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과 금강에 서식하는 쉬리(Coreoleucisus splendidus Mori) 두 계통간의 AFLP 지문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표 목차 (List of Tables)

그림 목차 (List of Figures)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1.재료
2.Genomic DNA의 분리 및 정제.
3.쉬리 AFLP 조건 확립.
4. DNA 절단 및 adapter ligation
5. PCR 증폭조건 및 전기영동
6. 통계처리
Ⅲ. 결과
1. 쉬리 AFLP 조건 확립
2. 계통내 AFLP 유전자 지문분석
3. 계통간 특이적 AFLP marker 검출
4. 계통간 유전적 변이성 및 그 근연관계 분석0
Ⅳ. 고찰
Ⅴ. 참고문헌
Ⅵ.  ABSTRACT

본문내용

쉬리(Coreoleucisus splendidus Mori)는 Mori(1935)에 의해 기록된 한국 특산종
한국 특산종임에도 불구하고 생태적인 연구가 미진한 편
지역적인 격리로 쉬리의 유전적 변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
계통분류를 하여 같은 종으로 분류되는 것이 맞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기에 이번 연구를 진행
유전적 다형성과 유연관계를 AFLP를 이용한 분자 유전학적인 방법으로 분석
평창 쉬리 경우 평균 41.8개의 band가 검출 금강의 쉬리 평균 41.7개 band를 나타남
다형성 수준은 평창 쉬리는 평균 0.31로 나타난 반면 금강 쉬리는 0.25로 낮은 다형성 보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03.26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578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