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코의 생애와 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푸코의 생애와 사상
1. 생애
2. 주요 사상(思想) 개관-경계 허물기의 철학
1) 푸코의 세 가지 모습
2) '침묵의 소리' 듣기
3) 경계선 허물기
4) <감시와 처벌> 탄생
5) 근대철학의 연관성

Ⅱ. <감시와 처벌> 개관
1. 거대한 권력구조를 허물기
2. 군주시대에 있어서의 신체형(身體刑)
1) 입법자에 대한 반항
2) 군중의 분노 표출
3. 앙시앵 레짐 이후의 변화된 형벌 양식(樣式)
1) 경제발전에 따른 형벌의 목적 변화
2) 규율을 통한 통제
4. 모든 체제와 집단이 감옥

본문내용

어서 경제적 측면에서 동시에 의미가 있었던 것이다. 이것을 통해 죄수들의 사역을 공개함으로써 저항적 시민들이나 반체제적 사람들의 저항의지를 약화시키고 의지를 꺾는 도덕적 효과를 노릴 수 있었다고 푸코는 역설한다.
2) 규율을 통한 통제
이어서 '제3부 규율'에서 푸코는 지배자들은 이러한 앙시앵 레짐 이후의 이러한 조치와 학문적 작업이 결국 사회의 인간화에 기여하기는커녕 권력의 강화에 이바지하면서 인간의 위치를 더욱 고립화시켰다고 통렬하게 꼬집는다. 그들은 범법행위에 상응하는 처벌규정을 만들기 위해 범법자들의 유형과 그들이 속한 사회계급과 그들이 범한 범죄형태를 철저히 조사하고 서류철을 작성하여 분류하였다. 범법자는 이 과정에서 개인화되고 하나의 사물처럼 대상화된다. 격리 수용된 감옥에서 엄격한 일과시간표에 따라 움직이고 끊임없이 감시받는 죄수들은 자동인형처럼 메커니즘의 육체가 되어 길들여진다. 감옥 안에서 죄수들을 다루는 이러한 기술은 병영병원공장학교 등의 테두리 속에서 권력체제를 통해 확산된다. 이러한 권력기관에서 수용된 사람들을 통제하고 이용하는 기술의 경우, 공통된 규율을 따른다.
이러한 규율을 치밀하게 구성이 되어 개개인들이 규율에 복종할 수 있도록 하고, 군인들이나 공장의 노동자들은 기계의 연장된 모습이나 다름없도록 되게 하고, 개인이 신체에 시간의 의미를 주입하여 개인의 능력이 최대한도로 효과적이 되도록 신체의 발전단계를 구분지어 신체를 훈육한다. 그리고 이 규율이 근대화하는 과정에 인간이 개체화되어 가고 거대한 메커니즘의 부속품처럼 되어가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규율은 인간의 육체를 통제하면서 동시에 개별자로 만든다. "규율은 개인을 '제조한다', 규율은 개인을 권력행사의 목적이자 수단으로 삼는 권력의 특수한 기술이다". 푸코의 이 말은 규율, 개인, 권력의 상관관계를 명쾌하게 설명해 주는 말이다. 결국 개인이 제조되는 방법은 규율엄수와 징계, 감독과 제재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권력은 이러한 방법으로 가시적인 폭력을 사용하지 않고, 자기의 횡포와 전제성을 은폐하면서 그 기능을 효과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권력은 자기 모습을 내보이지 않으면서 모든 것을 보게 되는 일망감시장치의 구조를 통해 개인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완벽하게 실현할 수 있었다고 한다. 요컨대 육체적으로 잔인하게 처벌하는 방법보다 감시하는 방법에 의존한 권력의 전략으로 인간의 육체는 규율에 길들여진 것이다.
4. 모든 체제와 집단이 감옥
'제4부 감옥'에서 푸코는 결국 근대적 감옥과 모든 사법제도는 범법자들을 교화(敎化)시키고 그들을 선량한 시민으로 변화시키기는커녕 새로운 범죄자들을 만들어내는 제도적 장치가 되었고, 권력은 이것을 정치적경제적으로 이용했다는 것이 푸코의 주장이다. 과거에는 위험한 범죄자를 단순히 격리시키는 것에 불과했던 감금은 수감에 대한 절대적 권력의 감시로 확산되었으며, 이러한 권력의 전략으로 인간은 개인화되어 왔고, 일망감시장치의 구조와 같은 감시체제로 현대사회의 인간은 합리적인 예속화의 길로 빠져들었다. 개인은 조각조각 분리되었고, 타자와의 연결은 파괴되었으며, 공동체의 연대의식이 분열되어 모든 역사적 과정은 권력에 의한 인간에 대한 개체화 과정이라고 한다. 온갖 체제와 권력자들이 포진한 국가는 그러한 맥락에서 가장 전체주의적인 권력형태를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에 푸코는 "필요한 일은 중앙의 탑에 감독자를 배치하고 각 방에 광인, 환자, 유죄선고 받은 사람, 노동자 혹은 학생들을 가두어 놓는 일"이라고 말했을 것이다. 이를 통하여 그는 우리가 속한 이 모든 테두리들과 범주(範疇)들이 감옥이라는 테제를 제시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4.05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98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