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의 목적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실험 기구
실험 방법
실험 결과
결과 분석
고찰 및 결론
실험의 원리 및 기본이론
실험 기구
실험 방법
실험 결과
결과 분석
고찰 및 결론
본문내용
수점 둘째 자리까지만 표현되도록 반올림했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했다.
③ 실험에 나온 저항 4개 외에도 전선이나 검류계등의 내부의 저항도 있었다.
2.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약간의 오차는 있었지만 실제 측정값과 이론적인 식으로 계산한 결과가 비슷한 것으로 보아 대체적으로 앞서 알아본 공식이 실제로 성립함 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휘트스톤 브릿지 사이에 전위차가 없다면 (즉,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면)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저항끼리의 곱은 같다는 사실과 (R1·R3 = R2·R4), 같은 조건에서 기준저항값과 와이어의 길이(L1,L2)를 안다면 미지 저항 값을 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결과 발생 한 오차로 인해 또 한 가지 알 수 있는 것은, 브릿지 사이에 전류가 조금이라도 흐른다면 위의 식은 정확히 성립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휘트스톤 브릿지를 이 용해 미지저항의 정확한 저항값을 알고 싶다면 브릿지 사이에는 전류가 전혀 흐르 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휘트스톤 브릿지는 실생활에서 보 다 정밀한 저항값을 구하는데 사용된다.
※ 참고문헌 : 물리학실험 교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③ 실험에 나온 저항 4개 외에도 전선이나 검류계등의 내부의 저항도 있었다.
2.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약간의 오차는 있었지만 실제 측정값과 이론적인 식으로 계산한 결과가 비슷한 것으로 보아 대체적으로 앞서 알아본 공식이 실제로 성립함 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휘트스톤 브릿지 사이에 전위차가 없다면 (즉,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면)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저항끼리의 곱은 같다는 사실과 (R1·R3 = R2·R4), 같은 조건에서 기준저항값과 와이어의 길이(L1,L2)를 안다면 미지 저항 값을 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결과 발생 한 오차로 인해 또 한 가지 알 수 있는 것은, 브릿지 사이에 전류가 조금이라도 흐른다면 위의 식은 정확히 성립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휘트스톤 브릿지를 이 용해 미지저항의 정확한 저항값을 알고 싶다면 브릿지 사이에는 전류가 전혀 흐르 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휘트스톤 브릿지는 실생활에서 보 다 정밀한 저항값을 구하는데 사용된다.
※ 참고문헌 : 물리학실험 교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