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가정간호> 정리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시작
2) 우리나라 가정간호의 역사
기원 : 원주기독병원에서 1974년 병원 내에 지역사회 보건간호과를 개설하여 퇴원한 환자들을 가정 방문하여 간호 제공, 인근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관리능력을 향상
가정간호사 제도의 법적 근거 : 1990년 1월 의료법 시행규칙 제 54조, 업무분야별 간호사 자격 기준 제4항에 의거
1990년 : 보건사회부에서 가정간호과정에 관한 고시 발표
- 이론 353시간 +실습 248시간 = 총 600시간 이수
1994~1999년 시범사업
:1994년 9월부터 4개 종합병원 선정하여 시범 실시 1997년 전국 45개 기관 확대 실시
2000년
-의료법 제 56조 : 가정전문간호사로 개칭
-의료법 시행규칙 제22조 : 가정간호대상자, 업무의 범위, 담당인력 등 가정간호사업의 세부사항에 관한 규정 명시
<가정간호 시범센터>
- 서울시 간호사회 : 미국의 VNA(visiting nurse association)을 본따 1993년 7월 민간단체에서 유일하게 비영리적인 봉사사업으로 가정간호시범센터를 개설운영
광주시, 대구시, 대전시, 춘천시, 강원도, 인천시 간호사회로 확대
현재, 예산지원을 받지 못하는 지회는 사업이 중단
- 사업성과 : 1993년 54명 환자에게 857회 가정간호서비스 제공1998년 359명 3435회
<현 우리나라 가정간호제도의 문제점>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경우에만 이용이 쉬움
저소득층 주민들과 노인환자들의 이용접근도는 매우 취약
가정 내에 방치되어 있는 가정간호대상자들의 이용접근도를 높일 수 있는 지역사회 중심의 가정간호제도로 발전시켜야 함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4.11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07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