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문제 의식
한류: 90년대 후반 이래 대중문화의 변화를 반영하는 대표적 아이콘
한류 이전의 대중문화지형(5-80년대)
- 미국, 일본 등 ‘문화권력국가’에 원천(source)을 의존
- 문화적 식민성의 지배
한류의 의미
- 문화적 식민성과 획일성을 뒤집는 충격
- 고착되어 있던 대중문화 지형의 균열
- 문화‘수용’에서 문화‘전파’로의 지형 변화
연구문제: 한류가 반영하는 한국의 새로운 사회변동과 관련 맥락은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
2. 부정된 전통과 적극적 근대(5-80년대)
전통의 부정
- 질곡과 부정의 역사: 망국, 식민지, 전쟁, 분단
- 부정적 역사경험과 좌절의 현실
-> 그 기원으로서 ‘전통’에 대한 부정
- 전통 = 부정적 현실의 기원이면서 동시에 부정적 自我 그 자체
적극적 근대 해석과 미류의 수용
- 부정적 현실 및 자아에 대한 대안으로서 근대의 적극적 수용
- 근대 해석 및 실천의 모델로서 ‘미국’의 이상화
- 美流: 근대 해석 및 실천의 가장 ‘대중적인’ 문화 텍스트
한류: 90년대 후반 이래 대중문화의 변화를 반영하는 대표적 아이콘
한류 이전의 대중문화지형(5-80년대)
- 미국, 일본 등 ‘문화권력국가’에 원천(source)을 의존
- 문화적 식민성의 지배
한류의 의미
- 문화적 식민성과 획일성을 뒤집는 충격
- 고착되어 있던 대중문화 지형의 균열
- 문화‘수용’에서 문화‘전파’로의 지형 변화
연구문제: 한류가 반영하는 한국의 새로운 사회변동과 관련 맥락은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
2. 부정된 전통과 적극적 근대(5-80년대)
전통의 부정
- 질곡과 부정의 역사: 망국, 식민지, 전쟁, 분단
- 부정적 역사경험과 좌절의 현실
-> 그 기원으로서 ‘전통’에 대한 부정
- 전통 = 부정적 현실의 기원이면서 동시에 부정적 自我 그 자체
적극적 근대 해석과 미류의 수용
- 부정적 현실 및 자아에 대한 대안으로서 근대의 적극적 수용
- 근대 해석 및 실천의 모델로서 ‘미국’의 이상화
- 美流: 근대 해석 및 실천의 가장 ‘대중적인’ 문화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