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의 기전과 신체방어기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계 세포의 리보솜에서 항체가 생산된다.
IgG: 비교적 분자량이 적어서 모체로부터 태아의 혈액까지 태반장벽을 통과할 수 있 다. 태아는 출산 전에는 어떠한 항체형성도 하지 못하므로 모체로부터 받은 IgG 는 신생아 감염에 대한 아주 중요한 보호기전이다.
IgM: 가장 튼 항체분자이고 5개의 동일한 아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IgM은 이물질을 중성화시키고, 그의 여러 결함부위에 세포들을 응집한다. 그리 고 이것은 ABO혈액형계, 류마티스성인자의 항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대식 세포 macrophage를 활성화 시킨다.
IgA: 타액과 점막에 접촉된 이물질에 대한 국소적 방어를 한다.
IgD와 IgE: 혈장에 낮은 농도로 들어 있으며 세포-계면 항원 감수체로 작용하는 것 으로 추측되고 있다. IgE는 히스타민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시키는 혈 관확장물질을 분비한다. IgD는 B림프구가 생산하며 림프구 표면에 부착 되어 있다.
(6)항원-항체반응
항원 결정인자와 특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항원 -항체 복합 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항체가 있는 용액에 항원을 첨가시키면 항원-항체복합체 를 형성하는 침전물이 생긴다.
2)비특이 액성 방어기전
(1)보체
항원-항체반응을 동반하는 많은 생물학적 효과는 소위 보체(C1-C9)라고 하는 9개 혈 장인자의 관여에 의하여 나타난다. 이들은 혈액응고인자와 같이 혈액 내에서는 불활성 상태를 유지하지만 특이한 경우 활성화하게 된다. 보체계의 초기 활성화는 항원-항체 함체 또는 세균성 병원체에 의하여 시작된다.
유전적으로 부체인자의 결핍은 세균성 감염에 감염되기 쉽고, 또 자가면역질환에 걸 리기 쉽다.
(2)리소자임 Lysozyme
조직 또는 체액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성장 또는 번식을 억제한다.
3)시토카인 Cytokine
체내의 면역응답에 관여하는 백혈구나 대식세포의 증식, 분화, 활성은 cytokine이라는 일군의 단백질에 의해 조정되고 있다. T세포와 대식세포는 활발히 cytokine을 분비한 다. Cytokine은 현재 20여종이 발견되고 있으며 작용에 따라 다음의 3가지 군으로 나 눌 수 있다. 첫째 세포의 증식 및 성장을 촉진하는 것, 둘째 백혈구나 대식세포의 증식, 분화 활성을 조절하는 것(interleukin 등의 colony 자극인자), 셋째, 항바이러스 작용 및 항종양작용을 가지는 것(interferon 등의 종양괴사인자)이 있다.
4)비특이 세포성 방어기전
(1)면역과 알레르기
신체방어기전이 이물질들에 의한 질병반응유발물질을 무해한 물질로 변화시켰을 때 그 기관은 그 물질에 대한 면역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그 후 동일한 이물질에 반복하 여 노출시 때때로 그에 대한 반응을 변동시키게 되는 알레르기성이 된다. 알레르기라 는 말은 과민성 반응에서 사용하고 있다.
과도한 항원-항체반응으로 생긴 과민성 반응은 아낙필락시형과 세포독형의 2가지가 있다. 아낙필락시형은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대, 피부혈류량 증가, 발진, 외분비선의 분 비 증가 및 기관지 연축 등이 동반되며 세포독형은 부적합한 수혈로 생긴 용혈 또는 면역복합체의 모세혈관벽 침착으로 생긴 손상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2)면역학적 내성
항원성 반응을 나타내는 이물질에 노출된 다른 개체에 항체형성이 일어나지 않는 것 을 면역학적 내성 EH는 면역학적 마비라 한다.
5) 면역의 종류
(1)선천성 면역
선천성 면역은 숙주가 선천적으로 갖추고 있는 저항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종별면역, 즉 사람에서는 질병을 일으키지만 어떤 동물에서는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현상이며, 또 같은 사람이라도 종족에 따라서 질병 양상이 다르거나 혈액형에 따라 질병 양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2)후천성면역
후천성 면역은 생체 자신이 감염이라는 경험을 통해서 얻은 획득면역으로 능동면역과 피동면역이 있다, 능동면역은 다시 자연능동면역과 인공능동면역으로 구분되는데, 자 연능동면역은 어떤 질환에 이환된 후 얻어지는 면역이며, 인공능동면역은 예방접종 후 에 얻어지는 면역으로 인체가 능동적으로 항체를 생산하는 경우를 말한다.
피동면역 역시 자연피동면역과 인공피동면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자연피동면역은 신생아 출생 시 어머니로부터 면역체를 받아서 태어나는 경우이고, 인공피동면역은 -globulin이나 회복기 혈청을 환자 또는 위험에 처해있는 사람에게 줌으로써 잠정적으 로 질병에 대한 방어를 할 수 잇도록 하는 것으로 인체가 항체를 능동적으로 생산하 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3.30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85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