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창섭 <비오는날>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시 원점으로 돌아가고 만다.
'비오는 날'의 공간적 배경과 주제의 상관 관계
이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피난지 부산이다. 부산은 6?25전쟁 중에 고향을 떠나 남으로 피난 내려온 사람들이 모여 살던 곳으로, 원구나 동욱 남매에게서 보듯이 절망적인 삶을 살아가는 비극의 장소이다. 더구나 폐가나 다름없는 동욱 남매의 집을 배경으로 설정한 것은 이 작품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결정해 작품 전체의 흐름을 이끌고 있다.
또 시간적 배경은 장마철이다. 이것 역시 작품의 분위기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장마철의 눅눅한 분위기와 같은 끈끈한 불쾌감, 우울함이 이 작품의 주제와 관련하여 무기력함이나 허무, 절망 같은 정서를 더욱 선명하게 드러나게 한다. 원구가 동욱의 집을 방문할 때는 반드시 비가 오는 날이었음도 이와 같은 이유에서이다.
현진건의 '운수좋은 날' : 질척하게 내리는 비는 아내의 죽음을 알리는 암시
김승옥의 '무진기행' : 안개는 주인공의 우울과 혼돈이라는 내면 의식을 상징
김유정의 '동백꽃' : 배경은 농촌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닭싸움과 같은 농촌의 풍물을 매개로 사건이 진행되고, 토속적인 농촌 분위기가 인물의 심성과 조화됨
'비오는 날'의 문체상 특징
이 작품의 서술은 ‘- 것이다’라는 종결 어미를 많이 활용한 간접 화법이 주를 이룬다. 인물들 간의 대화에서도 사용된 이러한 문체는 작가의 목소리를 개입시키고자 하는 의도에 따른 것이며, 이것을 통해 사건의 추이를 간접적으로 제시하는 동시에 주인공에 대한 작가의 냉소적·비판적 묘사가 가능해진다. (출처 : 구인환·김흥규, 문학(상) 한샘출판사)
'~ 것이다'라는 종결 어미의 사용은 사건을 간접적으로 제시하는 동시에 독자들의 의식 속에 사건보다는 그 사건에 의해 환기된 나레이터의 감정을 전달한다.
손창섭의 소설 문체는 지적인 비판이나 서정적·시적 묘사보다도 정서 환기를 목적으로 한다. 대개 '점착력 있는 집요한 문장'이라는 애매한 표현으로 정의된 그의 문장은 주의를 환기시키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가뜩이나, 걸핏하면, 툭 하면, 벌컥' 따위의 부사들과, 사건의 추이를 간접적으로 제시하는 동시에, 상황의 압도적 작용을 속도 있게 제시하는 '것이다'라는 종결 어미의 빈번한 사용으로 독자들의 의식 속에 사건보다는 그 사건에 의해 환기된 감정을 전달해 준다. (출처 :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이 소설에서도 역시 '것이다'는 작가 자신이 그의 주인공을 냉소적으로 묘사할 때 예외 없이 쓰이고 있다.
실존주의(實存主義, existentialism)
세계 내의 인간 실존에 대한 해석에 힘쓰며 인간 실존의 구체성과 문제적 성격을 강조하는 철학으로 주로 20세기의 철학운동으로 대표자는 독일의 마르틴 하이데거와 카를 야스퍼스, 프랑스의 가브리엘 마르셀, 장 폴 사르트르, 모리스 메를로 퐁티, 스페인의 호세 오르테가 이 가세트, 러시아의 니콜라이 베르댜예프, 이탈리아의 니콜라 아바냐노 등이다. 그러나 실존주의의 주요특징은 이미 19세기에 프리드리히 니체와 쇠렌 키에르케고르에게서 나타났다. 에트문트 후설과 G. W. F. 헤겔은 실존주의자는 아니지만 실존주의에 큰 영향을 주었다.
실존주의 사상의 성격
실존주의의 기본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존은 항상 특수하고 개별적이다. 둘째, 실존은 주로 실존의 존재양식에 대한 문제이다. 따라서 실존은 존재 의미에 대한 탐구이기도 하다. 셋째, 존재 의미에 대한 탐구는 끊임없이 다양한 가능성에 직면하며 인간은 이 가능성들 가운데서 선택하고 이 선택에 몸을 맡겨야 한다. 넷째, 이 가능성들은 인간과 다른 사물 및 타인과의 관계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실존은 항상 세계내존재이다. 즉 실존은 선택을 제한·제약하는 구체적 상황 속에 존재한다. 그래서 인간은 현존재(Dasein)라 불린다.
이상의 주장들로 인해 실존주의는 첫째, 인간을 절대적이거나 무한한 실체의 현현(顯現)으로 보는 견해와 대립하며 의식·정신·이성·이데아 등을 강조하는 관념론 대부분의 형태에 반대한다. 둘째, 인간을 주어진 완성된 실재로 보고 이 실재의 요소를 분석해야만 인간을 인식할 수 있다고 여기는 학설과도 대립한다. 그래서 실존주의는 외적 사실의 실재성을 강조하는 객관주의나 과학주의의 모든 형태에 반대한다. 셋째, 모든 형태의 필연주의와 대립한다. 넷째, 유아론(나만이 존재한다)이나 인식론적 관념론(인식대상은 정신적인 것이다)과 대립한다. 실존은 다른 존재와의 관계로서 항상 자기 자신을 넘어서는 초월이기 때문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3.29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83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