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화장품 중남미 진출 현황과 발전 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중남미 화장품 시장 현황
( 1 ) 멕시코
( 2 ) 브라질
( 3 ) 칠 레
( 4 ) 콜롬비아
( 5 ) 파나마
2. 한국 화장품의 중남미 시장 진출 현황
( 1 ) 미샤 - 멕시코
( 2 ) 더 페이스 샵 - 도미니카 공화국
( 3 ) STC International
( 4 ) (주) 세화 P&C
( 5 ) 기린화장품
( 6 ) 유니맥 코리아
3. 한국 화장품의 중남미 시장 진출 전략
( 1 ) 브랜드 이미지
( 2 ) 유통업체 확보
( 3 ) 브랜드 매장
( 4 ) 가격
( 5 ) 홍보
( 6 ) 현지 지사 배치

Ⅲ. 결론

본문내용

행중이다.
( 5 ) 기린화장품
기린화장품은 2005년 9월 7일부터 10일까지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한국상품전시회’에 참가해 중남미 수출에 활로를 열었다.
이 박람회에서 기린화장품은 멕시코 뿐만 아니라 아르헨티나브라질베네수엘라 등 중남미 국가의 다양한 유통회사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고 구체적인 상담을 진행했다. 기린화장품은 올 하반기부터 시판 및 미용재료 신제품 개발과 해외시장 개척에 집중해 수출 유통망을 점차 확대할 방침이다.
( 6 ) 유니맥코리아
지난 98년 유니맥 통상으로 출발한 유니맥코리아는 초기에는 수출전문 OEM회사로 설립되어 수출에 주력해 오다가 지난 2002년 자본금 17억원의 법인으로 전환된 후 화장품 OEM 전문회사로 자리매김해 온 상황이다. 방판 및 네트워크 업체, 특정 유통라인 등에 다양한 기초제품과 미백 등의 기능성 화장품남성제품필링제품 등을 공급하며 OEM 사업에서 큰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필링제품은 출시 1개월 만에 15만개가 팔려나갈 만큼 공존의 히트를 기록했고 특허 한 방기능성 기초제품 등은 자체 브랜드로 판매되어 시장에서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유니맥코리아는 미국브라질멕시코쿠웨이트이집트 등에는 올해 진출하며, 이들 지역에서는 제품 기술력과 마케팅 능력을 인정받아 OEM이 아닌 자체 브랜드로 수출될 예정이다.
3. 한국 화장품의 중남미 시장 진출 전략
대중 브랜드 백화점, 슈퍼마켓, 약국 등에서 판매되는 비교적 팔기 쉬운 중가 브랜드- L’Oreal(프랑스), Neutrogena(노르웨이), Ponds(영국), Maybelline(미국), Johnson & Johnson(미국), Proctor & Gamble(미국), Nivea(독일) 등
시장이 현재는 더 크지만 실질소득 수준 향상과 낙관적 경제 전망에 힘입어 소비지출이 늘면서 고급 브랜드 백화점에서 주로 판매되는 명품 브랜드로 유럽, 미국 등에서 수입
- EsteeLauder(독일), Elizabeth Arden(미국), Clinique(프랑스), ROC(미국), Shiseido(일본), Max Factor(미국), Clarins (미국), Revlon(미국), Ko Lancome(프랑스), Calvin Klien(미국) 등
시장이 더 빨리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고급 브랜드 시장 중 향수는 이미 대중 브랜드 시장을 추월했으며, 색조화장품과 스킨케어 분야도 2006년에는 대중 브랜드 시장을 따라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몇 년 사이 제품이 다양화되면서 아로마테라피, 스파관련 제품 등 틈새 시장을 노리는 제품들도 많이 등장했다.
한국 화장품은 성장이 보다 유망한 고급 브랜드 시장을 노리면서 노화방지, 피부미백 등 기능성 위주의 차별화된 제품 위주로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마케팅 비용을 절감하고 단기적인 판매 실적을 높이고자 한다면, 다단계 판매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한국에서 진출한 경험이 있는 대부분의 화장품들이 선택한 방법이다. 다만, 중남미에는 수많은 다단계 기업들이 활동하고 있고, 다단계 기업의 성쇠에 따라 화장품 브랜드도 흥망이 결정되기 때문에 구매력이 크고 판매망이 탄탄한 업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1 ) 브랜드 이미지 제고
중남미의 화장품 시장에 한국산 화장품이 진출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것은 적절한 가격과 좋은 품질이다.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이 브랜드 이미지라고 한다. 예를 들어 파나마에서 전자제품의 경우 한국산 하면 누구나 인정하는 브랜드가 삼성과 LG라고 한다. TV, 오디오, VTR,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등의 전자제품 시장에서 삼성과 LG는 우수한 품질에 대한 이미지를 갖고 있듯이 한국산 화장품도 좋은 브랜드이미지를 갖추도록 마케팅 전략을 펼쳐야 한다.
( 2 ) 유통업체 확보
중남미에서 화장품은 주로 대형 슈퍼마켓이나 약국을 통해 판매하기 때문에 이러한 곳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유통 업자를 확보하여 제품을 소비자에게 많이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화장품을 고급스러운 이미지화한다면 백화점 쪽의 유통망을 확보하고 매장을 입점하도록 하고 대중적인 이미지를 추구한다면 대형마트나 약국 쪽의 유통 업자를 확보하고 중저가의 가격을 책정한다.
( 3 ) 브랜드 매장
미샤나 더 페이스 샵처럼 브랜드 이미지를 확고히 하기 위해 단일 매장을 운영하고 인테리어 역시 브랜드가 떠오를 수 있도록 꾸민다. 더불어 모든 화장품을 테스트할 수 있는 특징을 살려 도입한다면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다.
( 4 ) 가격
빈부의 격차가 심한 중남미의 경우 소비경향도 뚜렷하게 대비된다. 저가로 출시할 경우 이미 중남미 전반에 다수의 다국적 기업이 지배하고 있는 상황에서 초반에는 반응이 좋을 수도 있겠지만 자칫 잘못하면 한국 화장품은 싸구려라는 이미지가 고착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저가의 화장품 보다는 중고가나 고급 화장품을 수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겠다. 다른 경쟁기업의 제품보다는 저렴하고 품질 면에서도 떨어지지 않는 고급스러운 화장품을 수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5 ) 홍보
중남미의 경우 TV 망이 연결되어 있어 홈쇼핑을 한다면 같은 내용을 대부분의 중남미 국가에 홍보할 수 있는 엄청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홈쇼핑을 통해 브랜드를 알리고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입소문을 통해 여러 사람들에게 널리 알릴 수 있다.
( 6 ) 현지 지사 배치
현지에 지사가 있으면 비용 절감과 경영의 효율성 제고, 그리고 무엇보다 현지 시장에 대한 공략 수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중남미 각국을 상대로 보다 효율적인 경영과 서비스 개선을 갖고 오는 효과도 적지 않을 것이다.
Ⅲ. 결론
[ 참고자료 ]
▶ www.beautynuri.co.kr
▶ www.naver.com
▶ www.beautynet.com
▶ www.kotra.or.kr
▶ www.missha.com.mx
▶ www.newswire.co.kr
▶ blog.naver.com/mumisi
▶ blog.naver.com/bluemoon
▶ 주간 코스메틱 신문
▶ 장업 신문
▶ 한국 경제 신문 2004. 03. 09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3.27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9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