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시작
2) 우리나라 가정간호의 역사
기원 : 원주기독병원에서 1974년 병원 내에 지역사회 보건간호과를 개설하여 퇴원한 환자들을 가정 방문하여 간호 제공, 인근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관리능력을 향상
가정간호사 제도의 법적 근거 : 1990년 1월 의료법 시행규칙 제 54조, 업무분야별 간호사 자격 기준 제4항에 의거
1990년 : 보건사회부에서 가정간호과정에 관한 고시 발표
- 이론 353시간 +실습 248시간 = 총 600시간 이수
1994~1999년 시범사업
:1994년 9월부터 4개 종합병원 선정하여 시범 실시 1997년 전국 45개 기관 확대 실시
2000년
-의료법 제 56조 : 가정전문간호사로 개칭
-의료법 시행규칙 제22조 : 가정간호대상자, 업무의 범위, 담당인력 등 가정간호사업의 세부사항에 관한 규정 명시
<가정간호 시범센터>
- 서울시 간호사회 : 미국의 VNA(visiting nurse association)을 본따 1993년 7월 민간단체에서 유일하게 비영리적인 봉사사업으로 가정간호시범센터를 개설운영
광주시, 대구시, 대전시, 춘천시, 강원도, 인천시 간호사회로 확대
현재, 예산지원을 받지 못하는 지회는 사업이 중단
- 사업성과 : 1993년 54명 환자에게 857회 가정간호서비스 제공1998년 359명 3435회
<현 우리나라 가정간호제도의 문제점>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경우에만 이용이 쉬움
저소득층 주민들과 노인환자들의 이용접근도는 매우 취약
가정 내에 방치되어 있는 가정간호대상자들의 이용접근도를 높일 수 있는 지역사회 중심의 가정간호제도로 발전시켜야 함
2) 우리나라 가정간호의 역사
기원 : 원주기독병원에서 1974년 병원 내에 지역사회 보건간호과를 개설하여 퇴원한 환자들을 가정 방문하여 간호 제공, 인근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관리능력을 향상
가정간호사 제도의 법적 근거 : 1990년 1월 의료법 시행규칙 제 54조, 업무분야별 간호사 자격 기준 제4항에 의거
1990년 : 보건사회부에서 가정간호과정에 관한 고시 발표
- 이론 353시간 +실습 248시간 = 총 600시간 이수
1994~1999년 시범사업
:1994년 9월부터 4개 종합병원 선정하여 시범 실시 1997년 전국 45개 기관 확대 실시
2000년
-의료법 제 56조 : 가정전문간호사로 개칭
-의료법 시행규칙 제22조 : 가정간호대상자, 업무의 범위, 담당인력 등 가정간호사업의 세부사항에 관한 규정 명시
<가정간호 시범센터>
- 서울시 간호사회 : 미국의 VNA(visiting nurse association)을 본따 1993년 7월 민간단체에서 유일하게 비영리적인 봉사사업으로 가정간호시범센터를 개설운영
광주시, 대구시, 대전시, 춘천시, 강원도, 인천시 간호사회로 확대
현재, 예산지원을 받지 못하는 지회는 사업이 중단
- 사업성과 : 1993년 54명 환자에게 857회 가정간호서비스 제공1998년 359명 3435회
<현 우리나라 가정간호제도의 문제점>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경우에만 이용이 쉬움
저소득층 주민들과 노인환자들의 이용접근도는 매우 취약
가정 내에 방치되어 있는 가정간호대상자들의 이용접근도를 높일 수 있는 지역사회 중심의 가정간호제도로 발전시켜야 함
추천자료
건강가정의 필요성에 대해 서술 - 건강가정의 요인, 필요성, 시사점
건강가정 이론에는 “생태학적 접근, 생애주기론, 가족발달이론 및 상호작용적 접근”의 4가지...
가족복지의 개념과 관련정책 및 법안 (가족복지의 개념, 가족복지정책, 가족복지 관련법, 건...
[가족복지론] 건강가정기본법을 근간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건강가정센터(3곳 이상)의 프로...
건강가정사업의 내용과 건강가정사업의 접근 방법별 사업에 관하여 논하시오 (가족교육,가족...
건강가정기본법이 우리나라 가족정책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 사회와 가족의 변화에 따른 건...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알아보라 (건강가정지원센터)
주변의 가정문제의 예를 찾아보고 건강가정사로서 어떠한 역할이 기대되는지 설명하시오. (건...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현재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과 보완이 필요한 역할에 대하여 논하시오. (...
현대사회에서 건강한 가정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고, 건강가정정책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논...
건강가정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감안하여 건강가정이 유지되기 위한 구체적인 요건을 3가지 이...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네트워크 개념 및 구축 필요성을 제시하고, 학습자가 거주하고 있는 지역...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네트워크 개념 및 구축 필요성을 제시하고 학습자가 거주하고 있는 지역...
건강가정론)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중 1개의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이에 대해 평가하여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