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설교자여 내게 얘기 하나 들려주시오.
강단에 춤추는 해골, 좌석에 늘어진 송장.
숨은 파괴자들
은유의 신비
상상력과 인물설교
상상력과 위로
특별한 날을 위한 메시지
상상력, 유머, 설교
상상력과 복음 설교
상상력과 창조력
성서적인 설교
설교자여 내게 얘기 하나 들려주시오.
강단에 춤추는 해골, 좌석에 늘어진 송장.
숨은 파괴자들
은유의 신비
상상력과 인물설교
상상력과 위로
특별한 날을 위한 메시지
상상력, 유머, 설교
상상력과 복음 설교
상상력과 창조력
성서적인 설교
본문내용
의도 주의해야 하고 또한 항상 우울하고 푹 처져 있는 비관주의도 성경의 믿음과 거리가 있다. 유머는 청중을 한번 웃기기 위해서 억지로 끼워 넣는 식으로 사용되지 않아야 한다. 유머는 진정한 삶의 일부분을 파악해 내는 도구여야 한다. 설교자는 코메디언은 아니지만 참된 유머는 메시지를 청중의 가슴에 도달하게 한다. 유머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목적 하에 사용되어야 한다.
15장 상상력과 복음설교
모든 설교 목적은 그리스도를 전하고 높이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을 사람들에게 전해야 한다. 바울은 십자가를 실재적인 생활과 관련해서 전한다. 주는 것. 시민권, 형제사랑, 남편과 아내 사랑의 내용들이다.
성경은 전도자의 이미지를 그림언어를 사용하여 전달한다. 예를 들면, 영혼을 얻는 사냥꾼(잠11:30), 잃은 양을 찾는 목자(눅15:8-10), 추수하는 농부(마13장), 불 가운데서 사람을 끌어내는 소방수(슥3:2) 또한 구원의 이미지를 그림언어로 사용하는 경우를 보면, 문을 통과하고 나가는 것, 풍요로운 축제를 즐기는 것, 집으로 돌아와 풍요로운 사랑을 받고 풍요로움에 참여하는 것, 생수를 마시는 것, 선물을 받는 것. 목욕을 하는 것, 은행에 돈을 예치하는 것 등이다. 즉 상상력과 복음설교란 본문을 읽고 본문을 토대로 상상력을 발휘하여 오늘의 상황에서 그 본문을 느끼고 깨닫게 하는 것이다. 본문내용의 무대는 옛날이지만 오늘 이 자리에 있는 사람들에게 본문의 이미지를 이탈하지 않으면서 현대적 상황에 맞추어 말씀을 전하는 것이다. 대속, 양자됨, 속죄, 속량, 화목, 사죄등의 교리적인 어려운 내용들을 설교자는 상상력을 이용한 그림언어등을 사용하여 청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삶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전해야 한다. 중요하고 주의해야 하는 것은 본문의 내용이 변질되지 않으면서 본래의 이미지를 쉽게 깨닫게 해주어야 한다.
제16장 상상력과 창조력 강대영 목사
목회자는 성령의 도우심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창조적으로 일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1)창조성이란 삶의 방식이지 어떤 특정한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과 같은 것이 아니다.
창조적인 사람이 되려면 어떤 공식이나 지름길을 찾는 것이 아니라 자기 내면의 일부가 되며 이 원리를 자기 마음에 적용하여 낳은 실제이다. 즉 숙제를 하듯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이것들을 ‘알을 품듯’ 숙고하고 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창조성은 삶의 방식이다.
2)차조적인 삶의 방식이란 균형잡힌 삶을 말한다.
창조적인 사람은 산만하지 않고 주변의 삶과 환경에 주의를 기울이고 흡수하여 배우는 사람이다. 즉 “설교자는 체험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체험을 하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창조자는 행복한 것이든 불행한 것이든 체험에서 최선의 것을 끄집어내는 균형 잡힌 사람이 되어야 한다.
3)창조적인 사람은 책을 읽는 사람이다.
인간의 다른 기능과 마찬가지로 상상력도 건강하게 유지하려면 잘 먹여야 한다.
4)창조적인 사람은 어휘를 늘려간다.
단어는 우리를 보게 하는 등불이요, 집을 짓는 도구다. “언어의 한계는 곧 그 사람 서계의 한계다. 어휘력이 늘면 그만큼 그의 세계도 확장된다.”
5)창조적인 사람은 새로운 일을 시도하기를 꺼리지 않는다.
제17장 성서적인 설교
성서적 설교란 성경 진리를 정연하게 설명하고 적용하고 본문에 충실하여야 한다. 즉 하나님의 진리를 설명하고 적용하는 것이 포함되어야 한다. 특별히 본문을 어떻게 다루든지 간에 본문 자체의 특성을 왜곡해서는 안된다.
상상은 죄인과 구주를 한데 연결시키는 도구라 할 수 있다. 설교자는 자신부터 말씀의 권위에 복종하며 증인의 삶을 살아야 한다.
15장 상상력과 복음설교
모든 설교 목적은 그리스도를 전하고 높이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을 사람들에게 전해야 한다. 바울은 십자가를 실재적인 생활과 관련해서 전한다. 주는 것. 시민권, 형제사랑, 남편과 아내 사랑의 내용들이다.
성경은 전도자의 이미지를 그림언어를 사용하여 전달한다. 예를 들면, 영혼을 얻는 사냥꾼(잠11:30), 잃은 양을 찾는 목자(눅15:8-10), 추수하는 농부(마13장), 불 가운데서 사람을 끌어내는 소방수(슥3:2) 또한 구원의 이미지를 그림언어로 사용하는 경우를 보면, 문을 통과하고 나가는 것, 풍요로운 축제를 즐기는 것, 집으로 돌아와 풍요로운 사랑을 받고 풍요로움에 참여하는 것, 생수를 마시는 것, 선물을 받는 것. 목욕을 하는 것, 은행에 돈을 예치하는 것 등이다. 즉 상상력과 복음설교란 본문을 읽고 본문을 토대로 상상력을 발휘하여 오늘의 상황에서 그 본문을 느끼고 깨닫게 하는 것이다. 본문내용의 무대는 옛날이지만 오늘 이 자리에 있는 사람들에게 본문의 이미지를 이탈하지 않으면서 현대적 상황에 맞추어 말씀을 전하는 것이다. 대속, 양자됨, 속죄, 속량, 화목, 사죄등의 교리적인 어려운 내용들을 설교자는 상상력을 이용한 그림언어등을 사용하여 청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삶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전해야 한다. 중요하고 주의해야 하는 것은 본문의 내용이 변질되지 않으면서 본래의 이미지를 쉽게 깨닫게 해주어야 한다.
제16장 상상력과 창조력 강대영 목사
목회자는 성령의 도우심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창조적으로 일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1)창조성이란 삶의 방식이지 어떤 특정한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과 같은 것이 아니다.
창조적인 사람이 되려면 어떤 공식이나 지름길을 찾는 것이 아니라 자기 내면의 일부가 되며 이 원리를 자기 마음에 적용하여 낳은 실제이다. 즉 숙제를 하듯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이것들을 ‘알을 품듯’ 숙고하고 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창조성은 삶의 방식이다.
2)차조적인 삶의 방식이란 균형잡힌 삶을 말한다.
창조적인 사람은 산만하지 않고 주변의 삶과 환경에 주의를 기울이고 흡수하여 배우는 사람이다. 즉 “설교자는 체험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체험을 하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창조자는 행복한 것이든 불행한 것이든 체험에서 최선의 것을 끄집어내는 균형 잡힌 사람이 되어야 한다.
3)창조적인 사람은 책을 읽는 사람이다.
인간의 다른 기능과 마찬가지로 상상력도 건강하게 유지하려면 잘 먹여야 한다.
4)창조적인 사람은 어휘를 늘려간다.
단어는 우리를 보게 하는 등불이요, 집을 짓는 도구다. “언어의 한계는 곧 그 사람 서계의 한계다. 어휘력이 늘면 그만큼 그의 세계도 확장된다.”
5)창조적인 사람은 새로운 일을 시도하기를 꺼리지 않는다.
제17장 성서적인 설교
성서적 설교란 성경 진리를 정연하게 설명하고 적용하고 본문에 충실하여야 한다. 즉 하나님의 진리를 설명하고 적용하는 것이 포함되어야 한다. 특별히 본문을 어떻게 다루든지 간에 본문 자체의 특성을 왜곡해서는 안된다.
상상은 죄인과 구주를 한데 연결시키는 도구라 할 수 있다. 설교자는 자신부터 말씀의 권위에 복종하며 증인의 삶을 살아야 한다.
추천자료
그 날이 오면
마블링(marbling 먹물 흘리기 기법)
시집 <질마재 신화>등에 나타나는 후기 미당시의 토속성에 대해
라멘-일본 문화와 음식
[과외]중학 국어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5
[과외]중학 국어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14
그리스 로마신화
[우수평가자료]고전강독 독후감 서평, 개인적인 감상과 느낀 점과 교훈은 무엇인가?.
그림책 두 가지를 선정한 후 선정한 그림책의 미술적 특징 비교분석 - 빨간 모자(그림형제 / ...
엘리위젤 나이트(Night) 서평
그림책 두권 선정, 유아교육 시사점
생활동화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생활동화 가치에 비추어 분석하시오 - ‘아버지와 아들’ _ 노경...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교육과정의 제시된 예술경험 영역을 살펴보고 예술경험의 중요한 범주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