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러마케팅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주제선정동기
2.컬러마케팅의 정의
3.색채 심리 이론
4.컬러마케팅의 시초
5.컬러마케팅의 중요성
1)기억력을 강화시킨다.
2)브랜드 차별화를 가능하게 한다.
3)소비적 욕구를 충족시킨다.
6.컬러 마케팅의 성공사례
7.실패사례
8.컬러마케팅 성공요소
1)컬러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라
2)오감을 자극하라
3)자신만의 이미지를 구축하라
4)유행색과 미래색을 예측하라.
9.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아니라 촉각, 미각, 청각, 후각 등 오감을 적절히 가미한 공감각 효과로 컬러 이미지를 극대화해야 한다. 컬러의 공감각 효과를 통해 소비자에게 체험을 제공하여 감성적 만족을 높여줄 수 있어야 한다. 맛있는 컬러라든가 상쾌한 컬러처럼 오감에 그 심리적 효과를 이전시키는 컬러가 상품의 가치를 배로 높일 수 있다. 예컨대 한국 존슨의 방향제 브랜드 그레이드는 향기나는 핑크 컬러를 구현하기 위해 실제로 향기나는 야외 옥외 광고판을 설치하여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이처럼 컬러의 공감각 효과는 전통적으로 생활용품, 식품, 화장품 업계에서 중요시되었는데 최근에는 가전, IT 등 다양한 산업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예컨대 애플은 블루베리, 포도, 라임, 귤, 딸기의 다섯 가지 컬러를 아이맥 컴퓨터에 적용해 딱딱한 데스크탑 환경에 반투명한 젤리처럼 먹고 싶은 컬러를 적용하여 많은 인기를 얻었다. 더불어 ‘먹고, 갖고 싶다’라는 광고 문구를 사용해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였다. 또한 LG 초콜릿 폰 역시 초콜릿을 연상시키는 디자인과 상품명으로 퓨어 블랙을 먹고 싶은 휴대폰으로 구현하는데 성공을 거둔 사례이다.
더 나아가 공감각 효과뿐만 아니라 웰빙 등과 같은 정서적 욕구를 자극하는 수단으로 컬러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코오롱 건설은 컬러 테라피 아파트 개념을 도입하였는데, 각기 다른 색상으로 집안의 방을 꾸며 입주자의 호르몬 기능 안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한 눈에 사로잡아라
소비자가 제품을 구입하는 경우 컬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국 컬러 리서치 연구소(ICR)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비자의 상품 선택은 초기 90초 안에 잠재적으로 결정된다고 한다. 그리고 상품이 좋고 싫다는 판단의 60~90% 정도가 컬러에 의해서 좌우된다고 한다.
기업은 자사 상품의 가치를 컬러로 명쾌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소비자들에게‘아하! 바로 이거야!’라는 감탄사를 컬러로 유발해야 한다. 소위‘Feel이 오는 컬러’가 바로 그것이다. 예컨대 루이비통은 100여 년 동안 지켜온 갈색의 모노그램 가방에 부가하여 빨강, 주황 등 화려한 컬러의 예삐 브랜드(가방)를 새롭게 출시하여 많은 젊은 여성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루이비통의 클래식한 스타일보다는 화려함을 원했던 소비자들은 예삐의 컬러가 주는 신선함에 매료당한 것이다.
Feel이 오는 컬러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업 고유의 가치 제안을 명확히 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체계적인 컬러 플래닝(Color Planning) 작업이 필수적이다. 상품기획과 디자인 단계에서부터 컬러 플래닝이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컬러 플래닝은 시장의 색상 정보를 수집하고, 목표 고객의 성향과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자사 제품의 컬러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의도하는 컬러를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품기획, 디자인, 생산 부문의 유기적인 공조 체제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제품을 다 만들고 나서 뒤늦게 색상을 입히는 우를 범하지 않아야 한다.
뉴비틀은 귀엽고 깜찍함의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디자인뿐만 아니라 컬러에도 매우 공을 들인 사례로 유명하다. 컬러 플래닝 팀은 스카이 블루, 핑크색 등 깜짝 놀랄 정도로 인상적인(Remarkable) 컬러의 느낌을 주기 위해 상품개발 초기 단계에서부터 디자인 팀과 협업 하에 수백 번의 컬러 시험을 반복하였다고 한다.
3)자신만의 이미지를 구축하라
컬러 마케팅은 기업 고유의 이미지를 확립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브랜드 네임, CI, 슬로건 등도 중요한 요소이지만 컬러는 이보다 더 빠르게 소비자들에게 인식된다. 예컨대 하이네켄 = 그린, 코닥 = 노란색 등과 같이 컬러는 소비자들이 무의식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기호 역할을 수행한다.
컬러 마케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제품 차원뿐만 아니라 소비자와의 접점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의 다양한 마케팅 수단 차원으로 컬러 이미지를 일원화시켜야 한다. 기업은 컬러 마케팅이 제품 개발, 머천다이징, 패키지 등 제품 차원으로 한정되었다면 보다 적극적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광고, PR, 판촉 등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요소와의 접목은 물론 점포, 유통센터, 운송기기 등 물류 과정까지 포함시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삼성은 각종 문화와 스포츠의 행사를 후원할 때 파란색을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 프로야구의 삼성 라이온즈와 프리미어리그의 첼시 구단 역시 파란색 유니폼으로 삼성의 컬러마케팅을 활용하고 있다.
4)유행색과 미래색을 예측하라.
컬러 마케팅의 목적을 한마디로 표현하면‘잘 팔리는 색을 만들어 소비자의 마음을 얻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유행색과 미래색을 적시에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컬러의 빛을 발하도록 디자인 등 제품의 기본 품질이 탄탄해야만 한다. 하지만 적지 않은 기업들이 단순히 현재 시장에서 뜨고 있는 유행색을 무작정 따라가는 경향이 있다. 유행색은 진부해지기 쉬운 성향을 가지고 있다. 일시적인 열풍인 패드일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컬러 트렌드에 대한 면밀한 조사 없이 이루어지는 컬러 마케팅은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100년 전통의 조니워커 블루라벨 위스키처럼 장기적인 관점의 고품격 컬러 마케팅이 필요한 시점이다.
9. 결론
마케팅에서 컬러와 같은 시각적인 요소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앞에서 옐로콜라의 사례에서 보았듯이, 컬러만을 단독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따른다. 따라서 1차적으로 상기상품군이 형성된 이후에 통합적인 마케팅 차원에서 적절하게 활용할 때 효율성을 극대화 하게 될 것이다.
참고자료
LG 경제연구원
전자신문, CEO Prism / 2005. 10.14
한국색채교육원 www.ilovecolor.co.kr
한국색체연구소 www.kcri.or.kr.
http://blog.naver.com/aggmanager
http://blog.naver.com/shimjieun1
http://blog.naver.com/sarangeu
http://www.iricolor.com/
중앙일보 미디어마케팅연구소
네이버 지식인
네이버 백과사전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4.14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10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