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플라스미드란..?
2. 본 론
(1)플라스미드의 발견
(2)플라스미드의 종류
(3) 플라스미드의 특징
(4) 플라스미드의 DNA추출
(5) Alkali lysis 실험
3. 결론
※DNA 재조합 기술
(인슐린)
플라스미드란..?
2. 본 론
(1)플라스미드의 발견
(2)플라스미드의 종류
(3) 플라스미드의 특징
(4) 플라스미드의 DNA추출
(5) Alkali lysis 실험
3. 결론
※DNA 재조합 기술
(인슐린)
본문내용
ionⅢ는 pH를 낮춰 염색체 DNA와 plasmid DNA를 재생시킨다. 이때 크기가 큰 염색체 DNA는 정확히 재생되지 못하여 엉키고, 크기가 작은 플라 스미드 DNA는 정확히 재생된다.
⒠ 이것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다른 튜브에 옮긴다. 여기에 상층액과 같은 부피의 Phenol/Chloroform을 넣어 강하게 섞어준 후 원심분리한다.
→ 남아있는 단백질 찌꺼기를 제거하는 과정
⒡ 원심분리한 것을 상층액만 따서 새 튜브에 옮긴다. 여기에 Chloroform을 넣어 강 하게 섞어준 후 원심분리 한다.
→ 남아있는 Phenol과 단백질 찌꺼기를 제거하는 과정
※아래의 그림은 Solution I, II, III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면서 변해가는 시료의 모습이다.
⒢ 원심분리한 것을 상층액만 따서 새 튜브에 옮긴다. 여기에 2배 부피의 ethanol을 넣고 잘 섞은 후, 냉동실에 잠시 넣어둔다.
→ Ethanol은 DNA 주위의 수분을 제거하여 DNA끼리 뭉치게 한다.
※ 이때 DNA 침전에 쓰이는 alcohol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
⒣ 냉동실에 있던 튜브를 꺼내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조심스럽게 따라낸다.
⒤ 여기에 70% ethanol을 넣고 다시 원심분리 한다.
→ 이 단계는 남아있는 염을 제거한다.(아래그림 참조)
⒥ 조심스럽게 상층액을 따라내고, DNA 침전물을 진공으로 말린다.
⒦ 여기에 멸균한 증류수나 TE (Tris-EDTA) buffer를 넣어 DNA를 녹인다.
⒧ 녹인 DNA를 아가로스겔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관찰한다.
③ 실험결과
⇒분리한 DNA를 그대로 전기영동하면 아래사진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분리가 아주 잘 되면 대부분 supercoiled form DNA만 보이지만 분리과 정에서 작은 충격을 입어서 open circular form이 조금 나타날 수도 있다.
3. 결 론
⇒앞에서 보아온 플라스미드의 특징들을 사용하여 증식시키는 기술이 DNA 재조합 기술이 다.
이 기술은 우리가 원하는 특정 DNA를 뽑아 다른 생물의 DNA와 합성하여 다른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만드는 기술로 이를 통해 인간에게 필요한 물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예) 사람의 인슐린, 생장 호르몬, 인터페론 생산.
※간단하게 우리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는 인슐린 유전자의 재조합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사람의 DNA에서 인슐린 유전자에 해당하는 DNA부분을 제한 효소를 이용하여 잘라 낸다.
2) 대장균에서 분리한 플라스미드를 동일한 제한 효소로 자른다.
3) 사람의 인슐린 유전자와 플라스미드를 DNA연결효소(ligase)로 결합시킨다.
4) 사람의 인슐린 유전자가 이식된 플라스미드를 대장균에 넣고 배양
5) 대장균의 내부에서 인슐린을 합성
6) 인슐린을 분리, 추출한다.
[ 목 차 ]
1. 서 론
플라스미드란..?
2. 본 론
(1)플라스미드의 발견
(2)플라스미드의 종류
(3) 플라스미드의 특징
(4) 플라스미드의 DNA추출
(5) Alkali lysis 실험
3. 결론
※DNA 재조합 기술
(인슐린)
⒠ 이것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다른 튜브에 옮긴다. 여기에 상층액과 같은 부피의 Phenol/Chloroform을 넣어 강하게 섞어준 후 원심분리한다.
→ 남아있는 단백질 찌꺼기를 제거하는 과정
⒡ 원심분리한 것을 상층액만 따서 새 튜브에 옮긴다. 여기에 Chloroform을 넣어 강 하게 섞어준 후 원심분리 한다.
→ 남아있는 Phenol과 단백질 찌꺼기를 제거하는 과정
※아래의 그림은 Solution I, II, III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면서 변해가는 시료의 모습이다.
⒢ 원심분리한 것을 상층액만 따서 새 튜브에 옮긴다. 여기에 2배 부피의 ethanol을 넣고 잘 섞은 후, 냉동실에 잠시 넣어둔다.
→ Ethanol은 DNA 주위의 수분을 제거하여 DNA끼리 뭉치게 한다.
※ 이때 DNA 침전에 쓰이는 alcohol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
⒣ 냉동실에 있던 튜브를 꺼내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조심스럽게 따라낸다.
⒤ 여기에 70% ethanol을 넣고 다시 원심분리 한다.
→ 이 단계는 남아있는 염을 제거한다.(아래그림 참조)
⒥ 조심스럽게 상층액을 따라내고, DNA 침전물을 진공으로 말린다.
⒦ 여기에 멸균한 증류수나 TE (Tris-EDTA) buffer를 넣어 DNA를 녹인다.
⒧ 녹인 DNA를 아가로스겔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관찰한다.
③ 실험결과
⇒분리한 DNA를 그대로 전기영동하면 아래사진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분리가 아주 잘 되면 대부분 supercoiled form DNA만 보이지만 분리과 정에서 작은 충격을 입어서 open circular form이 조금 나타날 수도 있다.
3. 결 론
⇒앞에서 보아온 플라스미드의 특징들을 사용하여 증식시키는 기술이 DNA 재조합 기술이 다.
이 기술은 우리가 원하는 특정 DNA를 뽑아 다른 생물의 DNA와 합성하여 다른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만드는 기술로 이를 통해 인간에게 필요한 물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예) 사람의 인슐린, 생장 호르몬, 인터페론 생산.
※간단하게 우리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는 인슐린 유전자의 재조합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사람의 DNA에서 인슐린 유전자에 해당하는 DNA부분을 제한 효소를 이용하여 잘라 낸다.
2) 대장균에서 분리한 플라스미드를 동일한 제한 효소로 자른다.
3) 사람의 인슐린 유전자와 플라스미드를 DNA연결효소(ligase)로 결합시킨다.
4) 사람의 인슐린 유전자가 이식된 플라스미드를 대장균에 넣고 배양
5) 대장균의 내부에서 인슐린을 합성
6) 인슐린을 분리, 추출한다.
[ 목 차 ]
1. 서 론
플라스미드란..?
2. 본 론
(1)플라스미드의 발견
(2)플라스미드의 종류
(3) 플라스미드의 특징
(4) 플라스미드의 DNA추출
(5) Alkali lysis 실험
3. 결론
※DNA 재조합 기술
(인슐린)
추천자료
꿀벌의 백묵병 원인균 Ascosphaera.apis의 18s ribosomal RNA의 cloning 및 Expression
단백질 구조 분석 NMR과 X선 분석법 이용
생명공학은 우리의 질서를 간직할 수 있을까?
식품 생물 산업의 미래
생명공학과 인간게놈프로젝트 및 생명윤리
유전자변형식품
유전자 조작과 유전자 치료
유전자 조작 프리젠테이션
21세기의 화두 생명공학
일반 유전학
[GMO] GMO(유전자조작식품)의 장단점 - GMO 식품의 안전성, GMO 표시제, 기술의 적용범위, GM...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유전자조작 생물체)에 관해서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개발의 의의와 상업화 현황
GMO(유전자遺傳子변형체) 용어, GMO 과정, GMO 종류, GMO 긍정영향, GMO 부정영향, GMO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