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벤토나이트(bentonite)
◇벤토나이트의 생성
◇벤토나이트의 일반적인 특성
◇벤토나이트의 물리 화학적 특성
◇벤토나이트 팽창 원리
◈ 석면(asbestos)
◇벤토나이트의 생성
◇벤토나이트의 일반적인 특성
◇벤토나이트의 물리 화학적 특성
◇벤토나이트 팽창 원리
◈ 석면(asbestos)
본문내용
산시키면 점성이 매우 큰 콜로이드상의 현탁액이 된다. 또한 용액을 정치 시켰을 때는 Thixotropy 상태로 존재한다. 몬모릴로나이트는 또한 양이온 교환능력은 매우 커서 80~ 150meq/100g정도이며 몬모리로나이트의 가열변화는 화학조성이나 결정도에 따라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보면 100 ~ 200도에서 층간 수분이 탈수되고 450~550도에서 구조수가 탈수되기 시작하며 이 탈수는 600~750도까지 계속되다가 끝난다. 구조수가 탈수되면 몬모릴로나이트는 무수물이 되는데 이것은 800~900도 까지는 안정하다. 1000도 부근에서부터 물라이트, 스피넬, 베탁석영 등의 고온결정상과 유리상이 생성된다.
◇벤토나이트 팽창 원리
건조상태의 벤토나이트는 각층으로 형상화 되어 있으며, 각층은 아주 소량의 수분에 의해 분리 되어있다. 소디움은 이온 각 층의 표면에 존재하고 있다.
각층의 모서리 부분은 양성, 표면은 음성이 존재하는 양극성을 띄우며 소디움 이온은 음성인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존재한다.
물이 벤토나이트에 첨가되면 물분자는 표면에 존재하는 소디움 이온에 의해 흡착되어 물분자를 더욱 끌어 당기게된다.
물분자가 극성화 된 물분자의 군(Brothers)에 더욱 접착되어 표면의 음성전기는 더욱 확대된다. 그리하여 전리된 각층은 무한한 물분자의 수요증가에 의해 간격이 이완되어 팽창 파괴에 이르게 된다.
물분자의 흩어진 층 사이에 흩어져 노출된 표면을 부분적으로 서로 연결시켜준다.
혼합상태가 중단 되었을 때 수화된 내부구조는 양성, 음성화된 표면끼리 접촉하여 규격화를 이루게 된다. 이를 일컬어 “House of Cards” 구조라 하고 물분자가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는 균형상태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힘이 가해지면 다시 형상이 흐트러지고 안정된 상태에서 다시 재 형상 된다. (Thixotropy 현상)
◈ 석면(asbestos)
섬유상으로 마그네슘이 많은 함수규산염(含水硅酸鹽) 광물이다. 크리소타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온석면과 각섬석질 석면으로 크게 나뉜다. 건축자재, 방화재, 전기절연재 등으로 쓰인다. 아스베스토스·돌솜이라고도 한다. 광물 조성상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크리소타일(chrysotile)을 주성분으로 하는 석면은 온석면(溫石綿)이라 하여 질이 좋은 것은 실이나 직물로 이용된다. 다른 하나는 각섬석질(角閃石質) 석면이며 섬유는 약하지만 화학약품에는 강하다. 크리소타일도 각섬석질 석면도 사문암(蛇紋岩) 중에 맥상(脈狀)을 이루어 산출된다.
세계 산출고의 과반수가 캐나다에서 나며 러시아 연방·짐바브웨·미국의 애리조나주(州)·스위스 등지에도 대규모 광산이 있다. 밀보드·석면 슬레이트 등의 건축자재, 방화재(防火材)·내화재(耐火材)·보온재·단열재·전기절연재·전해막용재(電解膜用材), 브레이크라이닝 용재 등 그 용도가 넓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 석면이 인간에게 나쁜 영향을 끼친다는 보고가 나오기 시작했다. 그 뒤 석면 가루는 폐질환과 치명적인 폐암인 중피종(中皮腫)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석면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
◇벤토나이트 팽창 원리
건조상태의 벤토나이트는 각층으로 형상화 되어 있으며, 각층은 아주 소량의 수분에 의해 분리 되어있다. 소디움은 이온 각 층의 표면에 존재하고 있다.
각층의 모서리 부분은 양성, 표면은 음성이 존재하는 양극성을 띄우며 소디움 이온은 음성인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존재한다.
물이 벤토나이트에 첨가되면 물분자는 표면에 존재하는 소디움 이온에 의해 흡착되어 물분자를 더욱 끌어 당기게된다.
물분자가 극성화 된 물분자의 군(Brothers)에 더욱 접착되어 표면의 음성전기는 더욱 확대된다. 그리하여 전리된 각층은 무한한 물분자의 수요증가에 의해 간격이 이완되어 팽창 파괴에 이르게 된다.
물분자의 흩어진 층 사이에 흩어져 노출된 표면을 부분적으로 서로 연결시켜준다.
혼합상태가 중단 되었을 때 수화된 내부구조는 양성, 음성화된 표면끼리 접촉하여 규격화를 이루게 된다. 이를 일컬어 “House of Cards” 구조라 하고 물분자가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는 균형상태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힘이 가해지면 다시 형상이 흐트러지고 안정된 상태에서 다시 재 형상 된다. (Thixotropy 현상)
◈ 석면(asbestos)
섬유상으로 마그네슘이 많은 함수규산염(含水硅酸鹽) 광물이다. 크리소타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온석면과 각섬석질 석면으로 크게 나뉜다. 건축자재, 방화재, 전기절연재 등으로 쓰인다. 아스베스토스·돌솜이라고도 한다. 광물 조성상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크리소타일(chrysotile)을 주성분으로 하는 석면은 온석면(溫石綿)이라 하여 질이 좋은 것은 실이나 직물로 이용된다. 다른 하나는 각섬석질(角閃石質) 석면이며 섬유는 약하지만 화학약품에는 강하다. 크리소타일도 각섬석질 석면도 사문암(蛇紋岩) 중에 맥상(脈狀)을 이루어 산출된다.
세계 산출고의 과반수가 캐나다에서 나며 러시아 연방·짐바브웨·미국의 애리조나주(州)·스위스 등지에도 대규모 광산이 있다. 밀보드·석면 슬레이트 등의 건축자재, 방화재(防火材)·내화재(耐火材)·보온재·단열재·전기절연재·전해막용재(電解膜用材), 브레이크라이닝 용재 등 그 용도가 넓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 석면이 인간에게 나쁜 영향을 끼친다는 보고가 나오기 시작했다. 그 뒤 석면 가루는 폐질환과 치명적인 폐암인 중피종(中皮腫)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석면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