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학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학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노인학대의 개념
2. 노인학대의 정의
3. 노인학대의 유형
4. 노인학대의 대처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았다는 것이다. 이 밖에 문제점들은 제도적인 규정의 부재와 법적인 보호망과 대응체계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피해자에게 법적 절차가 복잡하고 진행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나이가 드신 노인들이 접근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런 문제점들을 개선하기위해 우선 일부 학자들에 의해서만 간헐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노인학대를 공적인 문제로 부각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노인관련 전문가 및 서비스 제공자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노인학대를 예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노인학대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고 노인학대를 경험하는 노인을 적절히 보호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이 수립되고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노인학대를 경험하는 노인들이 가족 외부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체계를 정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1997년 11월 국회에서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대한 특례법안'이 통과됨에 따라서 가정폭력은 사사로운 집안일이 아니라 범죄로 규정되었다. 그러나 노인학대는 아동학대나 아내학대에 비해 관심을 거의 받지 못했고, 이론적 토대가 제대로 정립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효"를 강조해온 우리나라의 전통과 노인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부족으로 인해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가정폭력에 대한 관심이 주로 여성계의 주도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볼 때 노인학대에 대한 관심이 자칫 소홀해 노인학대가 갖고 있는 특수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노인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작업이 시급하다하겠다. 또한 노인학대를 다룸에 있어서 노인 개개인이 선택의 권리, 사생활을 유지할 권리, 독립성의 권리,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권리, 보호받고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있다는 사실이 간과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참고 문헌
국가인권위원회(2002), 지역사회에서의 노인학대 실태조사, 한국노인의 전화.
서윤(2000), “노인학대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지와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7, 한국노인복지학회, pp.27-71.
------(2000a), “노인학대 사례연구”, 노인복지연구, 9, 한국노인복지학회, pp.155-188.
한국노인복지학회편(2004), “한국노인복지의 새로운 도전”, 현학사.
고정자(2005), “현대의 노인복지”, 형설출판사.
현외성, 조추용, 윤은경, 김양이(2005), “한국노인복지학강론”, 유풍출판사.
이연호(2002), “노인학대 위험요인과 피해”,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노인학대상담센터(www.seniorabuse.or.kr)
조애저, 김승권, 김유경(1999), “노부모 학대 실태에 관한 사례연구-6개 대도시 노인(종합)복지회관 이용노인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까리따스 노인학대상담센터 세미나 자료집(2001), “노인학대 실태 및 방향성 모색”.
노인학대상담센터 전문위원회(2003), “노인학대 예방과 개입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장세철, 배창진, 이재모, 한정란, 황성하, 이용환, 이선미, 황현숙, 2004, 『현대 노인복지론』, 홍익제.
Kosberg, J. I. (1988). Preventing Elder Abuse: Identification of high Risk Factors Prior to Placement Dectisions. The Gerontologist, 28(1), 43-50.
모선희, 김형수, 유성호, 윤경이, 2005, 『현대 노인복지론』, 학지사.
Bennett, G. & Kingston, P. 1993. Elder Abuse Concept, Theories, and Interventions. London : Chapman & hall. p.4 ; Biggs, s., Phillipson, C. & Kingston, p. 1995. Elder Abuse in Perspective. Buckingham : Open University Press.
Johnson, I. M. (1995). Family members' perceptions of and attitudea toward elder abuse. The Journal of Contemporary Human Services. Special Issue: Family in Society, 6, 220-229.
Wolf, R. s. (1996). Elder Abuse and Family Violence: Testimony Presented Before the U.S. Senate Special Committee. Journal of Elder Abuse & Neglect, 8(1), 81-86.
Greenberg, J. R., Mckibben, M., & Raymond, J. A. (1990). Dependent Adult Children and Elder Abuse. Jonurnal of Elder Abuse & Neglect, 2(1/2), 73-86.
한동희(1996), “노인학대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King N.R (1983), "Exploitation and abuse of older family members: An overview of the problem", In J.J. Costa ed., Abese of the Elderly : A Guide to Resources and Services.
이성희 · 한은주(1998). 부양자의 노인학대 경험과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18(3),
123-141.
Paveza et al. (1992). Severe Family Violence and Alzheimer's Disease :
Prevelence and Ri나 Factors. The Gerontologist, 32(4), 493-497.
Valentine, D. , & Cash, T. (1986). A definitinal discussion of elder maltreatment.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 9(3), 17-28.
  • 가격3,0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08.04.16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15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