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학] 제 6강 거시경제의 직관적측면(수요)-소득-지출 모형과 IS의 도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폐쇄경제에서 GDP 결정의 수요측면 분석
01 케인즈의 소득-지출모형
1. 생산물시장의 총수요
2. 생산물시장의 균형과 국민소득의 결정
3. 균형국민소득의 변화
3.1 단순 소득-지출 모형
3.2 정부부문이 도입된 경우
3.3 승수효과의 한계
02 생산물시장의 균형과 IS곡선
1. 투자함수와 이자율
2. 생산물시장의 균형과 IS곡선의 도출
3. IS곡선의 기울기와 이동
4. 생산물시장의 불균형

본문내용

폐쇄경제에서 GDP 결정의 수요측면 분석
케인즈의 소득-지출 모형을 이용한 균형국민소득 결정과정
생산물 시장을 중심으로 소개한 기본 거시경제모형
생산물 시장뿐만 아니라 화폐시장의 동시적 균형 도출
케인즈의 유효수요이론
유효수요 (Effective Demand) - 단기적으로 국가경제의 총생산이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소비수요와 투자수요에 의해 결정.
균형국민소득에서 총공급 (Y≡C+S+T)과 총수요 (E≡C+I+G)일치
생산물시장의 총수요
소비, 투자, 정부지출의 결정요인을 각각 다음과 같이 가정
소비는 가처분소득의 증가함수
C = 총소비
Yd = Y – T = 가처분소득
c = 한계소비성향(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 MPC)
= 0.75 (한국은행의 우리나라 거시모형)
소비, 투자, 정부지출의 결정요인을 각각 다음과 같이 가정
저축은 가처분소득 중 소비하고 남는 부분
S = 총소비
Yd = Y – T = 가처분소득
s = 한계저축성향(marginal propensity to save : MPS)
조세는 소득의 증가함수
T = 조세
t = 한계소득세율(marginal incom rate)
= 0.18 (우리나라 한계소득세율의 평균값)
투자 및 정부지출은 외생변수
기업가의 예상이나 투자심리의 변화 등에 의해 결정되는 독립투자
= 정부의 정책에 의해 임의로 결정되는 정부지출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8.03.28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582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