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인양요, 신미양요, 강화도조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병인양요
1. 원인
2. 병인양요의 과정
3. 병인양요의 결과

2) 신미양요

3) 강화도 조약
1. 시대적 배경
2. 경과 및 결과

본문내용

내용은,
① 조선은 자주국가로서 일본과 동등권을 보유한다 (제 1조)
② 조선은 20개월 이내에 부산 이외의 2개 항구를 열고 일본 상인의 거주, 무역의 편리를 제공한다 (제 45조).
③ 일본은 조선의 연해(沿海)도서(島嶼)암초(岩礁) 등을 자유로이 측량하고 해도를 작성할 수 있다 (제 7조).
④ 일본은 조선이 지정한 항구에 영사(領事)를 파견하고, 조선에 거주하는 일본 상인의 범죄는 일본 관원이 심판한다 (제810조) 등으로 되어 있다.
조약의 규정대로 일본은 조차지(租借地)
) 조차지 [租借地, leased territory] : 특별한 합의에 따라 어떤 나라가 다른 나라에게 일시적으로 빌려 준 일부분의 영토
를 확보했고 아울러 치외법권을 설정하여 일본인 상인들의 사법권(司法權)을 규정해 놓았다. 조선에 대하여 일방적인 정치적·군사적·경제적 침략이었고 불평등조약이었으나 제 1 조의 <조선은 자주국>이라는 규정은 청(淸)나라의 종주권(宗主權)을 배격함으로써 조선의 대외정책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로 인하여 서양 여러 열강과 통상관계를 맺게 되었고 서양의 새로운 문물을 수입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동시에 열강의 침략을 받는 계기도 되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4.05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98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