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방전의 종류
2. 기체방전의 종류
3. 스트리머 방전에 대해..
2. 기체방전의 종류
3. 스트리머 방전에 대해..
본문내용
곳의 점 광이 공중이 비쳐 보일 때, 구름에 가려 빛의 반사만 보이고 구름 표면에 고인 전기가 방전할 경우 비치기도 한다.
11. 글로 방전
-극히 낮은 압력인 0.5 ㎜Hg 정도에서 기체를 수 ㎝ 채운 방전관에 전극을 놓고 높은 전압을 가하면 전류가 흐름에 따라 글로(희미한 빛)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글로방전이라 하며, 각 기체에 따라 특유한 색이 부드럽게 발광한다.
12. 이상글로 방전
- 글로방전에서 아크방전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현상이다. 즉, 방전이 진행하여 글로가 음극 전체에 걸치면 전류가 늘고 음극강하도 증가하는 상태의 방전이 이상글로방전이다. 여기서 더욱 전류가 늘어나면 음극이 가열되어 열전자를 방출하기에 이르고 마침내 아크방전이 일어난다.
13. 정상글로 방전
- 0.1~10 mmHg의 저압기체 속에 놓인 2개의 전극에 전압을 걸면 글로방전이 일어나는데, 이 방전에서 전원회로를 조절하여 전류를 바꾸면 전류가 작을 때에는 음극 일부에만 음극글로가 생기고 음극강하도 기체의 종류나 전극재료에 따라 일정하게 머물게 되는 것을 말한다.
14. 첨단 방전
- 지표면에 서 있는 물체, 예를 들면 교회의 뾰족탑이나 수목 끝에, 천둥이나 폭풍우가 내리는 밤 등에 나타나는 방전현상을 말하며 선단방전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천둥 또는 폭풍우가 치는 밤에 볼 수 있는 세인트엘모의 불도 첨단방전의 일종이다.
15. 선단방전
- 첨단 방전과 같다.
16. 진공 방전
- 압력이 1 mmHg 정도 이하인 기체 속에 있는 2개의 전극 사이에 적당한 직류고전압을 가했을 때 일어나는 방전이다. 글로방전과 아크방전의 두 종류가 있으나 주로 글로방전을 가리킨다.
17. 연면 방전
- 연면 방전은 공기 중에 놓여 진 절연체 표면의 전계강도가 큰 경우에 고체표면을 따라서 진행하는 방전을 말한다. 연면방전은 아래의 저건과 같은 경우 발생되기 쉽고 불꽃방전과 마찬가지로 방전에너지가 높아 재해나 장해의 원인이 된다. 첫 번째가 부도체의 대전량이 극히 큰 경우이고 두 번째가 대전된 부도체의 표면 가까이에 접지체가 있는 경우이다.
18. 스트리머 방전
- 기체방전에서 방전로가 긴 줄을 형성하면서 방전하는 현상을 스트리머 방전이라고 합니다.
19. 내부 방전
- 유전체의 공동이나 내부의 절연내력이 낮은 함유물에 의한 방전이다.
20. 정전기 방전
- 정전기 방전은 정전기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전리작용으로 대전물체에 의한 정전계가 공기의 절연파괴강도(직류인 경우 30[㎸/㎝])에 달한 경우에 일어나는 기체 전리작용이다.
21. 브러쉬 방전
- 브러쉬 방전은 코로나 방전이 보다 진전하여 수지상 발광 과펄스상의 파괴음을 수반하는 방전을 말한다. 브러쉬 방전은 가연성 가스, 증기 또는 민감한 분진에서 화재,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번개
- 소나기구름을 구성하고 있는 물방울이 상승기류로 인해 파열되면, 파열된 물방울은 양으로 대전되고 주위의 공기는 음으로 대전된다. 그리고 양의 전하를 가진 물방울은 구름의 상부로 올라가고 음의 전하를 가진 물방울은 구름의 하부에 머무른다. 하부에 음전하가 점점 많아지면 이것은 지상의 양전하가 있는 곳으로 떨어지려고 한다. 주로 나무나 키가 큰 건물 등 뾰족한 곳은 음전하가 떨어지기 좋은 장소이다. 음전하가 떨어질 때 내는 빛에너지가 번개로 나타난다.
@기체 방전의 종류@
① 글로 방전
② 아크 방전
③ 코로나 방전
④ 불꽃 방전
@스트리머 방전에 대해서@
기체방전에서 방전로가 긴 줄을 형성하면서 방전하는 현상을 Streamer 방전이라고 하지요. 스트리머 방전이론은 낙뢰와 같습니다. 다시 말하면 공간이 큰 곳에서 방전원리가 작용하는 거랍니다.
11. 글로 방전
-극히 낮은 압력인 0.5 ㎜Hg 정도에서 기체를 수 ㎝ 채운 방전관에 전극을 놓고 높은 전압을 가하면 전류가 흐름에 따라 글로(희미한 빛)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글로방전이라 하며, 각 기체에 따라 특유한 색이 부드럽게 발광한다.
12. 이상글로 방전
- 글로방전에서 아크방전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현상이다. 즉, 방전이 진행하여 글로가 음극 전체에 걸치면 전류가 늘고 음극강하도 증가하는 상태의 방전이 이상글로방전이다. 여기서 더욱 전류가 늘어나면 음극이 가열되어 열전자를 방출하기에 이르고 마침내 아크방전이 일어난다.
13. 정상글로 방전
- 0.1~10 mmHg의 저압기체 속에 놓인 2개의 전극에 전압을 걸면 글로방전이 일어나는데, 이 방전에서 전원회로를 조절하여 전류를 바꾸면 전류가 작을 때에는 음극 일부에만 음극글로가 생기고 음극강하도 기체의 종류나 전극재료에 따라 일정하게 머물게 되는 것을 말한다.
14. 첨단 방전
- 지표면에 서 있는 물체, 예를 들면 교회의 뾰족탑이나 수목 끝에, 천둥이나 폭풍우가 내리는 밤 등에 나타나는 방전현상을 말하며 선단방전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천둥 또는 폭풍우가 치는 밤에 볼 수 있는 세인트엘모의 불도 첨단방전의 일종이다.
15. 선단방전
- 첨단 방전과 같다.
16. 진공 방전
- 압력이 1 mmHg 정도 이하인 기체 속에 있는 2개의 전극 사이에 적당한 직류고전압을 가했을 때 일어나는 방전이다. 글로방전과 아크방전의 두 종류가 있으나 주로 글로방전을 가리킨다.
17. 연면 방전
- 연면 방전은 공기 중에 놓여 진 절연체 표면의 전계강도가 큰 경우에 고체표면을 따라서 진행하는 방전을 말한다. 연면방전은 아래의 저건과 같은 경우 발생되기 쉽고 불꽃방전과 마찬가지로 방전에너지가 높아 재해나 장해의 원인이 된다. 첫 번째가 부도체의 대전량이 극히 큰 경우이고 두 번째가 대전된 부도체의 표면 가까이에 접지체가 있는 경우이다.
18. 스트리머 방전
- 기체방전에서 방전로가 긴 줄을 형성하면서 방전하는 현상을 스트리머 방전이라고 합니다.
19. 내부 방전
- 유전체의 공동이나 내부의 절연내력이 낮은 함유물에 의한 방전이다.
20. 정전기 방전
- 정전기 방전은 정전기의 전기적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전리작용으로 대전물체에 의한 정전계가 공기의 절연파괴강도(직류인 경우 30[㎸/㎝])에 달한 경우에 일어나는 기체 전리작용이다.
21. 브러쉬 방전
- 브러쉬 방전은 코로나 방전이 보다 진전하여 수지상 발광 과펄스상의 파괴음을 수반하는 방전을 말한다. 브러쉬 방전은 가연성 가스, 증기 또는 민감한 분진에서 화재,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번개
- 소나기구름을 구성하고 있는 물방울이 상승기류로 인해 파열되면, 파열된 물방울은 양으로 대전되고 주위의 공기는 음으로 대전된다. 그리고 양의 전하를 가진 물방울은 구름의 상부로 올라가고 음의 전하를 가진 물방울은 구름의 하부에 머무른다. 하부에 음전하가 점점 많아지면 이것은 지상의 양전하가 있는 곳으로 떨어지려고 한다. 주로 나무나 키가 큰 건물 등 뾰족한 곳은 음전하가 떨어지기 좋은 장소이다. 음전하가 떨어질 때 내는 빛에너지가 번개로 나타난다.
@기체 방전의 종류@
① 글로 방전
② 아크 방전
③ 코로나 방전
④ 불꽃 방전
@스트리머 방전에 대해서@
기체방전에서 방전로가 긴 줄을 형성하면서 방전하는 현상을 Streamer 방전이라고 하지요. 스트리머 방전이론은 낙뢰와 같습니다. 다시 말하면 공간이 큰 곳에서 방전원리가 작용하는 거랍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