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무원의 미국 시장 진출 사례 및 전략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풀무원 기업 개요
기업소개
풀무원의 기업 비전과 전략
창립 이후 국내에서의 주요 연혁
국내 시장에서의 성장
국내 두부시장 변화의 역사
90년대 이후 국내 소비 환경의 변화
풀무원 두부의 등장
국내 포장 두부 시장 현황
미국 시장 진출 전략
미국 시장 진출 계기
미국 진출 이후 주요 발자취
미국 시장의 외부적 기회
미국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미국 두부 시장의 지속적인 시장 성장세
미국에 거주하는 다수의 교민
미국 내 아시아계 인구의 증가
미국 시장에서의 성공 요인
교민시장과 현지인 시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다양한 제품 개발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유통 시스템
생산시설 자동화의 우수성
현지화 및 차별화 전략
현지기업 인수를 통한 노하우 체득
미국 시장에서의 사업 확장 경로
초기 교민시장을 타겟으로 한 판매 전략
본격적인 현지인 대상 시장 진출
현지기업 인수를 통한 실질적 국제화 추진
향후 성장 전략
유기농 식품계의 아이콘 브랜드화
지역협력
콩 식품의 대중화
로하스족을 대상으로 하는 타겟 마케팅
새로운 문화 판매
결론
참고

본문내용

는 옥수수를 이용해서 에탄올을 만들 수 있는 공법이 개발된 이후,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하며 많은 농가에서 기존의 재배하던 작물대신 옥수수를 재배하기 시작했다. 당분간은 이러한 움직임이 계속될 것으로 보이므로 풀무원의 미국 내 콩 공급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도 지역과의 결연을 통한 공급과 후원은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이고 품질을 풀무원에서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익하다.
둘째로, 해당지역주민과 자치정부의 풀무원에대한 로열티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해당지역으로서는 확실한 수요자를 얻게 되며, 지역경제에 보탬이 되기 때문에 도움이 될 것이고, 풀무원으로서는 든든한 지원군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서 '풀무원은 미국 유기농 농부의 후원자'라는 이미지를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요타자동차가 미국에 공장을 설립하고, 미국의 지역경제에 보탬이 되어, 미국민들의 도요타에 대한 반감을 줄여나갔듯이 풀무원 또한 미국에서 단순한 한국계 기업이 아니라, 미국에 도움이 되는 친기업의 이미지를 줄 수도 있게 된다.
셋째로, 위의 두 이점을 통한 완전한 현지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미국 소비자들에게 풀무원은 미국의 식품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콩 식품의 대중화
콩 식품 및 두부시장이 성장세에 놓여있고, 많은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고 하지만, 아직까지는 미국의 많은 소비자들에게 있어서 낯선 존재임은 분명하다. 때문에 두부시장 및 콩 시장 확대를 위한 홍보가 필요하다. 이것은 단순히 건강식품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식품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기존, 후발업체들과의 경쟁을 통해서 유기농식품의 가격은 낮춰지고, 일반소비자들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콩'이라는 식품은 미국 소비자들에게는 '건강'을 위해 먹을 수 있는 식품일 뿐이지 일상적으로 즐겨먹는'음식'으로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 콩(혹은 두부)을 숨긴 제품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콩(혹은 두부) 자체를 판매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풀무원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풀무원(혹은 와일드푸드, 소가)은 브랜드를 알리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홍보를 통해 시장규모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로하스족에 의해서 먼저 수용된 콩제품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새로운 두부요리법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는 것과 동시에 소비자들에게 두부 및 콩제품을 더욱 가깝게 인지시키도록 하는 광고를 계속적으로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PP를 이용하여 드라마 및 영화 등에서 올바르고 건강한 생활의 모습을 인지시키도록 노력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로하스족을 대상으로 하는 타겟 마케팅
많은 경쟁업체들이 진입하고 있는 유기농시장에서 풀무원은 미국시장에 있어 선발업체이기도 하다. 이러한 우위를 이용하여 현재 풀무원이 가지고 있는 브랜드이미지를 더욱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풀무원은 로하스족의 대표브랜드로 나아가야 한다. 유기농시장에서의 기업 간 경쟁이 활발해질수록 유기농시장의 규모는 더욱 커질 것이다.(이것은 한국 내 포장두부시장에서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다. 풀무원, 대상, 두산, CJ, 농협 외 여러 기업의 진출로 인한 경쟁은 결국 포장두부시장의 규모를 넓혔다. 풀무원은 시장점유율이 떨어졌음에도 오히려 매출수익이 증가되었었다.) 로하스족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 및 제품개선과 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을수록 맛과 함께 우선시 되는 것이'안전'이다. 국내 식품 산업을 양의 시대에서 질의 시대로 전환하는데 성공을 거두었듯이 풀무원은 미국시장에서 믿을 수 있는 안전한 식품이라는 이미지를 계속적으로 키워야 한다. 100% 미국산 유기농 콩을 사용한다는 것은 GMO 및 화학 첨가물에 대한 경계심을 갖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커다란 매력으로 다가올 것이며, 신선하고 안전한 식품의 이미지는 곧바로 풀무원브랜드의 가치를 높여줄 것이다.
새로운 문화 판매
많은 아이콘 브랜드가 그러하듯이, 풀무원의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에게 획기적이며 수용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해야한다. 이미 풀무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많은 제품개발을 바탕으로 식생활에 대한 캠페인을 벌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커피를 대신할 콩 음료나 아침식사용 두유 등.
결론
유기농 시장은 지금도 꾸준히 그 세력을 넓혀가고 있다. 환경호르몬이나 GMO의 위협 등 많은 소비자들은 그들의 식탁도 안전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인 미국 유기농시장은 이러한 소비자들의 우려 속에서 2002년 117억 500$에서 2007년 307억$로 그 규모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KOTRA 무역투자정보포탈 글로벌 윈도우 http://www.globalwindow.org
이러한 움직임은 전 세계적인 것으로서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식품을 제공하려는 풀무원의 비전과 맞물리는 것이다. 때문에 글로벌 유기농 식품 회사로 발돋움하려는 풀무원의 미래는 그 시장의 확대와 함께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유기농시장의 확대와 함께 많은 경쟁자들이 진입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대형업체들의 미국내 유기농시장 진입은 어찌보면, 과거 우리나라의 유기농 및 포장두부 시장을 연상하게 만들기도 한다. 국내, 풀무원의 독보적인 위치를 위협하던 거대자본을 이점으로 진입했던 CJ, 대상…처럼 말이다. 국내에서처럼 미국 유기농 및 두부시장은 무한 경쟁체제로 인하여 더욱 그'파이'를 늘려갈 것이다. 풀무원은 국내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 시장에서도 선전할 것임을 의심하지 않는다.
참고
http://www.pulmuone.co.kr/
http://www.wildwoodfoods.com/index.html
http://www.sogafoods.com/
http://www.wholefoodsmarket.com/
http://www.whitewave.com/
http://www.kaedc.org/
http://www.soyfoods.org/products/history-of-soy-products/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04.16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14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