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영어] 제5주 Shipment(선적) 1) 해상운송의 사전지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Part Ⅱ Business English Letter
 
․ 1차시 : Section 7  Shipment(선적)
          해상운송개요, 선적의 주요 표현
 
․ 2차시 : Section 8  Insurance(보험)
          해상보험의 개요, 보험요율
 
․ 3차시 : 보험의 사안별 표현

본문내용

1. 해상운송 의 개요
1) 해상운송의 사전지식
(1) 매매조건과 선적의무 - 통상 화물을 운송할 선박을 수배하는 자는 해당 선박회사에 운임을 지급하는 화주이다.
(2) 선적선박 - 선박을 수배하는 경우는 상품의 수량, 종류에 따라 운송 선박이 다르다.
(3) 서비스 항로 -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현재 형성되어 있는 항로(또는 노선)는 한, 일항로, 동남아 항로, 북미항로, 호주항로, 중동항로, 구주항로 등이 있다.
(4) 운임부과기준 - 운임은 통상해당물의 중량과 용적을 비교하여 많이 산출되는 톤수를 운임의 기준으로 삼는다(이를 revenue ton이라고 함).
(5) 선박회사와의 접촉 - 정기선이 취항하지 않는 지역으로 화물을 보내고자 할 때에는 일반 잡화의 경우보다 충분한 사전기간을 두고 선박회사와 접촉을 시작해야 한다.
(6) 운송계약의 형태 - 일반잡화를 운송하는 정기선의 경우는 별도로 운송계약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고 선박회사에서 정형화된 양식인 선하증권(Bill of Lading : B/L)을 발급함으로써 운송계약에 갈음하고 있다.
2) 선적절차
(1) 선적협의 - 협의는 서면으로도 가능하나 유선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며 신속, 정확하다.
(2) 선적요청서 제출 - 구두계약이 이루어진 다음 정식으로 선적요청서(S/R, shipping request)를 제출해야 한다.
(3) 화물포장 및 출고준비 - 포장되어 있는 화물의 상태가 운송에 적합할 정도로 견고한지 확인해야 한다.
(4) 컨테이너 화물 - 화물을 컨테이너에 적입(stuffing)하여 컨테이너 전용선에 선적 운송될 경우는 화주 자신이 선박회사에 빈 컨테이너를 요청하여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입 한다.
(5) 출고 및 육상운송 - 화물의 출고준비가 끝나면(컨테이너에 화주 자신이 직접 적입하였을 때는 세관검사를 필하고 봉인이 된 상태) 선박회사가 지정한 창고까지 운송을 한다.

키워드

무역영어,   무역,   영어,   선적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8.03.29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582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