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osphate: 대사조절에 중요한 역할
- L-tryptophan: 다량투여시 eosinophilia-myalgia 증후군 초래
- Magnesium sulfate
(2) 약초 제제
많은 약초가 검증이 없이 사용되고 있으며 효과나 부작용은 확실치 않다.
- 자운영속(Astralagus): 면역증가 목적
- Echinacea: 자색구과의 뿌리이용, 면역증가목적
- 마늘: 식용의 파, 마늘과 (양파, 골파, chives, shallots)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 인삼: 면역증가
- 은행잎(Gingko biloba): 뇌혈류부족으로 인한 뇌부전시 효과
- 캄프리(comfley):Symphytum officinale의 뿌리나 잎 주로 차로 먹는다.
Tanin과 lasiocarpine 함유하는데 발암물질로 알려져있다.
Pyrrolizidine이 고농도함유된 캄프리 제제는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 앵초유(Primrose oil): Oenothera biennis의 씨앗제제는 면역기관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 려져 있다.
- Shiitake 버섯 추출물: lentinan 면역증진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 Borage seed oil(지치의 일종): 면역 증진작용
- 카르세틴(Quercetin): 황색 유기성염기( bioflavinoid)가 야채와 과일에 있다. 청록 조류(algae), 알레르기나 천식에 좋다고 알려져있지만 확실치 않다.
- Bromelain: 파인에플에서 얻은 효소제
(3) 진통소염제 (NSAIDs): 근육통이나 두통치료
Naproxen, Ibuprofen, Piroxicam, Cyclobenzaprine(Flexeril)
(4) 항우울제: 우울증 치료하고 휴식을 증진시킨다. 용량 감소시켜서 사용
삼환계 항우울제: doxepine, amitriptyline, desperamine, nortriptyline
선택적 세로토닌재흡수 억제제(SSRIs): 우울증 치료 fluoxetine(Prozac), sertraline(Zoloft),praxetine(Paxil), trazodone(Desyrel)
Venlafaxine(Effexor): 세로토닌, norepinephrine 재흡수 억제제
bupropion(Wellbutrin): 항경련제, 근이완 작용이 없다.
항불안약: benzodiazepine
수면제: clonazepan, triazolam
(5) 칼슘 통로 차단제: nimodipine, nicardipine: 환자의 뇌혈류 증진
(6) H2 수용제 차단제: 면역을 증가?
(7) 면역 억제제:
Azathioprine(Imuran): 만성 피로 증후군이 면역기능이상이라고 생각 부작용이 심함 : 조혈, 위장관계 장애, 면역억제로 감염, 구역, 구토, 설사, 열, 발진 항암제: cyclophosphamide 와 methotrexate: 면역장애로 생각하며 사용하지만 독성이 문제다.
(8) 다른 처방들
- Naltrexone(Trexan) : opioid 길항제
큰 효과없고 부적절하다고 생각
-Pentoxifylline (trenal) : 점도를 떨어뜨려 혈류개선
기전은 아직 확실치않다. CFS환자가 뇌혈류부족에 의한 장애라고 생각, 아직은 실험적
(9) Sodium retension agent / 베타차단제
- Fludrocortisone(Florinef): 신장에서 혈장으로 나트륨이온 재흡수시키는 합성부신피질호르몬 CFS 환자 에 시험적 사용 (tilt table test 양성시)
- 베타차단제 : 고혈압치료제(tilt table test 양성시) 아직 연구가 되어있지 않음 atenolol, propranolol, betaxolol 등
(10) 알레르기 약제
- terfenadine, astemizolo, hydroxyzine
(11) 기타 약제
- 감마 글로부린 (Gammar), Klonopin(근육내주사하는 IMg G)
CFS가 면역질환이라는 가정하에 이용, 주사부위통증이나 압통, 과민반응이 올수있다.
- 앰프리젠(Ampligen)
합성 핵산물질로서 인터페론 생성자극, 아직 실험적
- Kutapressin
돼지간에서 추출. 실험적으로 사용
- Hydrogen peroxide주사 : 이단적 치료라 할수있다., 뇌졸증 일으킬 수 있다.
- 고부위 대장관장 : 효과가 알려져있지 않으며 대장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4. 침술요법
여기에 소개되는 치료법은 주장하는 사람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현재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L-tryptophan: 다량투여시 eosinophilia-myalgia 증후군 초래
- Magnesium sulfate
(2) 약초 제제
많은 약초가 검증이 없이 사용되고 있으며 효과나 부작용은 확실치 않다.
- 자운영속(Astralagus): 면역증가 목적
- Echinacea: 자색구과의 뿌리이용, 면역증가목적
- 마늘: 식용의 파, 마늘과 (양파, 골파, chives, shallots)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 인삼: 면역증가
- 은행잎(Gingko biloba): 뇌혈류부족으로 인한 뇌부전시 효과
- 캄프리(comfley):Symphytum officinale의 뿌리나 잎 주로 차로 먹는다.
Tanin과 lasiocarpine 함유하는데 발암물질로 알려져있다.
Pyrrolizidine이 고농도함유된 캄프리 제제는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 앵초유(Primrose oil): Oenothera biennis의 씨앗제제는 면역기관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 려져 있다.
- Shiitake 버섯 추출물: lentinan 면역증진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 Borage seed oil(지치의 일종): 면역 증진작용
- 카르세틴(Quercetin): 황색 유기성염기( bioflavinoid)가 야채와 과일에 있다. 청록 조류(algae), 알레르기나 천식에 좋다고 알려져있지만 확실치 않다.
- Bromelain: 파인에플에서 얻은 효소제
(3) 진통소염제 (NSAIDs): 근육통이나 두통치료
Naproxen, Ibuprofen, Piroxicam, Cyclobenzaprine(Flexeril)
(4) 항우울제: 우울증 치료하고 휴식을 증진시킨다. 용량 감소시켜서 사용
삼환계 항우울제: doxepine, amitriptyline, desperamine, nortriptyline
선택적 세로토닌재흡수 억제제(SSRIs): 우울증 치료 fluoxetine(Prozac), sertraline(Zoloft),praxetine(Paxil), trazodone(Desyrel)
Venlafaxine(Effexor): 세로토닌, norepinephrine 재흡수 억제제
bupropion(Wellbutrin): 항경련제, 근이완 작용이 없다.
항불안약: benzodiazepine
수면제: clonazepan, triazolam
(5) 칼슘 통로 차단제: nimodipine, nicardipine: 환자의 뇌혈류 증진
(6) H2 수용제 차단제: 면역을 증가?
(7) 면역 억제제:
Azathioprine(Imuran): 만성 피로 증후군이 면역기능이상이라고 생각 부작용이 심함 : 조혈, 위장관계 장애, 면역억제로 감염, 구역, 구토, 설사, 열, 발진 항암제: cyclophosphamide 와 methotrexate: 면역장애로 생각하며 사용하지만 독성이 문제다.
(8) 다른 처방들
- Naltrexone(Trexan) : opioid 길항제
큰 효과없고 부적절하다고 생각
-Pentoxifylline (trenal) : 점도를 떨어뜨려 혈류개선
기전은 아직 확실치않다. CFS환자가 뇌혈류부족에 의한 장애라고 생각, 아직은 실험적
(9) Sodium retension agent / 베타차단제
- Fludrocortisone(Florinef): 신장에서 혈장으로 나트륨이온 재흡수시키는 합성부신피질호르몬 CFS 환자 에 시험적 사용 (tilt table test 양성시)
- 베타차단제 : 고혈압치료제(tilt table test 양성시) 아직 연구가 되어있지 않음 atenolol, propranolol, betaxolol 등
(10) 알레르기 약제
- terfenadine, astemizolo, hydroxyzine
(11) 기타 약제
- 감마 글로부린 (Gammar), Klonopin(근육내주사하는 IMg G)
CFS가 면역질환이라는 가정하에 이용, 주사부위통증이나 압통, 과민반응이 올수있다.
- 앰프리젠(Ampligen)
합성 핵산물질로서 인터페론 생성자극, 아직 실험적
- Kutapressin
돼지간에서 추출. 실험적으로 사용
- Hydrogen peroxide주사 : 이단적 치료라 할수있다., 뇌졸증 일으킬 수 있다.
- 고부위 대장관장 : 효과가 알려져있지 않으며 대장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4. 침술요법
여기에 소개되는 치료법은 주장하는 사람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현재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추천자료
만성신부전증의 문헌고찰
만성 신부전
만성신부전증식사요법
만성폐쇄성폐질환
만성신부전
만성신부전 간호과정사례연구
만성 신부전
방사선의급성및만성장해
[전염병][호흡기계 전염병][접촉성 전염병][만성 전염병][소화기계][보건복지부 지정][절지동...
만성간염_ 만성간염환자식단, 만성간염식단, 만성간염치료식단, 만성간염식이요법
간염(바이러스성간염, 약물성간염, 중독성간염, 알코올성간염, 만성지속성간염, 만성활동성간염)
COPD 케이스 스터디 A+ ( COPD CASE STUDY, 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 만성폐쇄성 폐...
[생활과건강 당뇨병] 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만성 당뇨 합병증, 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