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작품 소개 및 분석
1. 작가 이문열 소개
2. 작품 개관
3. 작품 내용 - 등장인물, 구성, 줄거리
4. 작품 분석 - 작품 시점, 등장인물 특징, 주안점, 작품해제
Ⅲ. 맺으며 - 감상 정리
■ 참고문헌
Ⅱ.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작품 소개 및 분석
1. 작가 이문열 소개
2. 작품 개관
3. 작품 내용 - 등장인물, 구성, 줄거리
4. 작품 분석 - 작품 시점, 등장인물 특징, 주안점, 작품해제
Ⅲ. 맺으며 - 감상 정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진 영웅‘은 예전에 중고교시절에 몇 번 읽은 적이 있는 소설이다. 그러나 그 시절에 읽었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과 대학생이 되고 소설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우고 사회에 대해 조금씩 알아가면서 이 소설을 읽은 지금 나의 생각이 예전과는 좀 달라졌다는 것을 느꼈다.‘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교실이라는 작은 공간 속의 독재를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그 당시의 정치풍토를 비판한 소설이다.
또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박종원 감독에 의해 영화화된 작품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잠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992년도 <몬트리올 영화제 최우수 작품상>을 받은 박종원 감독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원작의 심오한 주제의식을 충분히 살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잘 만들어진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이 영화의 배경이 되는 시골의 어느 국민학교 교실은 사실 어두운 우리 현대사를 집약해서 보여주고 있는, 바로 우리 자신들의 사회적 정치적 소우주라고 할 수 있다.
- 김성곤(서울대교수, 영문학), (동아일보) 1995. 12. 27-
소설 중에서 인상적인 장면이라면 새로 오신 담임에게 모든 일이 발각되고 반 아이들에게 자백을 강요하는 선생님 앞에서 누군가 이렇게 외친다. “너.희.들.도.다.나.빠.”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큰 교훈은 바로 이 말이 아닐까한다. 부조리를 보고서도 바로잡지 못하는 아니 오히려 어느 정도 힘 앞에 굴복하면서 개인의 이익만을 생각하는 현대인의 모습 또한 “너.희.들.도.다.나.빠.”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아닐까....
이 소설을 읽는 독자들에게 일침을 가하게 해준다. 현 세대에 살아가고 있는 많은 사람들의 머릿속에 도사리고 있는 개개인의 이기심 바로 이것을 우회적으로 그려서 우리에게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간에 붙었다 쓸개에 붙었다 하는 것 같은 아이들이 꼭 우리들의 모습을 연상케 하는 것은 쉽게 추측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권력에 대해 제대로 저항 한번 하지 못하고 현실에 순응하고 복종하며 살아가는 우리네의 모습 또한 보여주고 있다. 병태가 한 학기동안 엄석대의 권력에 대항해 힘겨운 싸움을 할 때는 모두 등 돌리고 있던 그들이었다. 모두들 잘못된 것을 알고 있었으나 맞을까봐 또는 따돌림 당할까봐 등등 자신에게 불이익이 올까봐 불의에 복종하는 모습을 보면 부끄러움을 느낄 것이다.
이 소설은 우리 사회의 권력의 실상을 작은 교실에 축소시켜 나타내기도 하였고 나중에 석대가 범죄자가 됨을 보여줌으로써 무력, 권력의 무의미함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그 모든 것이 이 소설에서 시사하는 바이지만 가장 크게 내게 시사한 바는 이 ‘이기주의’인 것 같다.
각박한 삶 속에서 살다가 6학년 새 담임에 의해 그의 권력이 무너지자 그에게 싸늘히 등 돌리는 아이들. 점점 이기적이 되어 가는 우리들, 자신의 이익에만 급급한 우리들, 모두 달라져야 하지 않을까? 더 이상 영웅의 그늘에 묻혀 살지 않기 위해.
■ 참고문헌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이문열, 민음사, 2005
<이문열, 실존주의적 휴머니즘의 문학>, 김욱동, 민음사, 1994
또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박종원 감독에 의해 영화화된 작품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잠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992년도 <몬트리올 영화제 최우수 작품상>을 받은 박종원 감독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원작의 심오한 주제의식을 충분히 살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잘 만들어진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이 영화의 배경이 되는 시골의 어느 국민학교 교실은 사실 어두운 우리 현대사를 집약해서 보여주고 있는, 바로 우리 자신들의 사회적 정치적 소우주라고 할 수 있다.
- 김성곤(서울대교수, 영문학), (동아일보) 1995. 12. 27-
소설 중에서 인상적인 장면이라면 새로 오신 담임에게 모든 일이 발각되고 반 아이들에게 자백을 강요하는 선생님 앞에서 누군가 이렇게 외친다. “너.희.들.도.다.나.빠.”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큰 교훈은 바로 이 말이 아닐까한다. 부조리를 보고서도 바로잡지 못하는 아니 오히려 어느 정도 힘 앞에 굴복하면서 개인의 이익만을 생각하는 현대인의 모습 또한 “너.희.들.도.다.나.빠.”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아닐까....
이 소설을 읽는 독자들에게 일침을 가하게 해준다. 현 세대에 살아가고 있는 많은 사람들의 머릿속에 도사리고 있는 개개인의 이기심 바로 이것을 우회적으로 그려서 우리에게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간에 붙었다 쓸개에 붙었다 하는 것 같은 아이들이 꼭 우리들의 모습을 연상케 하는 것은 쉽게 추측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권력에 대해 제대로 저항 한번 하지 못하고 현실에 순응하고 복종하며 살아가는 우리네의 모습 또한 보여주고 있다. 병태가 한 학기동안 엄석대의 권력에 대항해 힘겨운 싸움을 할 때는 모두 등 돌리고 있던 그들이었다. 모두들 잘못된 것을 알고 있었으나 맞을까봐 또는 따돌림 당할까봐 등등 자신에게 불이익이 올까봐 불의에 복종하는 모습을 보면 부끄러움을 느낄 것이다.
이 소설은 우리 사회의 권력의 실상을 작은 교실에 축소시켜 나타내기도 하였고 나중에 석대가 범죄자가 됨을 보여줌으로써 무력, 권력의 무의미함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그 모든 것이 이 소설에서 시사하는 바이지만 가장 크게 내게 시사한 바는 이 ‘이기주의’인 것 같다.
각박한 삶 속에서 살다가 6학년 새 담임에 의해 그의 권력이 무너지자 그에게 싸늘히 등 돌리는 아이들. 점점 이기적이 되어 가는 우리들, 자신의 이익에만 급급한 우리들, 모두 달라져야 하지 않을까? 더 이상 영웅의 그늘에 묻혀 살지 않기 위해.
■ 참고문헌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이문열, 민음사, 2005
<이문열, 실존주의적 휴머니즘의 문학>, 김욱동, 민음사, 1994
추천자료
이문열론
금시조 감상문 - 이문열 금시조
이문열 아가 를 읽고 (아가)
이문열의 선택을 읽고 _ 이문열
[독후감]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
하늘 길 - 이문열- 어른 되어 기억난 동화답지 않은 동화
이문열 씨의 사람의 아들과 로아 바스또스의 사람의 아들의 정치적 분석
재벌개념을 중심으로 본 한국 경제영웅의 실체분석
여성영웅소설(남성영웅소설)
이문열의 황제를 위하여
[이문열 소설][사람의 아들][종교관][신관]이문열 소설 사람의 아들 이데올로기, 이문열 소설...
이문열 현대소설 황제를 위하여 작품분석, 이광수 현대소설 무정 작품분석, 김동리 현대소설 ...
<인간의 아들> 이문열(李文烈) 발표자료 모션그래픽 포함 (작가소개, 등장인물, 작품 구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