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소화기계해부생리
Ⅰ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
1. 소화관을 이루는 기관.
(1)입
(2)인두
(3)식도
(4)위
(6)소장
(7)대장
2.부속기관
(1)타액선
(2)치아
(3)췌장
(4)간과 담낭
3.소화기계의 기능
4.입, 인두, 식도의 소화작용
(1)입에서의 음식섭취 및 소화작용
(2)음식물 추진-연하와 연동운동
5.위의 소화작용
(1)음식물 분해
6.소장의 소화작용
(1)음식물 분해와 흡수
1.혈액과 소변검사
(1)CEA
(2)D-xylose 흡수검사
2.대변검사
(1)잠혈검사
(2)대변배양
(3)대변지방검사
3.방사선검사/영상촬영
(1)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
(2)외과적 담낭 조영술
(3)상부 위장관 촬영술
(4)내시경적 담낭 조영술
4.내시경
(1)식도, 위, 십이지장 내시경검사
(2)S상결장경 검사
Ⅰ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
1. 소화관을 이루는 기관.
(1)입
(2)인두
(3)식도
(4)위
(6)소장
(7)대장
2.부속기관
(1)타액선
(2)치아
(3)췌장
(4)간과 담낭
3.소화기계의 기능
4.입, 인두, 식도의 소화작용
(1)입에서의 음식섭취 및 소화작용
(2)음식물 추진-연하와 연동운동
5.위의 소화작용
(1)음식물 분해
6.소장의 소화작용
(1)음식물 분해와 흡수
1.혈액과 소변검사
(1)CEA
(2)D-xylose 흡수검사
2.대변검사
(1)잠혈검사
(2)대변배양
(3)대변지방검사
3.방사선검사/영상촬영
(1)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
(2)외과적 담낭 조영술
(3)상부 위장관 촬영술
(4)내시경적 담낭 조영술
4.내시경
(1)식도, 위, 십이지장 내시경검사
(2)S상결장경 검사
본문내용
수 없는 부적당한 환자.
-검사과정-①환자를 금식시킨 뒤 약 8온스의 바륨을 삼키게 한다.
②환자를 복위, 앙와위, 측위 등 몇 가지 체위로 변경시켜 주어 바륨이 중력에 의해 상부 위장관으로 잘 내려가도록 한다.
③방사선과 의사의 재량에 따라 순간촬영을 한다.
④조영제가 하강하였을 때 하부 식도의 위치, 개방성, 바륨이 채워지지 않는 결 함부위가 있는지 확인.
-금기:장폐색이 있는 환자, 상부 위장관의 천공이 의심되는 환자, 비협조적인 환자.
(4)내시경적 담낭 조영술
-정상:정상 담도.
-검사과정:①환자는 검사 전날 자정부터 금식.
②검사를 위해 환자를 앙와위나 측위로 누인다.
③환자는 보통 정맥주사로 diazepam 이나 midazolam을 맞는다.
④내시경의 accessory lumen으로 팽대부를 통해 작은 카테터를 총담관이나 췌장 관으로 들어가게 한다.
⑤조영제를 주사한 후 X-선 사진을 찍는다.
-금기사항:비협조적인 환자, 이전의 상부위장관 수술로 십이지장 팽대부가 없는 환자, 십이 지장 게실이 있는 환자, 급성 췌장염 환자.
4.내시경
(1)식도, 위, 십이지장 내시경검사
-정상:정상적인 식도, 위, 그리고 십이지장.
-잠재적 합병증:①내시경에 의한 식도, 위, 그리고 십이지장의 천공.
②생검을 위해 습득된 검사물을 채취한 부위의 출혈.
③진정제의 투여에 의한 둔화의 결과로 위 내용물의 폐로의 흡인.
④진정제의 투여로 인한 저혈압.
-방해요인:①위의음식
②과다한 위장관의 출혈.
-검사과정:①환자는 반복위의 자세로 보통 이루어짐.
②금식이 이루어진 환자는 검사 전에 midazolam으로 보통 진정됨.
③분비물 감소를 위하여 환자에게 아트로핀을 투여.
④내시경을 구강, 식도, 위장, 십이지장으로 서서히 통과시킴.
⑤내시경 튜브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공기를 불어 넣는다.
⑥내시경검사자는 이 검사를 30분 안에 수행한다.
-금기:완전히 협조를 할 수 없는 환자, 삼각한 위장관의 출혈이 있는 환자, 식도게실이 있 는 환자, 천공이 의심되는 환자, 최근에 위장관의 수술을 받은 적이 있는 환자.
(2)S상결장경 검사
-정상:정상적인 항문, 직장, S상결상.
-잠재적 합병증:대장의 천공, 작장 혹은 대장의 출혈.
-방해요인:①장 준비의 부족
②직장 출혈.
-검사과정:①검사를 위해서는 두 번의 Fleet 관장으로 충분하다.
②구강하제는 60cm보다 더 멀리 검사할 때 요구된다.
③검사 당일 아침은 가볍게 한다.
④환자는 내시경 탁자나 침대 위에 좌측와위로 눕는다.
⑤단단하거나 유연성이 있는 S상 결장 내시경을 직장에 놓고 최대한으로 투입할 수 있는 곳까지 전지시킨다.
⑥검사과정 동안 하부위장관을 좀 더 팽창시키기 위해서 공기가 뿜어 넣어진다.
-금기:①비협조적인 환자
②게실이 있는환자.
③통증이 있는 항문직장질 환자.
④심한 출혈이 있는환자.
⑤대장에 천공이 의심되는 환자.
소화기계 건강사정
1.신체사정
1)건강력
(1)인구통계학적 자료
-환자의 연령, 성별, 종교, 직업 등.
-많은 소화기계의 문제들이 연령이나 성별과 관련.
(2)주호소
-발병:언제 문제를 알게 되었는가? 발병이 점진적이었나 갑작스럽게 나타났는가?
-기간:얼마나 오랫동안 문제가 있었는가?
-질과 특성:환자에게 문제를 기술하도록 한다. 문제가 설사라면 대변의 모양, 냄새, 색깔, 경도를 확인.
-강도:환자에게 문제가 얼마나 나쁜지 1부터 10까지의 척도를 주고 기술.
-부위:문제가 나타난 부위가 어디인가?
-촉진요인:상태를 악화 또는 완화시키는 것이 있는가?
-완화요인: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 있는가?
-관련된 증상:문제가 있을 때 어떤 다른 증상들이 초래되는가?
-위장계의 공통되는 증상:오심, 구토, 위통, 복통, 설사, 변비, 복부팽만, 고창, 연하고란, 가슴앓이, 조기 포만감 및 소화불량 등.
-간, 담도 및 췌장과 관련된 증상:위장 장애로 보고
(3)과거력
-약물치료:①의사의 처방에 의해 복용중이거나 복요했던 약물과 매약사용에 대해 상세한 정 보를 수집.
②아스피린이나 아스피린제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를 복용한 적이 있는지 질 문.
③비타민이나 미네랄 보충제의 복용여부 특히 철분제제에 관해 질문.
④배변을 돕기 위해 완화제를 사용하는지, 관장을 하는지도 질문.
-알레르기:①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질문.
②환자가 음식 알레르기가 있다면 경련, 고창, 설사오 같은 위장계의 증상과 두 드러기나 호흡곤란 같은 다른 증상들이 있었는지 조사.
(4)개인력과 가족력
-①환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에 대해 기록.
②장습관의 변화나 이유없는 체중감소가 있었는지를 질문.
③가족중 암이나 궤양성 큰 창자염 등을 앓았는지 질문.
④황달, 알콜 중독증, 간염, 결장암, 비만 등과 같은 질환데 대해서도 질문.
(5)사회심리력과 생활 방식
-①직업
②영양상태
③습관.
2)신체검진
(1)구강사정
(2)복부사정
<<복부 4구역>>
-시진:①환자의 복부 피부와 윤곽을 봄으로써 시진을 시작.
②발진, 변색, 반흔, 점상출혈, 선, 터진자국과 확장된 정맥들이 있는지 사정.
③배꼽은 모양과 위치, 색 등을 관찰.
④간호사는 옆구리가 팽륜 되었는지, 피부가 반짝거리며 팽팽하지는 않는지 등에 대 해서도 사정.
⑤배대동맥에 의한 박동과 연동운동에 대해서 관찰.
-청진:복부에 대한 청진은 청진기의 판막형을 이용하여 장음을 듣는다.
-타진:복부에 있는 기관들의 크기와 위치, 수분과 공기, 덩어리 등을 찾기 위해서 사용.
-촉진:①간호사는 한 구역에서 다른 구역으로 옮겨가는 체계적인 방식으로 복부를 가볍게 (1~2cm)누르면서 검사를 시작.
②간호사는 덩어리, 반동압통, 직접적인 압통 부위 등을 사정.
③압통부위는 조심스럽게 마지막에 촉진.
(3)직장과 항문사정
-시진:①손으로 둔부를 벌려 시진.
②비정상적인 병변을 확인하기 위해 환자에게 배변시와 같이 힘을 주라고 하여 항문 탈출, 용종, 내치질, 치열 등을 확인.
-촉진:①간호사는 장갑을 끼고 검지에 윤활제를 바르고 배꼽방향쪽으로 직장과 항문 속으로 서서히 삽입.
②환자는 배변시와 같은 힘이 주어져 불편감을 느끼므로 입으로 호흡하도록 설명.
③손가락 삽입시 항문조임근의 강도를 사정.
-검사과정-①환자를 금식시킨 뒤 약 8온스의 바륨을 삼키게 한다.
②환자를 복위, 앙와위, 측위 등 몇 가지 체위로 변경시켜 주어 바륨이 중력에 의해 상부 위장관으로 잘 내려가도록 한다.
③방사선과 의사의 재량에 따라 순간촬영을 한다.
④조영제가 하강하였을 때 하부 식도의 위치, 개방성, 바륨이 채워지지 않는 결 함부위가 있는지 확인.
-금기:장폐색이 있는 환자, 상부 위장관의 천공이 의심되는 환자, 비협조적인 환자.
(4)내시경적 담낭 조영술
-정상:정상 담도.
-검사과정:①환자는 검사 전날 자정부터 금식.
②검사를 위해 환자를 앙와위나 측위로 누인다.
③환자는 보통 정맥주사로 diazepam 이나 midazolam을 맞는다.
④내시경의 accessory lumen으로 팽대부를 통해 작은 카테터를 총담관이나 췌장 관으로 들어가게 한다.
⑤조영제를 주사한 후 X-선 사진을 찍는다.
-금기사항:비협조적인 환자, 이전의 상부위장관 수술로 십이지장 팽대부가 없는 환자, 십이 지장 게실이 있는 환자, 급성 췌장염 환자.
4.내시경
(1)식도, 위, 십이지장 내시경검사
-정상:정상적인 식도, 위, 그리고 십이지장.
-잠재적 합병증:①내시경에 의한 식도, 위, 그리고 십이지장의 천공.
②생검을 위해 습득된 검사물을 채취한 부위의 출혈.
③진정제의 투여에 의한 둔화의 결과로 위 내용물의 폐로의 흡인.
④진정제의 투여로 인한 저혈압.
-방해요인:①위의음식
②과다한 위장관의 출혈.
-검사과정:①환자는 반복위의 자세로 보통 이루어짐.
②금식이 이루어진 환자는 검사 전에 midazolam으로 보통 진정됨.
③분비물 감소를 위하여 환자에게 아트로핀을 투여.
④내시경을 구강, 식도, 위장, 십이지장으로 서서히 통과시킴.
⑤내시경 튜브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공기를 불어 넣는다.
⑥내시경검사자는 이 검사를 30분 안에 수행한다.
-금기:완전히 협조를 할 수 없는 환자, 삼각한 위장관의 출혈이 있는 환자, 식도게실이 있 는 환자, 천공이 의심되는 환자, 최근에 위장관의 수술을 받은 적이 있는 환자.
(2)S상결장경 검사
-정상:정상적인 항문, 직장, S상결상.
-잠재적 합병증:대장의 천공, 작장 혹은 대장의 출혈.
-방해요인:①장 준비의 부족
②직장 출혈.
-검사과정:①검사를 위해서는 두 번의 Fleet 관장으로 충분하다.
②구강하제는 60cm보다 더 멀리 검사할 때 요구된다.
③검사 당일 아침은 가볍게 한다.
④환자는 내시경 탁자나 침대 위에 좌측와위로 눕는다.
⑤단단하거나 유연성이 있는 S상 결장 내시경을 직장에 놓고 최대한으로 투입할 수 있는 곳까지 전지시킨다.
⑥검사과정 동안 하부위장관을 좀 더 팽창시키기 위해서 공기가 뿜어 넣어진다.
-금기:①비협조적인 환자
②게실이 있는환자.
③통증이 있는 항문직장질 환자.
④심한 출혈이 있는환자.
⑤대장에 천공이 의심되는 환자.
소화기계 건강사정
1.신체사정
1)건강력
(1)인구통계학적 자료
-환자의 연령, 성별, 종교, 직업 등.
-많은 소화기계의 문제들이 연령이나 성별과 관련.
(2)주호소
-발병:언제 문제를 알게 되었는가? 발병이 점진적이었나 갑작스럽게 나타났는가?
-기간:얼마나 오랫동안 문제가 있었는가?
-질과 특성:환자에게 문제를 기술하도록 한다. 문제가 설사라면 대변의 모양, 냄새, 색깔, 경도를 확인.
-강도:환자에게 문제가 얼마나 나쁜지 1부터 10까지의 척도를 주고 기술.
-부위:문제가 나타난 부위가 어디인가?
-촉진요인:상태를 악화 또는 완화시키는 것이 있는가?
-완화요인: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 있는가?
-관련된 증상:문제가 있을 때 어떤 다른 증상들이 초래되는가?
-위장계의 공통되는 증상:오심, 구토, 위통, 복통, 설사, 변비, 복부팽만, 고창, 연하고란, 가슴앓이, 조기 포만감 및 소화불량 등.
-간, 담도 및 췌장과 관련된 증상:위장 장애로 보고
(3)과거력
-약물치료:①의사의 처방에 의해 복용중이거나 복요했던 약물과 매약사용에 대해 상세한 정 보를 수집.
②아스피린이나 아스피린제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를 복용한 적이 있는지 질 문.
③비타민이나 미네랄 보충제의 복용여부 특히 철분제제에 관해 질문.
④배변을 돕기 위해 완화제를 사용하는지, 관장을 하는지도 질문.
-알레르기:①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질문.
②환자가 음식 알레르기가 있다면 경련, 고창, 설사오 같은 위장계의 증상과 두 드러기나 호흡곤란 같은 다른 증상들이 있었는지 조사.
(4)개인력과 가족력
-①환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에 대해 기록.
②장습관의 변화나 이유없는 체중감소가 있었는지를 질문.
③가족중 암이나 궤양성 큰 창자염 등을 앓았는지 질문.
④황달, 알콜 중독증, 간염, 결장암, 비만 등과 같은 질환데 대해서도 질문.
(5)사회심리력과 생활 방식
-①직업
②영양상태
③습관.
2)신체검진
(1)구강사정
(2)복부사정
<<복부 4구역>>
-시진:①환자의 복부 피부와 윤곽을 봄으로써 시진을 시작.
②발진, 변색, 반흔, 점상출혈, 선, 터진자국과 확장된 정맥들이 있는지 사정.
③배꼽은 모양과 위치, 색 등을 관찰.
④간호사는 옆구리가 팽륜 되었는지, 피부가 반짝거리며 팽팽하지는 않는지 등에 대 해서도 사정.
⑤배대동맥에 의한 박동과 연동운동에 대해서 관찰.
-청진:복부에 대한 청진은 청진기의 판막형을 이용하여 장음을 듣는다.
-타진:복부에 있는 기관들의 크기와 위치, 수분과 공기, 덩어리 등을 찾기 위해서 사용.
-촉진:①간호사는 한 구역에서 다른 구역으로 옮겨가는 체계적인 방식으로 복부를 가볍게 (1~2cm)누르면서 검사를 시작.
②간호사는 덩어리, 반동압통, 직접적인 압통 부위 등을 사정.
③압통부위는 조심스럽게 마지막에 촉진.
(3)직장과 항문사정
-시진:①손으로 둔부를 벌려 시진.
②비정상적인 병변을 확인하기 위해 환자에게 배변시와 같이 힘을 주라고 하여 항문 탈출, 용종, 내치질, 치열 등을 확인.
-촉진:①간호사는 장갑을 끼고 검지에 윤활제를 바르고 배꼽방향쪽으로 직장과 항문 속으로 서서히 삽입.
②환자는 배변시와 같은 힘이 주어져 불편감을 느끼므로 입으로 호흡하도록 설명.
③손가락 삽입시 항문조임근의 강도를 사정.
추천자료
쥐의 해부 및 기초지식
전립선 비대증의 병태생리와 증후 및 치료.
무기폐, 흉곽천자, 폐기능검사, 폐섬유증, 진폐증
난소낭종 병태생리 및 간호관리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질병 검사 및 약물 치료기구 정리
생리학 뇌파학
[해부생리학] 뼈의 구조와 현미경, 뼈조직[osseous tissue, bone]
폐암 (Lung Cancer)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진단명 : LUL mass (SQC) - invasion to LLL...
[성인간호] 지주막하출혈 병태생리
[성인간호] 전립선 비대 병태생리
[여성간호] 자궁근무력증(IIOC) 병태생리
급성 췌장염 케이스 스터디(Acute pancreatits 케이스, Acute pancreatits CASE STUDY, Acute...
치질 Hemorrhoid - 치질 케이스 스터디, 치질 case study, 치질 간호과정, 치질 간호진단, 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