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엘니뇨
1. 엘니뇨의 어원 및 정의
2. 엘니뇨의 발생원인
3. 엘니뇨와 남방진동
4. 엘니뇨가 일으키는 기상이변
5. 엘니뇨의 예측 가능성
Ⅱ. 라니냐
1. 라니냐의 어원 및 정의
2. 라니냐의 발생원인
3. 라니냐가 일으키는 기상이변
Ⅲ. 엘니뇨와 라니냐의 비교
1. 엘니뇨
2. 라니냐
Ⅳ. 엘니뇨와 라니냐의 상관관계
Ⅴ. 엘니뇨와 라니냐에 이은 라마마의 등장
1. 엘니뇨의 어원 및 정의
2. 엘니뇨의 발생원인
3. 엘니뇨와 남방진동
4. 엘니뇨가 일으키는 기상이변
5. 엘니뇨의 예측 가능성
Ⅱ. 라니냐
1. 라니냐의 어원 및 정의
2. 라니냐의 발생원인
3. 라니냐가 일으키는 기상이변
Ⅲ. 엘니뇨와 라니냐의 비교
1. 엘니뇨
2. 라니냐
Ⅳ. 엘니뇨와 라니냐의 상관관계
Ⅴ. 엘니뇨와 라니냐에 이은 라마마의 등장
본문내용
기 하층에서의 편동풍(동에서 서로)의 감소와 열대 동태평양의 대류권계면 부근의 대기 상층에서의 편서풍(서에서 동으로)의 감소는 강한 엘니뇨 상태에서는 완전히 사라지는 적도 워커 순환의 강도의 감소를 나타낸다. ③ 엘니뇨의 성장기 동안에는 해수 표면의 구조가 비정상적으로 깊은 온수대와 열대 동태평양을 가로지르는 수온약층 깊이의 증가로 특징 지워진다. 그러므로 수온약층의 기울기는 유역을 가로질러 감소한다. 아주 강한 엘니뇨 기간에는 수온약층이 실제로 기간 내의 몇 달 동안 열대 태평양 전체를 가로지르며 평평하게도 될 수 있다.
2. 라니냐
① 라니냐 상태는 열대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대기 바람의 대규모 변화의 특징적인 현상이다.
② 동태평양을 가로지르는 대기 하층에서의 편동풍(동에서 서로)의 증가와 열대 동태평양의 대류권계면 부근의 대기 상층에서의 편서풍(서에서 동으로)의 증가는 적도 워커 순환의 강력해진 강도를 반영한다.
③ 라니냐의 성장기 동안에는 해수 표면의 구조가 비정상적으로 얕은 온수대와 열대 동태평양을 가로지르는 수온약층 깊이의 감소로 특징 지워진다. 그러므로 수온약층의 기울기는 유역을 가로질러 증가한다. 아주 강한 라니냐 기간에는 확장된 기간 동안 수온약층이 실제로 해양의 표면에 아주 가까이 다가온다.
<해수면 온도 비교>
-엘니뇨 발생시 -라니냐 발생시
Ⅳ. 엘니뇨와 라니냐의 상관관계
1950년 이후 엘니뇨가 발생하는 열대해역의 해수면온도 편차의 변화를 나타낸 것을 보면, 해수면온도 편차가 0.5℃ 이상 높거나 낮을 경우를 엘니뇨와 라니냐라고 각각 정의한다. 1950년 이후 엘니뇨는 14회 발생됐으며, 1997년 4월에 발생한 엘니뇨는 소멸 중에 있다. 같은 기간 중 라니냐는 11회 발생했다. 또 엘니뇨나 라니냐 현상은 발생주기세기지속기간이 불규칙하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엘니뇨는 캘리포니아와 남아메리카에 폭풍을 많이 발생시키는 반면에 대서양과 카리브 해를 고요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하지만 라니냐는 반대로 캘리포니아의 폭풍 발생을 감소시킨다.
대체적으로 높은 곳이 있으면 낮은 곳이 있듯이 엘니뇨와 라니냐는 서로 따라다닌다고 할 수는 있으나, 때로는 엘니뇨가 연속해서 발생하거나(1990연대 초반), 반대로 라니냐만 발생하거나(1940년대), 또는 몇 년 동안 엘니뇨나 라니냐가 발생하지 않는(1950년대 말~60년대 초) 경우도 있다. 최근 이론들은 불규칙성의 요인으로 여러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엘니뇨가 왜 불규칙하게 일어나는지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Ⅴ. 엘니뇨와 라니냐에 이은 라마마의 등장
요즘 태평양에는 엘니뇨와 라니냐에 이어서 이른바 라마마로 불리는 새로운 현상이 일어나고 있어 이상기후가 나타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라마마(La Mama)란 스페인어로서 "La”는 여성명사에 붙이는 정관사이며 “Mama” 는 어머니를 의미한다. 라마마는 엘니뇨나 라니냐와는 달리 태평양상의 북쪽에서 서쪽 그리고 남쪽으로 이어져 나타나는 말굽 형태의 고수온대가 태평양 동쪽의 저수온대를 감싸고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그러나 이 용어는 미 항공우주국 제트추진연구소(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의 William Patzert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나 아직까지는 일반적으로 통용은 되지 않은 용어이다.
지난 수 년 동안 지구촌 곳곳에 갖가지 이상기후 현상을 일으킨 주범은 적도 부근 태평양 해수의 온도가 높아지는 엘니뇨와 온도가 낮아지는 라니냐였다. 이 라마마 현상은 우리나라와 근접한 서태평양상의 수온변화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기상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북태평양 중위도 해역의 고수온대는 1997년 12월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여 라마마 모식도에서 볼 수 있는 말굽형의 고수온대를 형성하였다. 이 고수온대는 제트기류와 동아시아 상층기압골의 발달에 영향을 미쳐 우리나라에도 고온현상을 초래하는 등 이상기후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주목되고 있다.
현재 많은 기상학자들은 태평양의 수위변화, 수온 변화들과 관련하여 관측이나 모델 결과들을 분석하여 여러 형태의 변동성을 주장하고 있다.
미 항공우주국 제트추진 연구소(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는 현재 나타나고 있는 라마마 현상이 제트기류에 영향을 미쳐 폭풍의 진로를 바꾸거나 가뭄을 일으키는 등 이상기후를 가져왔으며, 20~30년 동안 지속되면서 서태평양 해역과 미국 대륙 등에 폭우나 태풍 등의 이상기상을 유발하고 해수면의 높이까지 변화시킬 것이라는 예측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이나 대기의 변화는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고 카오스적인 발달을 하기 때문에 미국 기상청 등에서는 미국항공 우주국 제트추진 연구소의 주장이 너무 섣부르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장기적 변동(Decadal Variation)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분석과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종원, 『지구환경 위기와 생태적 기회』, 계명대학교출판부, 2000
권동희, 『환경지리』,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2006
오재호, 『지구환경과학』, 신광문화사, 2003
이학춘, 『지구환경위기와 국제문제』, 동남기획, 1999
임경택, 『지구환경과학』, 동화기술, 1999
권원태, 「엘니뇨가 다가온다-홍수와 가뭄 일으키는 자연의 재앙」, 『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 1997
권원태, 「엘니뇨는 가고 라니냐가 온다」, 『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 1998
김두희, 「기상이변의 문제아 엘니뇨」, 『월간 초등 우리교육』, 우리교육, 1995
김정우, 「기후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 1999
박정규, 「집중조명 : 한반도는 엘니뇨 안전지대인가」, 『통일한국』, 평화문제연구소, 1998
오재호, 「기상이변의 말썽꾼 엘니뇨 현상」, 『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 1995
오재호, 「엘니뇨와 라니냐에 따른 우리나라 기후변동」, 『자연과 문명의 조화』, 대한토목학회, 1999
윤원태, 「따뜻한 겨울 뒤에 라마마 있다」, 『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 2000
차은정, 「기상포커스 : 달라지는 한반도기후」, 『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 1999
2. 라니냐
① 라니냐 상태는 열대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대기 바람의 대규모 변화의 특징적인 현상이다.
② 동태평양을 가로지르는 대기 하층에서의 편동풍(동에서 서로)의 증가와 열대 동태평양의 대류권계면 부근의 대기 상층에서의 편서풍(서에서 동으로)의 증가는 적도 워커 순환의 강력해진 강도를 반영한다.
③ 라니냐의 성장기 동안에는 해수 표면의 구조가 비정상적으로 얕은 온수대와 열대 동태평양을 가로지르는 수온약층 깊이의 감소로 특징 지워진다. 그러므로 수온약층의 기울기는 유역을 가로질러 증가한다. 아주 강한 라니냐 기간에는 확장된 기간 동안 수온약층이 실제로 해양의 표면에 아주 가까이 다가온다.
<해수면 온도 비교>
-엘니뇨 발생시 -라니냐 발생시
Ⅳ. 엘니뇨와 라니냐의 상관관계
1950년 이후 엘니뇨가 발생하는 열대해역의 해수면온도 편차의 변화를 나타낸 것을 보면, 해수면온도 편차가 0.5℃ 이상 높거나 낮을 경우를 엘니뇨와 라니냐라고 각각 정의한다. 1950년 이후 엘니뇨는 14회 발생됐으며, 1997년 4월에 발생한 엘니뇨는 소멸 중에 있다. 같은 기간 중 라니냐는 11회 발생했다. 또 엘니뇨나 라니냐 현상은 발생주기세기지속기간이 불규칙하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엘니뇨는 캘리포니아와 남아메리카에 폭풍을 많이 발생시키는 반면에 대서양과 카리브 해를 고요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하지만 라니냐는 반대로 캘리포니아의 폭풍 발생을 감소시킨다.
대체적으로 높은 곳이 있으면 낮은 곳이 있듯이 엘니뇨와 라니냐는 서로 따라다닌다고 할 수는 있으나, 때로는 엘니뇨가 연속해서 발생하거나(1990연대 초반), 반대로 라니냐만 발생하거나(1940년대), 또는 몇 년 동안 엘니뇨나 라니냐가 발생하지 않는(1950년대 말~60년대 초) 경우도 있다. 최근 이론들은 불규칙성의 요인으로 여러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엘니뇨가 왜 불규칙하게 일어나는지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Ⅴ. 엘니뇨와 라니냐에 이은 라마마의 등장
요즘 태평양에는 엘니뇨와 라니냐에 이어서 이른바 라마마로 불리는 새로운 현상이 일어나고 있어 이상기후가 나타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라마마(La Mama)란 스페인어로서 "La”는 여성명사에 붙이는 정관사이며 “Mama” 는 어머니를 의미한다. 라마마는 엘니뇨나 라니냐와는 달리 태평양상의 북쪽에서 서쪽 그리고 남쪽으로 이어져 나타나는 말굽 형태의 고수온대가 태평양 동쪽의 저수온대를 감싸고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그러나 이 용어는 미 항공우주국 제트추진연구소(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의 William Patzert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나 아직까지는 일반적으로 통용은 되지 않은 용어이다.
지난 수 년 동안 지구촌 곳곳에 갖가지 이상기후 현상을 일으킨 주범은 적도 부근 태평양 해수의 온도가 높아지는 엘니뇨와 온도가 낮아지는 라니냐였다. 이 라마마 현상은 우리나라와 근접한 서태평양상의 수온변화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기상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북태평양 중위도 해역의 고수온대는 1997년 12월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여 라마마 모식도에서 볼 수 있는 말굽형의 고수온대를 형성하였다. 이 고수온대는 제트기류와 동아시아 상층기압골의 발달에 영향을 미쳐 우리나라에도 고온현상을 초래하는 등 이상기후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주목되고 있다.
현재 많은 기상학자들은 태평양의 수위변화, 수온 변화들과 관련하여 관측이나 모델 결과들을 분석하여 여러 형태의 변동성을 주장하고 있다.
미 항공우주국 제트추진 연구소(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는 현재 나타나고 있는 라마마 현상이 제트기류에 영향을 미쳐 폭풍의 진로를 바꾸거나 가뭄을 일으키는 등 이상기후를 가져왔으며, 20~30년 동안 지속되면서 서태평양 해역과 미국 대륙 등에 폭우나 태풍 등의 이상기상을 유발하고 해수면의 높이까지 변화시킬 것이라는 예측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이나 대기의 변화는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고 카오스적인 발달을 하기 때문에 미국 기상청 등에서는 미국항공 우주국 제트추진 연구소의 주장이 너무 섣부르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장기적 변동(Decadal Variation)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분석과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종원, 『지구환경 위기와 생태적 기회』, 계명대학교출판부, 2000
권동희, 『환경지리』,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2006
오재호, 『지구환경과학』, 신광문화사, 2003
이학춘, 『지구환경위기와 국제문제』, 동남기획, 1999
임경택, 『지구환경과학』, 동화기술, 1999
권원태, 「엘니뇨가 다가온다-홍수와 가뭄 일으키는 자연의 재앙」, 『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 1997
권원태, 「엘니뇨는 가고 라니냐가 온다」, 『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 1998
김두희, 「기상이변의 문제아 엘니뇨」, 『월간 초등 우리교육』, 우리교육, 1995
김정우, 「기후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 1999
박정규, 「집중조명 : 한반도는 엘니뇨 안전지대인가」, 『통일한국』, 평화문제연구소, 1998
오재호, 「기상이변의 말썽꾼 엘니뇨 현상」, 『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 1995
오재호, 「엘니뇨와 라니냐에 따른 우리나라 기후변동」, 『자연과 문명의 조화』, 대한토목학회, 1999
윤원태, 「따뜻한 겨울 뒤에 라마마 있다」, 『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 2000
차은정, 「기상포커스 : 달라지는 한반도기후」, 『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