 상당히 인적이 드문 동네를 지나는데 누군가 자신을
추천자료
[자기소개서][자기소개서 예문][자기소개서 사례][자기소개서 샘플][자소서]자기소개서(자소...
[자기소개서예문][자소서예문][자기소개서샘플][자소서샘플]자기소개서(자소서)의 작성요령 ...
Freud의 방어기제 설명과 사례를 통한 이해. Freud의 방어기제 개념 총정리.
프로이트의 방어기제에 대해 설명하고, 자신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방어기제에 대해 구체적으...
정신분석이론의 방어기제에 대해 정리하고 각 방어기제에 자신이나 주변 사람들의 경우를 예...
Freud의 자아방어기제와 내가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
방어기제의 종류에 대해 논하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무엇인...
방어기제의 개념과 종류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본인이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를 기술
다양한 방어기제와 내가 사용하는 방어기제
[방어기제]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무엇인지 실례를 들어 이...
[방어기제] 프로이드 방어기제에 대한 실제 사례를 기술하시오.
프로이트의 방어기제와 내가 자주사용하는 방어기제
정신분석이론의 방어기제에 대해 정리하고, 나의 방어기제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
프로이트의 자아방어기제 중 자신이 평소 많이 사용한다고 생각하는 자아방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