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력의 정의
- 국련이란?
국력의 순위
- 경제력을 중심으로 본 국력
- 군사력을 중심으로 본 국력
- 국제사회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본 국력
-중국의 주요 국력지표와 경제력
-중국의 주요 국력지표와 경제력
-인도와 중국의 IT 및 통신 산업 비교
- 국련이란?
국력의 순위
- 경제력을 중심으로 본 국력
- 군사력을 중심으로 본 국력
- 국제사회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본 국력
-중국의 주요 국력지표와 경제력
-중국의 주요 국력지표와 경제력
-인도와 중국의 IT 및 통신 산업 비교
본문내용
,000여 개가 넘는 기술계 대학에서 매년 10만명 이상의 IT 전문인력이 배출되고 있다. 인도가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구소련의 붕괴와 더불어 세계 조류의 흐름을 직시하고 사회주의식 폐쇄경제에서 벗어나 새로운 개방경제 체제로의 전환을 추진하게 되었다. 특히 1991년 이수 신 경제정책을 과감하게 채택함으로 과거 자급자족 중심의 경제구조에서 탈피하는 한편, 인프라 개발 및 산업화를 위한 외국인 투자의 유지 확대, 경제발전에 필요한 자본재의 도입 확대 및 세계 경제 질서의 재편에 따른 시장개방을 적극 추진하게 되었다. 인도는 비록 1인당 GDP가 450달러에 불과한 가난한 나라이지만 전체 GDP규모는 우리나라와 비슷한 수준이며, 특히 실질구매력 평가기준에 의한 경제력 측면에서는 미국, 중국, 일본에 이어 세계 4위를 차지하는 중요국가로 부상하였다. 인도의 대외 무역의존도가 20% 수준에 불과하여 그 크기에 비하여 수출입 규모가 매우 작았던 것이 사실이나, 대외 교역 규모가 급속도로 늘어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또한 인도는 영어를 사용하는 저렴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일찍부터 소프트웨어 산업을 국가의 핵심 산업으로 집중 육성함으로써 오늘날 미국 다음으로 세계 최대의 소프트웨어 강국으로 부상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도는 거대 신흥시장으로서 매우 중요한 국가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참고 사이트 : 해피캠퍼스
KOTRA
세계일보&세계닷컴, 네이버
※ 참고 사이트 : 해피캠퍼스
KOTRA
세계일보&세계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