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감상문] 호텔르완다를 보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사회의 복지시설과 법안보다 더 중요한 가족간의 사랑과 유대관계를 다시 한번 깨닫게 해주는 가족의 사랑애와 현 시대의 이데로기적 합법성에 대립해가며 이겨나아가는 과정을 그린다.
<아이 엠 샘 I am Sam>이란 영화 제목은 단순하면서도 상징적인 것이다. 남자 주인공의 이름을 그대로 쓰고 있으면서, 그 남자 자체를 보기를 원하고 있으니까 말이다. 그러나 이 영화를 본 사람들은 그의 이름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다만 7살 아이의 지능을 가진 남자가 자신의 딸을 되찾기 위해 노력하는 눈물겨운 이야기라고 말할 뿐이다. 그럴 때 감동이 넘쳐흐르고 눈물이 줄줄 흐르는 것은 당연하다.
솔직히 말해, 영화를 보면서 눈물을 흘린 이유는 무엇이고, 눈물을 흘린 후의 개인적 변화는 무엇인가? 나에게 이 영화는 하나의 상황극과 같아서 끊임없이 판단을 해야 했고, 그 판단이 끼칠 영향과 변화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나는 먼저 샘 같은 사람을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 장애인을 부르는 그 수많은 이름 중에서 어떤 표현이 정치적으로 올바른 것인지에 대해서 판단이 잘 서질 않는다. 심지어 지진아 혹은 저능아 같은 어른이라고 어디선가 함부로 지껄였을 수도 있지 않은가. 돌아서서 잊어버릴 것이 뻔한데도, 그냥 감동을 말하기에는 장애인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의 현실은 극 중 상황보다 냉엄할 것임을 우리는 안다. 익히 배운 것처럼 우리는 그들을 이해하고 평범한 시선으로 바라볼 수 없다. 나는 샘이 분노할 때 왜 저러나하고 놀라고, 그들의 자기 주장이 신기하기만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들을 위해 뭔가를 해야 한다는 말에 암묵적으로나마 동의했다고 생각하는데 말이다. 이건 나에겐 벗어날 수 없는 모순이다.
이 영화는 가족 구성원간의 부조화나 가족 문제를 다룬 드라마가 아니며, 장애인과 사회 문제를 다룬 계몽 드라마와도 격을 달리한다. <아이 엠 샘>은 부모와 자식간의 사랑과 그들의 행복이란 주제를 향해 내리 달리기만 한다. 이 영화를 통해 급 변화하는 현 시대에서 그리고, 선진국이 될수록 격을 달리한다는 "무덤에서 요람까지"의 사회적 복지시설과 법안보다 더 중요한 인간이기에 가질수 있는, 그리고 인간이기에 끝까지 이 것만은 사회적 그 어떠한 것으로도 대신할 수 없는 인간의 참사랑을 그릴수 있었다. 결국, 사회적 복지보다 더 중요한건 살아 있는 인간애를 더 보존해주는 것이며 이를 키우도록 사회는 단지 그릇의 역할을 할 뿐이다라는 것 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3.26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7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